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 1오늘의 에페소 평화기도 다락방 말씀 기도와 지향✝️
2022년 5월 19일 목요일

✝️ 1교부들의 말씀 묵상✝️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사랑하였다.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내가 내 아버지의 계명을 지켜 그분의 사랑 안에 머무르는 것처럼, 너희도 내 계명을 지키면 내 사랑 안에 머무를 것이다.(요한 15,9-10)
그리스도 안에 머무르며 그리스도처럼 되다
자신을 위해 돌아가신 분처럼 될 날을 손꼽아 기다리며 교만도 자랑함도 없이, 창조된 것들과 창조주 - 전능하신 하느님이시며 만물이 존재 하게 하신-의 관계에서 참된 영광을 굳게 지키며 하느님께 대한 사랑과 복종을 변함없이 지키고 늘 감사하는 사람은 누구나 하느님으로
부터 더 큰 영광을 받을 것입니다.
-이레네우스-

✝️ 1성인 / 영적 글 묵상✝️
50가지 예수 모습 / 안셀름 그륀
1. 유다인 예수
예수님은 나자렛이라는 시골 마을 출신이지만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에 비할 수 없는 폭넓은 사고력을 가지고 계셨다. 그분은 당신의 마음을 믿으셨다. 그래서 마음속으로 옳다고 생각하는 대로 율법을 해석하셨다. 그러고 당신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위한 하느님의 뜻이 무엇인지 아신다고 생각하셨다.
신학자 빌헬름 브루너스는 <예수님은 어떻게 신앙을 배우셨을까?> 라는 책에서 예수님이 유다교의 전통을 배우며 자라시고 유다교에서 신양을 배우셨다고 말했다. 브루너스의 주장에 의하면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가 당시 이스라엘에 널리 퍼져 있던 묵시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마리아의 <마니피캇>에도 이런 묵시론의 영향을 받은 믿음이 담겨 있다. 묵시론은 하느님께서 곧 오실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있었다. 그리고 하느님께서 오시면 온 세상이 변하고 권력이 바뀌고 부자들이 망하고 굶주린 사람들이 배부르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예수님은 하느님께서 곧 오셔서 세상을 다스리시고 바꾸실 것이라는 믿음을 마리아에게 배우셨다: “하느님께서 계시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하느님은 주저하지 않으신다. 하느님은 곁에서 그저 구경만 하시는 분이 아니다. 그분은 이 세상에 직접 관여하신다."(21)

✝️ 1에페소 평화기도 다락방 5월 영적 수련 성월 3주간 감사/찬양 ✝️
금주간 성서 읽기 에페 1-6장

✝️ 1목요일 성모님의 날✝️
<파티마의 성모 마리아와 목동 / 세 바르따스>
어린 세 친구
조촐한 백합화에도 작은 먼지가
한때 출정한 오빠의 소식이 끊겨서 아마도 전사하지 않었는가 하며 모두가 걱정하고 있었는데 히야친따도 오빠 생각을 하면서 슬피 울고 있었다. 루치아는 히야친따를 위로하려고 론도를 시작하였고 한 바퀴 돌 즈음엔 히야친따의 눈물은 이미 말라 있었다.
다음에 알게 되는 일이냐 빌라 노바 드 우렘 군수가 감옥에 가두었을 때도 춤추는 취미만은 히야친따의 마음에서 앗아 갈 수가 없었다. 함께 갇혀 었던 사람들 중에 아코디온을 가져 온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가련한 아이들을 좀 기쁘게 해주려고 아코디온올 켰다. 누군가가 춤을 한바탕 추면 어떠냐고 권하자 죄수들은 늙은이 젊은이 할 것 없이 고운 음률에 흥이 나서 춤을 추기 시작했다.
죄수 중 한 사람은 파트너로 히야친따를 택하고 아주 신이 나서 마치 가벼운 언형처럼 히야친따를 두 팔로 안아 올리면서 관중들의 갈채 속에 빙빙 돌며 춤을 추는 것이었다.
이 추억을 이야기하면서 루치아 수녀는,
“성모님께서 그 사람을 불쌍히 보아 주셔서 회두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고 말했다.
이 아이들은 말하자면 날 때부터 댄스광이었다. 그렇다고 놀랄 것은 없다. 포르투갈의 목동들에게 춤은 죄가 되지 않는 하나의 쉽이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 시대에는 파티마에서도 굉장한 무도회가 자주 열렸고 각 마을에서는 주일마다 춤을 추고 있었다. 이런 일반 무도회 외에 어린이들을 위한 별개의 무도회도 있었고, 모두가 모여서 놀며 춤을 추었다. 이리하여 루치아, 히야친따는 몇 가지 춤, 특히 스페인 무용과 뜨래뽀엔뜨를 출 수 있었다.(40)
----------------------------------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수도회 한국관구
에페소 기도의 집

☨에페소 기도의 집은 순례와 피정을 통한 에페소 성모님 성지 보존과 중동평화와 난민을 위한 기도를 지향합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23Nov

    11월 23일

    2020년 11월 23일 연중 제34주간 월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43898
    Date2020.11.23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17 file
    Read More
  2. No Image 23Nov

    연중 34주 월요일-나를 위한 정성

    연중 34주 월요일-2012   “저 과부는 궁핍한 가운데에서 가지고 있던 생활비를 다 넣었다.”   <나를 위한 정성>   정성을 다하는 것은 그 누구를 위한 것이 아니고 바로 나를 위한 것입니다. 그것은 하느님께 정성을 다하는 것이나 거지에게 정성...
    Date2020.11.2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945
    Read More
  3. 22Nov

    11월 22일

    2020년 11월 22일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 http://altaban.egloos.com/2243895
    Date2020.11.22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55 file
    Read More
  4. No Image 22Nov

    그리스도 왕 대축일-우리를 왕이 되게 하시는 왕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의 왕으로 모시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당신의 형제로 삼으신다는 것이 오늘 그리고 이번 그리스도 왕 축일이 제게 주는 메시지입니다.   오늘 그리스도 왕 축일은 그리스도께서 왕권을 차지하셨음을 축하하는 축일...
    Date2020.11.2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939
    Read More
  5. No Image 22Nov

    2020년 11월 22일 그리스도왕 대축일-터키 에페소 기도의집

    2020년 11월 22일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성서주간) 오늘은 교회 전례력으로 2020년 한해를 마무리 하는 마지막 주간입니다. 교회는 이 날을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로 지내는 동시에 성서주간을 정...
    Date2020.11.22 Category말씀나누기 By고도미니코 Reply0 Views276
    Read More
  6. No Image 21Nov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사람의 아들은 마지막 날에 사람들을 갈라 놓을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사람들을 둘로 가르는 기준은 사람의 아들에게 자선을 베풀었는지 아닌지에 달려 있습니다. 자신의 오른쪽에 있는 사람들과 왼쪽에 있는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기준은 똑같습니다. 그러...
    Date2020.11.2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321
    Read More
  7. 21Nov

    11월 21일

    2020년 11월 21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자헌 기념일 - http://altaban.egloos.com/2243884
    Date2020.11.21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10 file
    Read More
  8. No Image 21Nov

    성모 자헌 축일-우리가 가야할 곳은 초심이 아니라 완성

    오늘 축일의 우리말 이름이 '자헌'이기에 성모님이 봉헌되신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을 봉헌하신 것처럼 이해되기 쉽습니다.   그런데 전승적인 차원에서 보면 세 살 때 부모가 봉헌하신 것이지요. 그런데도 오늘 축일의 의미를 성모님이 스스로 자신을 ...
    Date2020.11.2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991
    Read More
  9. 20Nov

    11월 20일

    2020년 11월 20일 연중 제33주간 금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43867
    Date2020.11.20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37 file
    Read More
  10. No Image 20Nov

    연중 33주 금요일-빈집이 깨끗한 집이 아니듯

    "나의 집은 기도의 집이 될 것이다."   저의 어릴 때와 비교하여 요즘 제가 많이 불편해하고 불만인 것이 요즘 성전에서의 모습입니다. 옛날에는 성전이라야 안팎의 모습이 너무도 초라하였지만 성체가 모셔져 있기만 하면 너무도 엄숙하고 그래서 거룩...
    Date2020.11.2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06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 825 Next ›
/ 82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