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

 

1. 마지막 저녁식사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의 성사

구원의 역사를 몸으로 쓰시는 분

 

내려놓는 힘의 무게

내어 맡기는 자유의 무게

 

무릎을 꿇고 발을 씻는 마음

피와 땀으로 얼룩진 얼굴

무상성과 보편성의 열매

 

겟세마니의 기도

골고타의 십자가

열린 옆구리

피와 물의 성사

 

온유함과 겸손의 실재

말 없는 진리

용서의 확산

선의 확산

생명의 확산

미리보는 부활

 

2025, 4, 17. 성목요일

 

 

2. 수필로 써보는 신비 (무언가 그 너머의 이야기)

 

새벽녘은 늘 고요하다. 창밖의 도시가 아직 잠든 동안, 빛은 천천히, 마치 망설이는 듯 천지간의 경계를 더듬으며 다가온다. 이 순간, 나는 바람에 실린 작은 숨소리조차 신비롭게 느껴진다. 시간은 멈춘 듯하면서도, 멈추지 않은 채 흐르고 있다. 어쩌면 이 모든 고요는 그 너머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일까.

 

어떤 사람은 신비를 풀어내고 싶어 한다. 그러나 신비란 풀어질 수 없는 질문이며, 질문 그 자체로 살아 움직이는 것 같다. 마치 삶 속에 늘 숨어 있는 수수께끼처럼 우리는 그것을 만나고 그것을 느끼면서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신비란 고요한 순간 속에서 우리의 마음을 두드리고, 일상의 단조로움 속에서 빛을 발한다. 그것은 우리를 나아가게 하고, 눈을 뜨게 하며, 무언가 중요한 것을 깨닫게 해준다.

 

나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살피며 그 안에 담긴 의미를 상상해 보았다. 나뭇가지가 흔들릴 때마다 이 작은 자연의 움직임이 전하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그저 바람이 지나가는 것일까, 아니면 내가 미처 이해하지 못한 어떤 숨겨진 대화일까? 우리는 때때로 이 자연의 신비 앞에서 무력감을 느끼지만 그 무력감 속에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힘이 있다.

 

일상의 삶으로 눈을 돌렸다. 관계, 사랑, 용서와 같은 인간의 감정은 또 하나의 깊은 신비다. 사랑은 왜 우리가 있는 그대로를 넘어 더 나은 사람이 되게끔 만드는가? 용서는 왜 스스로를 치유하며 상대방에게 평화의 선물을 줄 수 있는가? 우리의 마음속 깊은 곳에서 신비는 살아 숨 쉬며, 때로는 슬픔과 환희로 우리를 압도한다.

 

이 모든 것들이 복음의 실천과 닿아 있음을 느낀다. 복음은 신비 자체를 품고 있다. 그것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행동으로 나타나고, 사람들 사이에 퍼지며, 세상의 희망을 밝혀준다. 그리고 그 행동이야말로 신비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다. 신비를 수필로 쓰는 이유는, 우리가 그 신비를 더 잘 느끼고, 그 너머의 의미를 살피기 위해서다.

 

신비는 우리 곁에 있다. 느껴지지 않을 때조차도. 그것은 우리의 일상에 흩뿌려져 있으며, 깊은 생각을 통해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그것을 찾고 싶은 마음 자체가 이미 그 신비와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는다.

 

2025, 4,17 성목요일 새벽

서울의 하늘 아래

잠 못 이루는 어느 병동에서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9 병상에서 쓴 묵상 글 5 봄비 내리는 날 병상에서 쓴 묵상 글 5   7. 봄비 내리는 날   산안개가 길게 웨딩드레스를 끌고 신랑을 만나러 바다로 간다.   종일토록 내리던 비는 꽃잎으로 땅에 카펫을 깔아... new 이마르첼리노M 2025.05.02 10
1588 병상에서 쓴 묵상 글 4 병동에서 부르는 부할 찬송 병상에서 쓴 묵상 글 4   6. 병동에서 부르는 부활 찬송   어둠이 대지를 감싸던 밤 십자가의 고통은 침묵 속에서 울부짖었네   죽음의 그림자가 모든 생명을 가... new 이마르첼리노M 2025.05.01 10
1587 병상에서 쓴 묵상 글 3 예수께서 보여주신 내어주는 사랑 병상에서 쓴 묵상 글 3   5, 예수께서 보여주신 내어주는 사랑 내어주는 사랑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선물입니다. 성부께서는 창조를 통해, 성자는 희생을 ... new 이마르첼리노M 2025.05.01 9
1586 병상에서 쓴 묵상 글 2 성목요일 밤에 병상에서 쓴 묵상 글 2   3. 성목요일 밤에 사랑은 고요 속에 흐르는 강물 자신을 비워 더 넓게 흐르는 생명 아픔으로 다가와 치유를 안겨 주고 죽음 속에서 새 ... new 이마르첼리노M 2025.05.01 10
»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 마지막 저녁 식사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   1. 마지막 저녁식사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의 성사 구원의 역사를 몸으로 쓰시는 분   내려놓는 힘의 무게 내어 맡기는 자유의 무게  ... new 이마르첼리노M 2025.05.01 13
1584 스물 둘째 날: 침묵과 나아가 고독에 맛들이기 스물 둘째 날: 침묵과 나아가 고독에 맛들이기 당신은 어떤 식으로 자신을 새롭게 했고 자신에게 다가왔던 침묵을 경험한 장소들을 생각해보시오. 다음으로, 지금... 김상욱요셉 2025.04.24 70
1583 꽃들의 추위를 神의 제단에 꽃들의 추위를 神의 제단에   수술하러 떠나기 전날 갑자기 추워진 날씨처럼 통증도 변덕스럽다.   복사꽃 위에 쌓인 눈 배꽃 위에 쌓인 눈 꽃들은 얼마나 시릴... 이마르첼리노M 2025.04.15 58
1582 스물 첫째 날: 스스로에게 하는 말 스물 첫째 날: 스스로에게 하는 말 하루 중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 중이나 일어난 후, 당신의 머리 속에서 일어나는 독백에 대해 더 잘 살펴보시오. 당신 스스로... 김상욱요셉 2025.04.14 43
1581 인식의 상반된 얼굴 인식의 상반된 얼굴   위가 어딘지 알려면 아래로 내려가야 합니다. 빛을 알려면 어둠을 경험해야 합니다. 하늘을 알려면 땅을 알아야 하고 영광을 알기까지 고... 이마르첼리노M 2025.04.10 110
1580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를 향해 길을 내다.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를 향해 길을 내다.   “너희가 내 말을 마음에 새기고 산다면, 나의 제자가 되어 진리를 알게 되고 진리가 너희에게 자유를 주리라.” ... 이마르첼리노M 2025.04.09 144
1579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에서 나오는 선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에서 나오는 선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에서 나오는 선은 친절과 협력으로 조화와 균형을 만들어냅니다. 개... 이마르첼리노M 2025.04.07 85
1578 善의 속성과 얼굴 善의 속성과 얼굴   우리는 종종 선(善)을 추상적으로만 이해하려 합니다. 선의 속성과 얼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용서를 구하는 선, 용서하는 선, 기다... 이마르첼리노M 2025.04.02 182
1577 스무째 날: 생명의 한계 스무째 날: 생명의 한계 사람들 대부분은 우리 삶에서 진정한 한계는 우리가 죽음에 있다고 믿는다. 그런데 생명의 길이는 단순히 당신이 삶의 진가를 살고 있음... 김상욱요셉 2025.04.01 119
1576 꽃샘추위 그리고 마음의 겨울 꽃샘추위, 그리고 마음의 겨울   봄은 언제나 기대와 설렘으로 다가온다. 얼었던 대지를 녹이고 꽃봉오리가 부풀어 오르며 따스한 바람이 마음을 간지럽힌다. 그... 이마르첼리노M 2025.03.30 159
1575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게 하는 앎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게 하는 앎   외로움의 포로가 된 이들의 대부분은 자기를 지나치게 자아와 일치시켜 홀로 떨어진 존재라는 인식에서 나오는 독립... 이마르첼리노M 2025.03.19 15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6 Next ›
/ 10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