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9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고요한 씨앗의 이야기

 

고요한 씨앗의 이야기

하느님은 말씀을 씨앗처럼 우리의 마음에 심으십니다. 그분의 씨앗은 보이지 않게 떨어지지만, 그 안에는 생명이 담겨 있습니다. 좋은 땅은 기다리는 땅입니다. 고요히, 깊이, 낮은 자리에서 그 말씀을 품고 자라기를 소망합니다. 이 묵상은 그런 마음 밭을 가꾸어가는 마음을 그려보았습니다. 돌을 치우고, 가시를 뽑아내며 말씀을 품는 흙이 되어 생명과 자유를 노래하는 심연의 고백들입니다.

 

씨앗과 땅의 묵상

좋은 땅이 되기 위한 첫걸음말씀의 씨앗은 길가에 떨어질 수도 있고, 돌밭이나 가시덤불에도 닿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좋은 땅은 가난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내려놓을 줄 아는 흙입니다. 씨앗은 견디는 흙에서 자랍니다. 비를 맞고, 햇빛을 견디며, 고요히 기다리는 땅에서 말씀은 생명이 됩니다. 성 프란치스코께서는 좋은 땅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말씀을 듣고, 이해하고, 간직하고, 행하고, 한 번만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그렇게 사는 사람은 삼십 배, 육십 배, 백배의 열매를 낸다.”

 

내려놓는 영성-가난과 겸손

사랑받는다는 사실만으로 충분한 존재하느님은 우리가 자격을 갖추기 전에 사랑하십니다. 그 사랑은 증명하지 않아도 되고, 자랑할 필요도 없습니다. 사랑받는다는 기쁨은 존재를 겸손하게 만들고 자기를 내려놓게 만듭니다. 더 이상 숨기거나 꾸미지 않아도 그 사랑으로 충분합니다.

 

관계적 선에 참여하는 존재

사랑이 흐르는 곳에 생명이 있고, 거기에 주님의 영은 함께 있습니다. 삼위 하느님의 관계는 서로를 내어주는 선함의 흐름입니다. 우리는 그 흐름에 참여하도록 부르심 받았습니다. 하느님과 나, 너와 나, 피조물과 나, 나 자신과의 관계까지 모든 관계는 기도가 됩니다. 함께 머무는 것, 귀 기울이는 것, 그리고 자기 자신을 내어주는 것이 기도의 시작입니다.

 

심연의 고백 - 달빛과 불꽃의 찬가

조용한 그리움, 꺼지지 않는 불꽃, 밤이 깊어질수록 내면의 사랑은 조용히 타오릅니다. 달빛에 스민 그리움처럼 달빛은 그리움을 감싸고, 불꽃은 심연에서 피어납니다. 피조물의 숨소리에도 하느님의 선함과 아름다움은 숨겨져 있고 나는 그 소리에 귀 기울이며 찬가를 부릅니다.

 

삶의 에너지와 참 자유

비워내야 피어나는 생명, 내려놓아야 흐르는 사랑나는 포장하려 했고, 증명하려 했고, 비교하려 했으며, 자랑하려 했고, 경쟁하면서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은 선의 흐름을 막고 생명을 닫아 버렸습니다. 이제는 내려가고 내려놓고 허용하고 놓아주려 합니다. 하느님의 선함 안에서 저는 그저 도구로써 존재하며 사랑받는 자유를 누리고 있습니다.

 

씨앗처럼 살아가는 삶

우리가 걸어온 삶은 돌밭을 지나 가시덤불을 걷고 좋은 땅이 되기 위해 가꾸는 여정이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마음의 밭에 뿌려진 말씀의 씨앗은 내 안에 자라 생명이 되었고, 그 생명은 자유로 피어났습니다. 하늘이 땅을 품고 땅이 하늘을 품고 있습니다. 생명이 흐르는 유역에 그대가 살고 있고 조용히, 고요히, 불꽃이 타오르듯 말씀에 굴복하고 누리고 내어주면서 땅을 가꿔 가기를 희망해 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9 흙에서 태어난 순례자의 노래 (골로사이 3장을 읽고) 흙에서 태어난 순례자의 노래 (골로사이 3장을 읽고)   나를 채웠던 단단한 '나'를 가난한 누이에게 기쁘게 내어주니 비로소 내 안에 깃들 하느님의 자리가 생겨... 이마르첼리노M 2025.08.03 48
1628 마리아는 육화의 도구로써의 원형 (천사들의 성 마리아 포르치운쿨라 축일에) 마리아는 육하의 도구로써의 원형 (천사들의 성 마리아 포르치운쿨라 축일에)   성 프란치스코와 성모 마리아의 관련성은 프란치스칸 영성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1 이마르첼리노M 2025.08.02 195
1627 만들어진 나와 참된 나 만들어진 나와 참된 나   영성 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만들어진 자아상'에 대한 집착하는 데서 나옵니다. 이는 하느님 안에서 본래부터 ... 이마르첼리노M 2025.08.01 86
1626 작은자의 기도 작은 자의 기도   나는 창조라는 거대한 숲속에 선 한 그루의 이름 모를 나무입니다. 시간의 강물 위로 영원하신 하느님의 신비가 거대한 그림처럼 펼쳐질 때, ... 이마르첼리노M 2025.07.31 95
1625 친교 친교   친교의 본질은 자기 속을 드러낼 때 이루어집니다. 진정한 관계, 즉 친교는 서로가 자신의 내면, 생각, 감정, 취약성 등을 솔직하게 드러낼 때 비로소 형... 이마르첼리노M 2025.07.30 112
1624 가장 강력한 변화의 동력 가장 강력한 변화의 동력   &quot;너희의 이름이 하늘에 기록되었음을 기뻐하여라&quot;(루가 10,20) 이 말씀을 온전히 신뢰한다면 그 말씀이 우리 인생 전체를 바꿔 놓을 ... 이마르첼리노M 2025.07.29 83
1623 금송아지 숭배에 대한 프란치스칸적 해석 금송아지 숭배에 대한 프란치스칸적 해석   프란치스칸 영성은 성 프란치스코의 삶과 가르침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특히 가난, 겸손, 작음과 단순성, 그리고... 이마르첼리노M 2025.07.28 87
1622 연중 제17주일 말씀 묵상 연중 제 17주일 말씀 묵상   ​인간의 한계, 예수님의 유일한 구원, 그리고 성령의 인도하심   소돔과 고모라 이야기 ​인간의 역사는 &quot;의인 열 사람&quot;을 찾아 헤매... 이마르첼리노M 2025.07.27 81
» 고요한 씨앗의 이야기 고요한 씨앗의 이야기   고요한 씨앗의 이야기 하느님은 말씀을 씨앗처럼 우리의 마음에 심으십니다. 그분의 씨앗은 보이지 않게 떨어지지만, 그 안에는 생명이 ... 이마르첼리노M 2025.07.23 90
1620 호명의 힘 (막달라마리아의 축일에) 호명의 힘 (막달라 마리아 축일에)   막달라 마리아의 간절하고 애타게 찾는 마음, 사람의 갈망과 마주하시는 예수님과 그분의 호명. 막달라 마리아의 모습은 인... 이마르첼리노M 2025.07.22 77
1619 연중 제 16주일 독서와 복음 말씀 묵상 연중 제 16주일 독서와 복음 말씀 묵상   1. 섬김과 환대 (아브라함과 나그네) 아브라함처럼 “작은 친절이 하늘 문을 여는 순간”이 됩니다. 누구든지 따뜻하게 ... 이마르첼리노M 2025.07.20 106
1618 K-민주주의와 플라톤 오늘날 이 시대의 롤모델로 여겨지는 K-민주주의가, 진정한 철학자들이 많아지는 ‘집단이성’의 형태로 발전해 간다면, 어쩌면 플라톤이 간절히 갈망했던 ‘정의로... 고도미니코 2025.07.19 68
1617 예수님께 배워야 할 전공과목 예수님께 배워야 할 전공과목   온유하고 겸손한 마음 편한 멍에와 가벼운짐 예수님에게서 배워야 할 최상의 학교   예수님의 마음, 곧 온유함과 겸손함은 세상... 이마르첼리노M 2025.07.17 117
1616 발견할수록 신비롭고 아는 만큼 큰 보물 발견할수록 신비롭고 아는 만큼 큰 보물   변화로 나아가는 사람은 희생자가 되거나 희생자를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아버지의 뜻과 복음의 목표는 우리가 삼위... 이마르첼리노M 2025.07.16 94
1615 갈망과 갈망이 만나는 곳에 신성한 실재가 있습니다. 갈망과 갈망이 만나는 곳에 신성한 실재가 있습니다.   “성령께서도 연약한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도 모르는 우리를 대신해서 말로 다 할 ... 이마르첼리노M 2025.07.09 10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0 Next ›
/ 11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