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복음에서 병의 치유는
 죄의 용서와 연결되어 나타납니다.
 치유를 청하는 사람에게
 예수님께서는 죄를 용서 받았다고
 말씀하십니다.
 병의 치유가 죄의 용서와 연결된다는 것은
 병의 원인을 죄로 보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죄를 지어서 병을 얻었다는 것입니다.
 당시 유다인들은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예수님께서도 그렇게 생각하셨는지
 오늘 복음에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성경의 다른 부분들을 보면
 아마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오늘 복음에 나타난 예수님의 모습은
 죄와 병을 연결하시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연결 고리를 가지고
 예수님께서는 병자를 단죄하는 도구로
 사용하지 않으십니다.
 환자는 죄인이라고 말씀하지 않으십니다.
 오히려 그 연결 고리 때문에
 치유는 두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우선은 죄의 용서가 앞서고
 그 다음에 병의 치유가 이루어집니다.
 즉 죄와 병의 연결 고리를 믿는 사람을
 치유 하기 위해서
 그의 눈높이에서 다가가십니다.
 두 단계 모두 이루어졌을 때
 병자는 자리에서 일어납니다.
 죄의 용서로 치유가 불완전하게 끝났다고
 볼 수는 없지만
 병자의 입장에서는
 두 가지가 모두 해결되어야 했습니다.
 나의 관점에서는 괜찮지만
 너의 관점에서는 불편할 때
 그것을 배려해 주시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예수님의 관점에서는 병의 치유로 충분하지만
 병자의 관점에서는 병의 치유 앞에
 죄의 용서가 먼저 이루어져야 했습니다.
 그리고 그의 생각을
 예수님께서는 무시하지 않으십니다.
 우리도 우리의 삶 안에서
 나의 관점과 너의 관점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나의 관점과 너의 관점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지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을 위해
 나의 관점을 배려해 주시는 하느님을 
 먼저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