오늘 창세기의 아브라함과 복음의 마르타는 주님을 맞이하여
지성으로 시중든 것에 공통점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아브라함은 그 덕분에 아들을 선물로 받는 데 반하여
마르타는 기껏 시중들고는 주님께 꾸지람을 듣습니다.
왜 꾸지람을 들었습니까?
시중드는 일로 주님과 마리아를 싸잡아 타박했기 때문입니다.
동생 마리아는 시중드는 일에 같이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님은 그런 그를 나무라지 않고 내버려 둔 것 때문에.
타박하는 마르타에게 주님께서는 이렇게 나무라십니다.
“마르타야, 마르타야! 너는 많은 일을 염려하고 걱정하는구나.
그러나 필요한 것은 한 가지뿐이다.”
이 나무라심 안에는 이런 잘못들이 있습니다.
첫째는 일념으로 하지 않은 것입니다.
시중드는 것을 사랑으로 하지 않고 일로 하는 것이고,
사랑 일념으로 하지 않고 이것저것 너무 생각이 많습니다.
다념(多念)이라는 말이 있는지 모르지만 너무 다념입니다.
염려(念慮)가 많은 것이 그 표시입니다.
염려의 염이 바로 생각 염(念) 자가 아닙니까?
염려의 려(慮)도 생각 또는 근심 걱정의 뜻이고요.
그러니까 사랑 하나만 생각하고 하면 되는데
이 생각 저 생각이 많은 것이 바로 염려입니다.
둘째는 주님과 주님 일행에게 시중드는 거라면
주님과 일행에게만 신경 쓰면 되는데 마리아를 신경 쓰는 잘못입니다.
사실 동생 마리아가 없었다면
마르타도 딴 신경 쓰거나 불평 불만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우리도 종종 하느님 일을 하다가 하느님은 놓치고
사람을 붙잡고 씨름하고 시비합니다.
이 시비(是非)가 바로 잘잘못 또는 옳고 그름이고
그것을 따지는 것이 아닙니까?
아무튼 너의 잘잘못을 따지다가 하느님을 놓치는 것인데
이에 대해 우리말에 아주 좋은 말이 있는데
바로 ‘너나 잘하세요.’입니다.
셋째로 마르타는 아마 마리아에 대한 시기 질투 같은 것이 있었을 것입니다.
마리아만 좋은 몫을 택한 것 같은 시기심과,
마리아만 주님 사랑을 받는 것 같은 질투심 그런 것이 있지 않았을까요?
우리 공동체 안에서 그런 일이 많습니다.
누구는 허드렛일하는데 누구는 책상받이인 경우,
누구는 룰루랄라 하는데 누구는 땀 뻘뻘 흘리는 경우,
누구는 노상 성체 앞에 있는데 누구는 주방에서 솥뚜껑 돌리고 있는 경우 등.
이렇게 마리아가 좋은 몫을 택한 것을 시기 질투하며
그것을 뺏으려고 하자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마리아는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빼앗기지 않을 것이다.”
어쨌거나 이렇게 남과 비교하며 시기 질투하면 불행해지게 됩니다.
남과 비교하다가 하느님 사랑도 잃고 이웃사랑도 잃기 때문입니다.
사실 우리의 ‘비교 불행’ 가운데
시기 질투보다 우리를 더 불행하게 하는 것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오늘 이 ‘비교 불행’을 극구 피하고,
일념으로 사랑해야 함을 마르타와 아브라함에게서 배워야겠습니다.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