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73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

 

하느님께서 우리를 이렇게 사랑하셨으니
우리도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1요한 4, 11)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에 우리의 응답은

수직적인 사랑을 받은 내가 수평적인 사랑으로 응답하라는 이야기다.

서로 사랑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응답이다.

 

사랑이 사랑을 낳고

선이 선을 낳고

자비가 자비를 낳은 이 신비는 육화의 신비다.

 

내 안에 잉태된 말씀은 너와 나의 관계 속에서 인간의 취약성을 지니고 태어난다.

이러한 믿음이 없이 동정녀를 통한 탄생을 문자적이고 맹목적인 믿음으로 만들거나

성모님을 통하여 바치는 기도와 희생과 예물들을 통해

현세적인 복을 구하는 믿음은

육화를 부인하는 무모한 영성과

하느님 나라를 미래의 것으로 만드는 영성으로 만들고

죄에 따른 처벌을 강조하여 지옥에 가지 않으려면

무엇인가를 바치지 않으면 안 될 것으로 만든다.

 

성모상 밑에 여러분의 소원을 써서 넣으면

성모님께서 여러분의 소원을 들어주실 것입니다.”

새로운 성모상을 만들어 세울 때 이렇게 말하는 어떤 사목자의 말을 듣고

봉헌을 위한 기도에 동참하고 나의 소원을 써서 주면

대신해서 그렇게 해주겠다는 요청을 받았다.

그것은 어떤 자매가 나에게 보여준 간절한 사랑의 표시였다.

 

잉태된 말씀이 행동하는 자비로 육화되는 영성이 아닌

타당성을 증명할 수 없는 비현실적인 영성이 될 때

이러한 영성은 통제를 위한 명분이 되고 만다.

그것으로는 아무도 구원하지 못하고 세상을 변화시킬 수가 없다.

예수 안에서 그리스도를 만나지 못하고

하느님은 육화되지 않은 채 인간이 만든 틀에 갇혀 계시기 때문이다.


공현의 신비는 육화의 신비다.

우리에게 나타나신 하느님은 행동하는 자비가 있는 곳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은 너의 마음이다.

너의 마음으로 들어가 그 땅을 찾아라,

 

나는 나의 인간적이며 일상적인 것들에서

사물의 깊이로 들어가 주님의 영을 발견하려고

점점 죽어가는 몸의 변화를 느끼면서

내 마음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마음의 방향을 살펴보고

주변의 관계 속에서 전혀 가보지 않았던 길을 가려고

그리스도 예수께 시선을 집중하고 있다.

 

내가 했던 과거의 결정들을 살펴보고 그 결정들이 만든 현재의 나를 바라보고

미래의 나는 지금 선택하고 내리는 결정들에 달려있을 것이라는 믿음 아래서

하느님의 통치에 나의 의지를 내어드리려고 했다.

그렇게 하지 않았더라면 내 속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전혀 알아차리지 못했을 것이다.

그로부터 자신 속의 깊이는 하느님의 깊이와 연결되어 있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내면의 깊이 속으로 들어가는 사람만이 밖으로 나갈 수 있고

아래로 내려가는 사람만이 위로 향할 수 있다는 깨달음이었다.

 

코로나의 거친 파도가 일렁이는 바다에서

생명의 에너지가 고갈된 죽음의 바다에서

단절로 치닫는 파국의 관계에서

물 위를 걸으시는 예수께서 우리에게 다가오셔서 말씀하신다.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마르 6,50)

 

용기를 내어 네 속으로 들어가라

너의 허물과 죄와 어둠을 뚫고 들어가

거기에서 너를 돌보시는 주님의 손길을 찾아라

 

두려워하지 말고 관계 속으로 들어가라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거기에 하느님 나라가 있다.

 

홍해를 건너던 백성들은 안전한 땅을 밟고 건넜으나

예수께서는 불안전한 물 위를 걸어 나에게 다가오셨다.

불안전하고 위험천만한 그릇인 나에게 당신의 보화를 주시려고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98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4 병동에서 드리는 아침 찬미가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4   병동에서 드리는 아침 찬미가   낮을 비추고 밤을 비추던 하늘의 빛들아 주님을 찬미하라 사람을 치료하는 모든 병동아 주님을 찬미하... 이마르첼리노M 2025.05.05 95
1597 병동에서 쓴 묵상 글 13 퇴원을 준비하는 마음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3   퇴원을 준비하는 마음   퇴원을 하루 앞두고 밤의 시간은 더디게 흐르고 눈빛은 절절하여 잠이 오지 않네   신음하던 사람들 마저 곤히... 이마르첼리노M 2025.05.05 75
1596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2 선의 속성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2   善의 속성   사랑은 죽으면서 내어주고 내어주면서 죽는 선의 속성이며 측은하고 가슴 태우는 마음으로 자신을 내어주면서 시작됩니다.... 이마르첼리노M 2025.05.05 59
1595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1 양심을 잡는 어부의 그물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1   양심을 잡는 어부의 그물   양심의 바다 위에서 양심을 잡는 어부의 그물 거짓의 바다 위로 내려진 투망 깨끗한 양심은 빛을 찾아 고요... 이마르첼리노M 2025.05.05 56
1594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0 견딤의 통찰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0   견딤의 통찰   나약함 속에서 피어나는 빛   병원 침대 위에서 맞이하는 하루는 느리고도 묵직하다. 창밖으로 새어 나오는 빛의 고요한... 이마르첼리노M 2025.05.05 64
1593 병상에서 쓴 묵상 글 9 소리없는 치유의 밤 병상에서 쓴 묵상 글 9 소리없는 치유의 밤   소리없는 치유의 밤   기계의 숨결이 병동의 고요를 흔들고, 간간이 울리는 코고는 소리는 삶의 안도와 고통의 균형... 이마르첼리노M 2025.05.05 60
1592 병상에서 쓴 묵상 글 8. 통증과 놀던 아이 병상에서 쓴 묵상 글 8   통증과 놀던 아이   통증은 내게 말을 건다. 어느덧 내 곁에 선 친구처럼 삐걱이는 아침의 몸짓 사이로 그는 나를 따라 걸음을 뗀다.  ... 이마르첼리노M 2025.05.05 68
1591 병상에서 쓴 묵상 글 7 병동의 새벽 병상에서 쓴 묵상 글 7   병동의 새벽   아침고요를 깨는 4인실 병실에서 두런두런 들리는 살아있는 생명의 소리   타인의 새벽잠을 설치게 하는 것쯤은 아랑곳... 이마르첼리노M 2025.05.05 66
1590 병상에서 쓴 묵상 글 6 교황님의 선종 소식을 듣고 병상에서 쓴 묵상 글 6   교황님의 선종 소식을 듣고   가난한 이들의 벗, 인류의 아버지로 기억될 이름   밤하늘에 빛나는 별 하나가 꺼졌습니다. 그 별은 누구... 이마르첼리노M 2025.05.05 70
1589 병상에서 쓴 묵상 글 5 봄비 내리는 날 병상에서 쓴 묵상 글 5   7. 봄비 내리는 날   산안개가 길게 웨딩드레스를 끌고 신랑을 만나러 바다로 간다.   종일토록 내리던 비는 꽃잎으로 땅에 카펫을 깔아... 이마르첼리노M 2025.05.02 142
1588 병상에서 쓴 묵상 글 4 병동에서 부르는 부할 찬송 병상에서 쓴 묵상 글 4   6. 병동에서 부르는 부활 찬송   어둠이 대지를 감싸던 밤 십자가의 고통은 침묵 속에서 울부짖었네   죽음의 그림자가 모든 생명을 가... 이마르첼리노M 2025.05.01 73
1587 병상에서 쓴 묵상 글 3 예수께서 보여주신 내어주는 사랑 병상에서 쓴 묵상 글 3   5, 예수께서 보여주신 내어주는 사랑 내어주는 사랑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선물입니다. 성부께서는 창조를 통해, 성자는 희생을 ... 이마르첼리노M 2025.05.01 66
1586 병상에서 쓴 묵상 글 2 성목요일 밤에 병상에서 쓴 묵상 글 2   3. 성목요일 밤에 사랑은 고요 속에 흐르는 강물 자신을 비워 더 넓게 흐르는 생명 아픔으로 다가와 치유를 안겨 주고 죽음 속에서 새 ... 이마르첼리노M 2025.05.01 60
1585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 마지막 저녁 식사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   1. 마지막 저녁식사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의 성사 구원의 역사를 몸으로 쓰시는 분   내려놓는 힘의 무게 내어 맡기는 자유의 무게  ... 이마르첼리노M 2025.05.01 75
1584 스물 둘째 날: 침묵과 나아가 고독에 맛들이기 스물 둘째 날: 침묵과 나아가 고독에 맛들이기 당신은 어떤 식으로 자신을 새롭게 했고 자신에게 다가왔던 침묵을 경험한 장소들을 생각해보시오. 다음으로, 지금... 김상욱요셉 2025.04.24 11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8 Next ›
/ 10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