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y 고인현 도미니코 신부 ofm
아니마또레(이태리어): '보듬어 주고 활력과 영감을 불어넣는 자'를 의미합니다.
에페소 공의회(431년)에서 하느님의 어머니로 선포한 성모님을 ‘평화의 모후’이시며 ‘모든 피조물의 모후’(찬미받으소서 241항)로 모시며 중동과 한반도의 평화 그리고 생태적 회심(인간영혼과 자연의 회복)을 지향하는 온라인 기도방입니다。
----------------------


여행 보따리도 여벌 옷도 신발도 지팡이도 지니지 마라. 일꾼이 자기 먹을 것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마태 10,10)
여행 보따리도 지니지 마라
사도들에게는 전대에 금이나 은이나 돈을 지니는 것도, 여행 보따리를 지니고 다니는 것도,여벌 옷과 신발과 지팡이를 지니는 것도 금지되었습니다. 일꾼이 자기 먹을 것을 받는 것은 당연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전대에 돈을 지니고 다니면 사람들이 시샘하지 않겠습니까? “전대에 금도 은도 구리 돈도 지니지 마라”는 말씀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허리띠는 직무에 필요한 장비고, 가슴띠는 능률적으로 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므로 이는 우리의 활동에 금전적인 것이 끼어들어서는 안되며 금·은·구리 돈이 우리의 사도 직무에 필요한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경고입니다. 또 “여행 보따리도 지니지 마라’고 합니다. 세속의 물건에 대한 관심을 떨쳐 버리십시오. 지상의 보물은 모두 해롭습니다. “너의 보물이 있는 곳에 너의 마음도 있다”(마태 6,21)고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벌 옷도 지니지 마라”고 하였습니다. 우리에게는 그리스도라는 옷만 있으면 됩니다. 그리고 마음의 악행 때문에, 이단이나 율법 같은 다른 겉옷을 걸쳐서도 안 됩니다. “신발도 지니지 마라”고 하였습니다. 연약한 인간이 맨발로 다닐 수 있는 걸까요? 하느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신 것처럼(탈출 3,5 참조) 우리는 가시나무와 덤불로 덮인 거룩한 땅 위에서는 맨발로 확고히 서서 그리스도께 받은 것 말고는 어떤 신발도 지니지 말아야 합니다. “지팡이도 지니지 마라”는 말씀은 외적인 힘을 도구로 사용하거나 이사이의 뿌리에서 나온 것을 자격 없이 지팡이로 쥐고 있는 것을 뜻합니다. 쥐고 있는 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이 결코 그리스도의 지팡이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이 세상에서 우리의 여행에 필요한 것은 말과 은총, 여비, 옷, 신발과 힘에서 높은 수준을 갖추는 것입니다. 주님의 이 가르침을 따른다면, 우리는 값진 상을 받을 것입니다. 이 분부를 띠름으로써 하늘 나라의 희망이라는 상을 받게 될 것입니다.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마이스터 엑카르트는 이렇게 말했다(대지를 품어 안은 엑카르트 영성) / 매튜 폭스 해제 · 주석
【둘째 오솔길】
버림과 그대로 둠
설교 20
버림과 그대로 둠은 어떻게 열매를 맺는가
여행 중에 예수께서 어떤 마을에 들르셨는데 마르타라는 여자가 집으로 모셔 들였다(루카 10,38).
이 성 안에서, 곧 공기와 공간을 불사를 수 있는 신적인 불꽃 안에서 하느님은 자신의 온갖 부와 자신의 온갖 환희를 동원하여 끊임없이 타오른다. 하느님 경험은 이제 완전히 하느님이 된다. 하느님이 그렇듯이,그 경험도 말로 표현할 수 없다. 실로, 이 능력 속에는 누구도 충분히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기쁨과 이루 헤아릴 수 없는 환회가 자리 잡고 있다. 여기서는 고난마저 기쁨과 즐거움이 된다. 그리고 우리는 하느님이 우리의 고통을 짊어지도록 그것을 내준다. 마침내 우리는 우리 고통마저 버릴 수 있게 된다. 쉬르만은 실현된 종말론이 엑카르트의 영성을 대표한다고 말한다. 엑카르트는 “현재의 삶을 일컬어 끝없이 성장하면서 하느님과 하나 되는 삶이라고 말한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바로 이 하나 됨 속에서 역동적이고 영원한 비전을 보았다." 여기서 영혼의 불꽃은 세상을 환히 비추는 빛이 된다.(421)


<금주간 성서읽기> 로마 8-13장
<생태 돌봄 주간> 자신. 이웃. 동물과 식물. 자연환경


<파티마의 성모 마리아와 목동 / 세 바르따스>
제 6장 오직 하느님만을
오롯한 희생-번제-
리스본의 병원에서 혼자 죽는다고 울면서 떠난 히야친따도 아마도 아름다운 발현이 있던 곳, 축복된 땅을 이제 영원히 떠나게 된 루치아만큼 마련을 남기지 않았을 것이다. 루치아는 앞장서 가시는 어머니와 아저씨를 따라가며 맨 뒤에서 소성당이 안 보일 때까지 돌아보고 또 돌아보면서 석별의 정을 아쉬워했다.
소녀의 마음은 아침놀 속에 고바의 언덕이 떠오름에 따라 그리운 정이 더더욱 치밀어 왔다. 할 수 있는 대로 하늘의 어머님께 마음을 들어 올리고 성모님을 위해 온갖 것을 버리고 그 자비하심에 자신을 온전히 맡기려 했다.
세 사람의 나그네는 걸어서 레이리아를 향해 갔는데 13세의 소녀에게는 길고 먼 길이었다. 세 사람이 필리아 시에 도착한 때는 아홉 시 경이었다.
마리아 로사는 이곳에서 친구를 만난 다음 앞으로의 길을 부탁하고 자기네들은 작별하기로 했다.
기차는 오후 2시에만 있었기에 그때까지는 시간이 좀 있었다. 루치아는 눈물에 젖은 얼굴을 어머니 가슴에 파묻고 어머니의 힘찬 포용을 받은 다음 새로운 길을 동반해 줄 부인과 기차에 탔다. 드디어 기차는 슬픔에 짓눌리면서도 하느님의 뜻에 모든 것을 맡긴 용감한 어머니 마리아 로사를 역 내에다 남겨둔 채 그대로 북으로 향했다.(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