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03b7a4223f525c7efdf906af625cc1ac.png.res

제  목 : 허망함의 상징과 같은 자연 (The nature as a symbol of Vanitas : 1665)

  가 : 아브라함 미뇽 (Abraham Mignon : 1640-1670)

  기 : 캔퍼스 유채 (78.7X 99.cm)

소재지 : 개인소장


인류 역사상 처음 온 인류가 꼭 같은 고통, 외출을 자제해야 하고 사람을 피해야 하는 전대미문의 황당함을 현실로 받아들이다 보니 과거에 상상도 못했던 공기 정화나 쓰레기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찾은 긍정적인 면도 있으나 사회적 존재로서의 기본인 인간을 만난다는 것을 피해야 하는 현실은 아무리 긍정적으로 볼려고 해도 인간 삶의 기본을 파괴하는 것 같아 씁쓸함으로 다가온다.


이런 어려운 처지에서도 자연에의 그리움, 특히 우리네 처지에선 이 계절이면 우리를 즐겁게 했던 아름다운 단풍 구경은 조심하면서도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기에 단풍놀이는 애주가가 술을 피하기 어려운 것처럼 삶의 숨구멍을 틔워주는 것으로 다가오고 있다.


아름다운 자연을 바라보는 눈은 크리스챤이나 비크리스챤이나 별반 다르지 않는 한결같은 긍정적인 반응이다. 순수함, 생명에의 기쁨, 진실함 등의 메시지를 자연은 살기에 지친 인간들에게 선사하고 있다.


크리스챤들은 자연과 인간을 하느님이 창조하신 것으로 믿기에 자연은 하느님의 아름다움과 선하심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자리로 여기고 있다.


“하느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이제 내가 온 땅 위에서 씨를 맺는 모든 풀과 씨 있는 모든 과일 나무를 너희에게 준다. 이것이 너희의 양식이 될 것이다. 땅의 모든 짐승과 하늘의 모든 새와 땅을 기어 다니는 모든 생물에게는 온갖 푸른 풀을 양식으로 준다.”하시자 그대로 되었다. 하느님께서 보시니 손수 만드신 모든 것이 참 좋았다.(창세 1:29-31)


이 아름다운 단풍은 누구나 보는 사람들의 마음을 잠시의 위축되었던 긴장에서 벗어나 삶의 기쁨과 희망을 확인하게 만들고 있다.


작가는 독일에서 태어나 네덜란드의 도시인 유트레이트에서 활동하다 한창 나이에 요절한 작가였으나 그의 생애에 남긴 정물화 수준의 종교화만으로도 오늘까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작가이다.


네덜란드는 절반이 가톨릭, 절반이 신교의 양 구도를 형성하면서 작가는 주로 개신교 지역에서 그들의 수준에 맞는 작품을 종교화의 경지로 격상시키는 역할을 했다.


가톨릭이 부패한 모습에 넌덜머리가 난 반항으로 시작된 개신교 칼빈파는 가톨릭 교회가 가르치는 교리는 물론 생활양식에도 반대를 표시했는데 그중에 하나가 하느님과 예수님과 성모님 성인들의 모습을 그리는 것을 구약 출애굽기가 제시하는 우상숭배라는 틀 속에 집어넣으면서  그들이 지닌 정물화의 양식을 신앙으로 승화시키게 되었다.


“하늘은 하느님의 영광을 얘기하고 창공은 그 손수 하신 일들을 알려 준다.”(시편 19,2)는 시편 말씀을 통해 그들은 가톨릭교회와 다르게 정물화로 다루던 것 안에서 신앙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을 발견하도록 교육시켜 가톨릭과 다른 성 미술에 대한 견해를 키우게 되었다.


그런데 이런 정물화 수준의 성 미술은 진작 가톨릭에서도 있었다. 성화 해설에서도 이미 소개한 것이지만 스페인 작가 중 프란체스코 수르바란 이란 작가는 작가가 활동하던 비슷한 연대에 스페인에서 활동하면서 “레몬 오렌지 장미가 있는 정물화”라는 작품을 남겼는데, 가톨릭 교회에는 너무도 다양한 양식의 성 미술이 많았기에 이것이 성 미술의 양식으로는 그리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가톨릭적인 모든 것을 반대하던 네덜란드에서는 이것이 개신교 신자들이 아름다움을 통해 하느님 찾기나 아름다우신 하느님을 체험하기에 좋은 자료가 되었기에 작가의 정물화 차원의 작품은 날개 돋힌 듯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과거 다른 작가들이 제시하지 못했던 자연의 실상, 어두움과 광채라는 양면성을 극명히 제시했다. 그러기에 그전까지 어떤 정물화도 제시하지 못했던  삶의 극명성과 정확성을 자연의 서로 상반되는 것을 제시함으로서 가르쳤다.


이 작품은 아름다움의 새로운 구성을 통해 차원 높은 신앙의 지혜를 제시하고 있다. 이런 형태의 작품은 먼저 인생에서 느낄 수 있는 허망감의 강조에서 시작되고 있으며 이것은 다음과 같은 성서적 바탕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인생에서 허망감은 크리스챤 뿐 만이 아니라 모든 종교가 인생의 현실에서 제시하는 중요한 화두이며 구약성서의 코헬렛은 다음과 같이 시작되고 있다.


“허무로다, 허무 코헬렛이 말한다.

허무로다, 허무! 모든 것이 허무로다!”(코헬1:2)


성 미술이 교훈적인 효과를 주기 위해선 많은 순간 기억하고 싶지 않지만 가장 정직한 현실인 인생의 허망함이란 이 실상을 알리는 것이 중요한 것이기에 진작에 바로 이 허망함이 강조되었는데. 다른 작가들은 해골, 타고 있는 담배, 고급 그릇, 악기 등 인생에 대단한 의미와 기쁨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는 것들이 사실은 그 실상과 너무 다른 것이란 것을 작품 속에 나열함으로서 인생의 실상은 결국 허무이니, 교회의 가르침대로 사는 것이 가장 인생을 낭비 없이 사는 것임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작가는 이런 단계에서 한 걸음 더 뛰어넘어 많은 사람들이 삶의 환희와 희망을 주는 자연의 실상을 제시하면서 차원 높은 허망감을 제시하고 있다. 삶의 무의미성 허망감의 확인으로 세상적인 유혹에서 벗어나 하느님이 원하시는 대범함 삶에로 초대하는 것이다.


하느님께서는 당신 마음에 드는 인간에게 지혜와 지식과 즐거움을 내리시고 죄인에게는 모으고 쌓는 일을 주시어 결국 당신 마음에 드는 이에게 넘기도록 하신다. 이 또한 허무요 바람을 잡는 일이다.


구약성서의 코헬렛은 연속적으로 인생의 허무함과 허망감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허망감 그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현세의 풍요와 편리가 주는 유혹에 빠져 자기 분수를 잊을까하는 노파심의 발로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은 현대에서도 너무도 필요한 인생의 지혜라 볼 수 있다. 사실 인간의 아들들의 운명이나 짐승의 운명이나 매한가지다.


“짐승이 죽는 것처럼 인간도 죽으며 모두 같은 목숨을 지녔다. 인간이 짐승보다 나을 것이 하나도 없으니 모든 것이 허무이기 때문이다.”(코헬 3:9)


“나는 또 태양 아래에서 허무를 보았다.”(코헬 4:7)


99b49a28ba807e62c842c240b253021e.png.res

결혼식장에서 신부의 손에 들린  부케처럼 화사한 색깔의 꽃들이 전체의 분위기를 잡고 있으며 그 옆에 있는 바위의 칙칙한 색깔에 대비되어 그 화사함이 더 하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이 컴컴한 색깔의 단조로운 바위와 그 주위에 있는 새둥지 달팽이 여러 종류의 나비들, 기괴한 형태의 곤충들 개구리와 한 쌍의 곤충들은 모두 자연에 속하는 것이면서도 화사한 꽃이 보이는 기쁨과 희망과는 거리가 먼 뭔가 그 안에 내재한 어둠과 슬픔의 잔상을 보이면서 인생을 그리 화사하지만은 않다는 암시를 주고 있다.


당시 네덜란드 사회는 경제적으로 대단히 유복한 사회였기에 사람들은 이런 경제적인 유복함이 줄 수 있는 편리함에 빠져서 신앙적인 가치 실천이 어려운 처지에 있었기에 당시 화란 사회의 여유 있는 현실에서 신앙적인 가치를 확인하게 만드는 좋은 계기를 바로 이런 풍경화를 통해 제시한 것은 화란의 현실을 감안했을 때 참으로 시기적절한 지혜로운 신앙적 처신이었다.


오늘 우리의 현실은 작가가 이 작품을 남겼던 17세기의 화란 사회처럼 모든 것이 보장된 사회이며 더욱이 돈만 있으면 어떤 것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한껏 키워주고 있다.


여기에 한수 더 떠서 이것은 유치한 것이지만 어떤 크리스챤 집단은 종교가 바로 이런 부를 축적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것을 유치하리만큼 적나라하게 강조하며 이것을 효과적인 선교의 도구인양 유혹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작가의 작품은 참으로 종교성의 승화된 경지, 자연을 통해 드러나는 여러 한계점을 확인하면서 인생의 모든 것은 유한하고 가변적임을 인정하면서 오직 하느님께만 의탁하는 일념의 삶을 살기 위해서 필요한 수행의 차원에서 자연을 통해 드러나는 성 미술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것은 어떤 관점에서 가톨릭교회처럼 성서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사건들의 기억을 통해 신앙의 내용을 전달하는 것에서 아쉬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하는데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


즉 하느님은 성서나 교회 역사 안에서만이 아니라 우리가 매일 살아가면서 만나는 일상사를 통해서도 자신을 전달하시는 분이시다. 신앙이 삶의 현실과 유리된 어떤 초월적인 사건이나 상황에서만이 아니라 너무도 일상적인 사건을 통해서도 드러나는 것임을 알림으로서 신앙이 성당이나 기도나 성서 안에 갇힌 행위가 아니라 일상 삶의 매 순간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알리고 있다.


가톨릭의 성 미술에 대한 반발로 강조된 이런 정물 형식의 성 미술은 현대 세대에 꼭 필요한 화려한 삶의 저편에 있는 허망함과 허무란 인생의 진실을 눈뜸으로서 삶의 균형을 찾게 만드는 좋은 역할로서 신앙적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성화이야기

이요한 신부님의 성화해설 나눔게시판입니다.

  1. 성가족을 덥고 있는 검은 구름 : 트렌토 론가레티 (Trento Longaretti)

    제   목 : 성가족을 덥고 있는 검은 구름 (Nuvole nere sulla sacra famiglia,1969) 작   가 : 트렌토 론가레티 (Trento Longaretti,1916-2017) 크   기 : 캠퍼스 유채 (63 X 87cm) 소재지 : 이태리 밀라노 대성당 미술관  프란치스코 교황님은 2천년 먼지로 ...
    Date2022.03.17 By이종한요한 Reply1 Views512 file
    Read More
  2. 성 요셉과 소년 예수 : 삐에뜨로 안니고니 (Pietro Annigoni)

    제   목 : 성 요셉과 소년 예수 (1964) 작   가 : 삐에뜨로 안니고니 (Pietro Annigoni : 1910-1988) 크   기 : 목판 유채 소재지 : 이태리 피렌체 성 로렌죠 대성당  작년 어떤 개신교 신학자가 쓴 “신학이 달라져야 교회가 산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
    Date2022.03.01 By이종한요한 Reply1 Views658 file
    Read More
  3. 단테와 신곡 : 도메니코 디 미켈리노 (Domenico di Michellino: 1417-1491)

    제   목 : 단테와 신곡 (1465) 작   가 : 도메니코 디 미켈리노 (Domenico di Michellino: 1417-1491) 크   기 : 템페라(232 X 292cm) 소재지 : 이태리 피렌체 대성당 2021년 3월 25일 프란치스코 교황님은 교서 '영원한 빛의 찬란함'(Candorlucis aeternae)...
    Date2022.02.15 By이종한요한 Reply1 Views1067 file
    Read More
  4. 성 마르티노의 외투와 거지 : 엘 그레코(1597)

    제   목 : 성 마르티노의 외투와 거지 작   가 : 엘 그레코(1597) 크   기 : 캠퍼스 유채 193 X 103cm 소재지 : 미국 워싱턴 국립 박물관 성인이라는 현상은 종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수행을 통해 적어도 범인이 접근할 수 없는 고귀한 인품에 이른 ...
    Date2022.02.02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547 file
    Read More
  5. 율법학자들과 토론하시는 소년 예수 : 알브레이트 듀러 (Alberecht Durer)

    제  목 : 율법학자들과 토론하시는 소년 예수 작  가 : 알브레이트 듀러 (Alberecht Durer:1471-1528) 크  기 : 목판 유채 (65cmX80cm) 소재지 : 마드리드 테센 보로네미사 미술관 신약 성서의 루카 복음에는 예수님의 성탄 소식에서 다른 복음서에 없는 예수...
    Date2022.01.15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587 file
    Read More
  6. 성 안토니오의 환시 : 바르톨로메오 에스테반 뮤릴로(Bartolome Esteban Murillo)

    제   목 : 성 안토니오의 환시 (1656) 작   가 : 바르톨로메오 에스테반 뮤릴로(Bartolome Esteban Murillo, 1617-1682) 크   기 : 제단화 캠퍼스 유채 6M 소재지 : 스페인 세빌리아 대성당 예수 성탄은 종교적으로 예수님의 탄생 기념을 확인하는 날이 아...
    Date2021.12.28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653 file
    Read More
  7. 가브리엘 대천사와 성모 마리아의 미소

    제      목 : 가브리엘 대천사와 성모 마리아의 미소 작품연도 : 13세기 (1245) 소 재 지  : 프랑스 랭스 대성당 성 미술을 통해 여러 아름다운 인연이 이어지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이번 소개하는 작품과 관계되는 것이다. 우리 교민으로 미국에서 정신과 의...
    Date2021.12.11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993 file
    Read More
  8. 허망함의 상징과 같은 자연 : 아브라함 미뇽 (Abraham Mignon)

    제  목 : 허망함의 상징과 같은 자연 (The nature as a symbol of Vanitas : 1665) 작  가 : 아브라함 미뇽 (Abraham Mignon : 1640-1670) 크  기 : 캔퍼스 유채 (78.7X 99.cm) 소재지 : 개인소장 인류 역사상 처음 온 인류가 꼭 같은 고통, 외출을 자제해야 ...
    Date2021.11.26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639 file
    Read More
  9. 석양의 성모님: 피에트로 로렌제티

    제  목 : 석양의 성모님(Our Lady of sunset) (1306) 작  가 : 피에트로 로렌제티 (1280-1348) 크  기 : 프레스코  소재지 : 이태리 아씨시 프란치스코 대성당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은 모든 프란치스칸들의 마음의 고향이다. 여기에 사부님의 무덤이...
    Date2021.11.11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601 file
    Read More
  10. 페사로의 마돈나 : 티치아노

    제   목 : 페사로의 마돈나 (1518) 작   가 : 티치아노 크   기 : 캠퍼스 유채 (4.85x2.70m)  소재지 : 이태리 베네치아 프라리(Frari) 성당 오늘 베네치아는 이태리 북부의 도시이며 과거 찬란한 문화가 남긴 여러 예술품으로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Date2021.10.25 By이종한요한 Reply0 Views66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43 Next ›
/ 4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