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흙에서 태어난 순례자의 노래 (골로사이 3장을 읽고)

 

나를 채웠던 단단한 ''

가난한 누이에게 기쁘게 내어주니

비로소 내 안에 깃들 하느님의 자리가 생겨납니다.

저 높은 곳에 있는 것을 찾으라 하신 말씀,

태양의 빛살에서 나를 찾고

가장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의 속삭임에서

주님의 음성을 듣습니다.

 

탐욕의 제단은 무너지고

그 자리엔 작은 들꽃 한 송이 피어나

하느님의 지문을 겸손히 제게 보여줍니다.

거짓의 두꺼운 옷은 한 겹씩 벗어 던지고

가시나무에도 걸리지 않는 자유로운 바람처럼

상처 입은 모든 것들을 부드럽게 감싸안습니다.

사랑은 완전하게 묶는 끈이라 하셨으니,

한 자리에 머물러 자리를 지키는 나무와도

한 뿌리에 연결된 숨결이 됩니다.

 

주님의 말씀에 굴복하니

주님의 노래를 부르는 작은 악기,

창조 세계와 더불어 노래하는 가장 작은 목소리.

하느님 안에 숨겨진 나의 새 생명은

가장 작은 피조물의 눈 속에서 빛나는 한 방울의 이슬입니다.

내려가고 낮아져야 가장 깊은 하늘을 담을 수 있음을.

나를 비워낸 바로 그 자리에 고이는 눈물

슬프도록 아름다운 저녁노을의 고요한 아름다움

그것은 아버지의 품이었습니다.

 

내 눈은 이름 없는 들풀의 푸른 혈관 속에 흐르는 햇살을 보고,

거미줄 끝에 매달린 아침 이슬의 우주를 봅니다.

나의 숨은 저 멀리 숲속 떡갈나무의 날숨이 되고

나의 기도가 이름 모를 작은 풀벌레의 노래에 섞입니다.

 

내 손끝은 거친 나무껍질의 깊은 주름을 어루만지며

내 발바닥은 차가운 흙의 맨살에 닿아

만물을 품어 기르시는 어머니의 따스한 체온을 느낍니다.

탐욕의 우상은 발밑의 흙 한 줌보다 가벼워지고

거짓의 갑옷은 한 올 한 올 풀어져

숨 쉬는 모든 순간이 거룩한 기도가 됩니다.

 

뻐꾸기에게 내 어깨를 빌려주고

말없이 버티는 바위에게 나의 어깨를 기댑니다.

사랑만이 완전하게 묶는 끈이라는 것을 믿기에

상처 입은 발바닥의 아픔마저 끌어안습니다.

우리는 모두 사랑이라는 보이지 않는 실로 꿰매어진

거룩한 조각보, 하나의 숨결입니다.

 

말씀은 더 이상 활자로 갇힌 지식이 아니라

새벽을 여는 장엄한 태양의 찬가로,

목마른 땅을 적시는 비의 다정한 위로로,

내 온몸에 풍성히 머무릅니다.

 

가장 낮은 곳에 엎드려

가장 작은 자의 발을 씻길 때,

가장 높은 하늘과 입 맞추는

눈물겨운 기쁨을 배웁니다.

 

하느님 안에 감추어진 나의 새 생명은

나만의 것이 아님을 압니다.

주님, 이 보잘것없는 몸을 당신의 악기로 쓰시어

사랑이 필요한 곳에 침묵의 노래가 되게 하소서.

목마른 뿌리에게 전하는 새벽이슬이 되게 하시고

지친 날개를 쉬어가는 나뭇가지가 되게 하소서.

모든 창조물과 더불어 당신을 찬미하는

흙의 심장을 가진 작은 순례자가 되게 하소서.

아멘.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흙에서 태어난 순례자의 노래 (골로사이 3장을 읽고) 흙에서 태어난 순례자의 노래 (골로사이 3장을 읽고)   나를 채웠던 단단한 '나'를 가난한 누이에게 기쁘게 내어주니 비로소 내 안에 깃들 하느님의 자리가 생겨... new 이마르첼리노M 2025.08.03 8
1628 마리아는 육화의 도구로써의 원형 (천사들의 성 마리아 포르치운쿨라 축일에) 마리아는 육하의 도구로써의 원형 (천사들의 성 마리아 포르치운쿨라 축일에)   성 프란치스코와 성모 마리아의 관련성은 프란치스칸 영성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1 이마르첼리노M 2025.08.02 142
1627 만들어진 나와 참된 나 만들어진 나와 참된 나   영성 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만들어진 자아상'에 대한 집착하는 데서 나옵니다. 이는 하느님 안에서 본래부터 ... 이마르첼리노M 2025.08.01 64
1626 작은자의 기도 작은 자의 기도   나는 창조라는 거대한 숲속에 선 한 그루의 이름 모를 나무입니다. 시간의 강물 위로 영원하신 하느님의 신비가 거대한 그림처럼 펼쳐질 때, ... 이마르첼리노M 2025.07.31 70
1625 친교 친교   친교의 본질은 자기 속을 드러낼 때 이루어집니다. 진정한 관계, 즉 친교는 서로가 자신의 내면, 생각, 감정, 취약성 등을 솔직하게 드러낼 때 비로소 형... 이마르첼리노M 2025.07.30 86
1624 가장 강력한 변화의 동력 가장 강력한 변화의 동력   &quot;너희의 이름이 하늘에 기록되었음을 기뻐하여라&quot;(루가 10,20) 이 말씀을 온전히 신뢰한다면 그 말씀이 우리 인생 전체를 바꿔 놓을 ... 이마르첼리노M 2025.07.29 70
1623 금송아지 숭배에 대한 프란치스칸적 해석 금송아지 숭배에 대한 프란치스칸적 해석   프란치스칸 영성은 성 프란치스코의 삶과 가르침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특히 가난, 겸손, 작음과 단순성, 그리고... 이마르첼리노M 2025.07.28 77
1622 연중 제17주일 말씀 묵상 연중 제 17주일 말씀 묵상   ​인간의 한계, 예수님의 유일한 구원, 그리고 성령의 인도하심   소돔과 고모라 이야기 ​인간의 역사는 &quot;의인 열 사람&quot;을 찾아 헤매... 이마르첼리노M 2025.07.27 73
1621 고요한 씨앗의 이야기 고요한 씨앗의 이야기   고요한 씨앗의 이야기 하느님은 말씀을 씨앗처럼 우리의 마음에 심으십니다. 그분의 씨앗은 보이지 않게 떨어지지만, 그 안에는 생명이 ... 이마르첼리노M 2025.07.23 80
1620 호명의 힘 (막달라마리아의 축일에) 호명의 힘 (막달라 마리아 축일에)   막달라 마리아의 간절하고 애타게 찾는 마음, 사람의 갈망과 마주하시는 예수님과 그분의 호명. 막달라 마리아의 모습은 인... 이마르첼리노M 2025.07.22 70
1619 연중 제 16주일 독서와 복음 말씀 묵상 연중 제 16주일 독서와 복음 말씀 묵상   1. 섬김과 환대 (아브라함과 나그네) 아브라함처럼 “작은 친절이 하늘 문을 여는 순간”이 됩니다. 누구든지 따뜻하게 ... 이마르첼리노M 2025.07.20 97
1618 K-민주주의와 플라톤 오늘날 이 시대의 롤모델로 여겨지는 K-민주주의가, 진정한 철학자들이 많아지는 ‘집단이성’의 형태로 발전해 간다면, 어쩌면 플라톤이 간절히 갈망했던 ‘정의로... 고도미니코 2025.07.19 64
1617 예수님께 배워야 할 전공과목 예수님께 배워야 할 전공과목   온유하고 겸손한 마음 편한 멍에와 가벼운짐 예수님에게서 배워야 할 최상의 학교   예수님의 마음, 곧 온유함과 겸손함은 세상... 이마르첼리노M 2025.07.17 110
1616 발견할수록 신비롭고 아는 만큼 큰 보물 발견할수록 신비롭고 아는 만큼 큰 보물   변화로 나아가는 사람은 희생자가 되거나 희생자를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아버지의 뜻과 복음의 목표는 우리가 삼위... 이마르첼리노M 2025.07.16 90
1615 갈망과 갈망이 만나는 곳에 신성한 실재가 있습니다. 갈망과 갈망이 만나는 곳에 신성한 실재가 있습니다.   “성령께서도 연약한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도 모르는 우리를 대신해서 말로 다 할 ... 이마르첼리노M 2025.07.09 9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9 Next ›
/ 109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