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8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말에서 떨어진 바오로처럼

 

깨달음으로 내면의 자유를 경험하면 깨어나기 시작한다.

깨어나는 순간 눈이 열리어 를 알게 되고 하느님을 느끼기 시작한다.

전에 보던 것들이 더는 보이지 않고 보지 못하던 것을 본다.

말에서 떨어진 바오로가 그랬다.

 

자기중심으로만 보던 것들을 하느님과 관련지어서 바라보게 되는

관점이 바뀌는 바라봄이 시작되는 순간, 내면의 붕괴가 일어난다.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의 시선 아래 발견된 나를 아는 순간,

자신의 눈으로만 보던 세상은 무너지고 만다.

잘한다고 한 일이 하느님을 거스르는 일이었음을 깨달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해 놓은 나라가 무너지면 창조의 본래 모습을 본다.

피조물 안에 담겨 있는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의 질서 안에서 창조주를 발견한다.

 

깨달음과 깨어남은 온전히 위로부터 오는 선물이다.

바오로는 외부로부터 번쩍이는 빛으로 눈멀게 되었고 내면의 빛으로 보게 되었다.

자기로 갇혀있는 돌무덤의 문을 열어주는 누군가가 있어야 밖으로 나올 수 있다.

 

말씀과 성사로부터 오는 빛,

자신을 동반하는 선물로서의 만남,

먼저 깨닫고 깨어있는 이들이 비추는 살아있는 빛,

그 빛이 나를 비출 때 옷을 벗는다.

지금까지 겹겹이 껴입었던 옷을 완전히 벗는 내면의 가난한 바닥,

눈멀었던 사람이 보게 되는 회심이 일어나는 위대한 순간,

말에서 떨어진 사건은 나의 삶이 된다.

 

새로운 앎,

관점을 바꾸는 새로운 인식,

나를 중심으로만 살았던 일상을 너를 중심으로 바꾼다.

숙제로 여기던 일들과 했다만을 중요하게 여기고

통제만을 일삼던 사람이 온 정성을 다 쏟기 시작한다.

일상에서 대충하던 일들을 최상급으로 하게 되는 변화를 회심이라고 말하고 싶다.

 

편견과 선입견과 판단의 틀을 가지고 통치하던 사람이

하느님의 자비에 통치를 맡기는 전환을 회심이라고 알게 되었다.

 

서로에게 현존하는 삶이 비추는 거울 속에서

과거에 숨거나 미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자신의 선함과 거룩함을 돋보이게 하려고 포장하지 않아도 되며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고 증명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명령하고 지시하던 사람이 협력을 구하고

마지못해서 하거나 귀찮아하던 일들을 기꺼이 자진해서 하며

대충하던 일들을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한다.


싫어하던 것들을 선택하는 자유와

만나고 싶지 않던 이들을 직접 대면하여 말을 건네고

미뤄두었던 잘못을 꺼내어 용서를 청한다.

 

죄가 없다고 죄를 만들어 고백성사를 보던 사람이

자기 같은 죄인은 없다고 탄식하며 눈물을 쏟고

그와 같은 죄인을 기다리고 돌보아 주셨던 하느님의 자비에 경탄한다.

 

원수로 여기던 사람을 사랑의 대상으로 삼아 그를 위해 환대와 소통의 상을 차려주고

왕좌에 있던 사람이 무수리의 자리에서 기쁨의 잔치를 준비한다.

 

과정의 진실 속에서 넘치는 기쁨으로 누리는 자유는

투명하고 맑은 미소로 하느님께 응답한다.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지금 여기서 누리는 하느님 나라는 그렇게 일상을 바꾼다.

 

보는 것의 위대한 전환,

어떻게가 만든 위대한 회심의 역사는 그렇게 관계를 바꾼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8 온유하고 겸손하신 하느님의 여성성 온유하고 겸손하신 하느님의 여성성   너무나 많은 이들이 교회를 다니는 이유가 하느님의 사랑을 배우고 진리를 따라 살기보다는 사교클럽 삼아 다니거나 인간 ... 이마르첼리노M 2024.03.21 487
1477 사랑하는 아들을 먼저 보낸 슬픈 母情 사랑하는 아들을 먼저 보낸  슬픈 母情   1. 속마음을 비추는 벌거벗은 촛불 앞에 미사가 끝난 후 텅 빈 성당의 쓸쓸한 제대 같은 모습처럼 혼자의 고독과 여럿... 이마르첼리노M 2024.03.19 509
1476 생명의 물이 흘러가는 강가에 서서 (에제키엘 47,1-9) 생명의 물이 흘러가는 강가에 서서 (에제키엘 47,1-9)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자비와 선으로 표현된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입니다. 그 사랑은 성전 ... 이마르첼리노M 2024.03.12 574
1475 생명의 노래 생명의 노래   준 것은 잊고  다만 받은 기쁨을 되새기며 노래하자,   이별은 잊고 언젠가 그 날의 만남, 청신한 환희를 돌아보며 노래하자,   가장 훌륭한 애정... 이마르첼리노M 2024.03.08 249
1474 예수님, 저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예수님, 저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나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당신은 자신이 십자가에 달리는 한이 있어도 남을 십자가에 매달기를 거부하셨습니다. 나... 이마르첼리노M 2024.03.05 300
1473 다섯째 날: 수줍어하는 수사슴을 보기 다섯째 날: 수줍어하는 수사슴을 보기 겸손은 영성적으로 그리고 심리적으로 한 마리의 수줍어하는 수사슴과 같다. 당신이 자신의 선물들을 과대 혹은 과소평가하... 김상욱요셉 2024.03.05 618
1472 몸값에 대한 이해 1. 프랑스 출신 피에르 신부님의 해석 몸값에 대한 이해 1. 프랑스 출신 피에르 신부님의 해석   “사람의 아들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 이마르첼리노M 2024.03.02 320
1471 몸값에 대한 이해 2. (서공석 신부님) 몸값에 대한 이해 2. 서공석 신부님의 해석   “사람의 아들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치러 왔다.” ... 이마르첼리노M 2024.02.28 623
1470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한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은 성프란치스코를 완전히 사로잡은 하느님의 매력이었습니다. 겸손은 ... 이마르첼리노M 2024.02.26 533
1469 힘없는 힘의 표징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 힘없는 힘의 표징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     도덕적 게임은 끝났다. 누가 잘 지켰고 누가 많이 바쳤느냐? 누가 의롭고 누가 불의하냐? 누가 거룩하고 누가... 이마르첼리노M 2024.02.24 373
1468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의 활력은 사랑입니다. 인간이 개인적인 노력에 따라 구원받는다는 영지주의와 근본주의자들은 이원론으로부터 영... 이마르첼리노M 2024.02.21 405
1467 기도와 단식과 자선에 대한 새로운 이해 기도와 단식과 자선에 대한 새로운 이해   “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마르 1,15)     교회 전통 안에서 회개는 기도와 단식과 ... 이마르첼리노M 2024.02.19 570
1466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당신이 삶의 일상적 선물들을 음미하는 작은 방법들로 어떤 것이 있는가? 당신이 이 질문을 숙고할 때, 가족, 친구, 동료들 그리고 삶의 ... 김상욱요셉 2024.02.16 217
1465 기도는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창조의 행위입니다. 기도는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창조의 행위입니다.   하느님의 현존은 특정한 장소나 때에만 계시는 분이 아닙니다. 우리의 노력으로 하느님을 모실 수 있는 게 ... 이마르첼리노M 2024.02.16 772
1464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 하기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pruning) 하기 어떤 환경 하에서 당신의 선물들이 부담이 되어버렸는가요? 다른 사람들의 반대들 때문이 아니라, 당신 자신의 ... 김상욱요셉 2024.02.12 564
Board Pagination ‹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08 Next ›
/ 10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