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말씀나누기
김명겸요한 2022.01.23 08:52

연중 제3주일

조회 수 206 추천 수 0 댓글 0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다른 복음서들과는 달리 루카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공생활을 시작하시면서
회당에서 가르치십니다.
이사야서 61장을 읽으시면서
앞으로 기름부음을 받은 메시아로서
당신께서 어떻게 살아가실 것인지
예고하십니다.

루카복음은 유다인이 아닌 이방인을
독자로 삼습니다.
오늘 복음의 시작부분에서 언급되는
테오필로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이름으로
유다인이라기보다는 이방인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러한 복음이 다른 복음서와는 달리
예수님의 첫 모습을 회당에서 전하는 것이
조금은 독특하게 보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기다려온 메시아는
자유와 해방을 선포하기 위해서 올 것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눈먼 이들을 다시 보게 하고
억압받는 이들을 해방시키시는 것은
단순한 기적을 일으키는 것이 아닙니다.
이 모든 것은 메시아로서 이루시는
일련의 사건에 불과합니다.
그럼에도 이것들을 언급하시는 이유는
이사야서가 이것들을 언급하면서
그것들을 메시아와 연결하기 때문입니다.
즉 눈먼 이가 다시 보고
억압받는 이가 해방되는 것은
메시아를 가리키는 하나의 신호입니다.
그 신호를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서
예수님께서는
이사야서의 내용을 알고 있는 사람들 앞에서
그것을 선포하십니다.
그리고 이 선포의 가장 좋은 장소는
회당이었을 것입니다.

루카복음사가가 집중하는 자유와 해방의 선포가
지금 우리에게도 다시 반복됩니다.
우리는 더 이상 노예로 살지 않지만
그럼에도 자유를 만끽하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누가 나에게 굴레를 씌우는 것은 아니지만
답답함을 느끼고
벗어나고 싶은 충동이 생깁니다.
공동체 안에서
사회 안에서
내 멋대로 사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지만
사람들은 점점 숨 쉴 공간을 찾아
헤메는 듯이 보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자유와 해방이
비록 지금 당장 이루어지지는 않지만,
그것이 헛된 꿈은 아님을
예수님께서는 말씀하십니다.
그 답답함을 알고 계시고
그것을 해결해 주시고자
우리에게 다가오십니다.
이사야서를 읽으면서
막연히 메시아를 기다리고 있던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것은 더 이상 막연한 기대가 아니라
실현 가능한 희망임을 보여주십니다.
그렇기에 우리도 자유와 해방을 꿈꿀 수 있습니다.

인간적인 나약함과 실수로
매번 넘어지고 어둠에 빠지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빛을 주시는 하느님께서
함께 하심을 놓지 않고
우리가 희망하는 것을 향해
한 발 더 나아갈 수 있는
우리 모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19Jul

    2020년 7월 19일 연중 제16주일 -터키 에페소 기도의집

    2020년 7월 19일 연중 제16주일 오늘 복음에서 주님께서는 비유를 통해서 참된 본질을 밝히 드러내어 주십니다. 참된 본질에 접근하는 데는 다음의 세가지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경험적 접근, 논리적 접근, 은유적 접근 즉, 시적 접근 그리고 종교적인 방...
    Date2020.07.19 Category말씀나누기 By고도미니코 Reply0 Views328
    Read More
  2. No Image 19Jul

    연중 제16주일-용서할 의무는 주셨어도 단죄할 권한은 주지 않으신 주님

    오늘 복음은 하느님이 선이신데 어찌 세상에 악이 있는지, 악한 사람이 판을 치고 있는데 하느님께서는 왜 벌주시지 않는지, 이런 어려운 문제에 대한 답입니다.   이에 대해 주님께서는 악은 하느님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원수가 악의 씨를 뿌렸다고 ...
    Date2020.07.1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011
    Read More
  3. 19Jul

    연중 제16주일

    2020년 7월 19일 연중 제16주일 - http://altaban.egloos.com/2242376
    Date2020.07.19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64 file
    Read More
  4. 18Jul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2020년 7월 18일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42370
    Date2020.07.18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41 file
    Read More
  5. No Image 18Jul

    연중 15주 토요일-그 조용한 사랑

    "그는 올바름을 승리로 이끌 때까지 부러진 갈대를 꺾지 않고 연기 나는 심지를 끄지 않으리니 민족들이 그의 이름에 희망을 걸리라.”   오늘 복음은 주님을 민족들이 희망을 거는 분으로 얘기합니다. 그러면서 민족들이 주님께 희망을 두는 이유를 설명...
    Date2020.07.1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132
    Read More
  6. No Image 17Jul

    [동영상]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우리는 참으로 교만하다.

    동영상 강론을 공유합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감사합니다. https://youtu.be/lUsiTK5D1Oo
    Date2020.07.17 Category말씀나누기 By박루케시오 Reply0 Views286
    Read More
  7. 17Jul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2020년 7월 17일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42361
    Date2020.07.17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88 file
    Read More
  8. No Image 17Jul

    연중 15주 금요일-안식을 누리는 안식일 주인들

    "사실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오늘 주님께서는 제자들이 안식일에 밀이삭을 뜯어먹은 것 때문에 안식일 법을 어겼다고 시비 거는 바리사이들에게 사람의 아들이 안식일의 주인이라고 하시는데, 여기서 사람의 아들은 누구일까요? 주님 당...
    Date2020.07.1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049
    Read More
  9. 16Jul

    연중 제15주간 목요일

    2020년 7월 16일 연중 제15주간 목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42350
    Date2020.07.16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76 file
    Read More
  10. No Image 16Jul

    연중 15주 목요일-휴식이 아니라 안식을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주님께서는 고생하고 무거운 짐을 진 이에게 안식을 주겠다고 하십니다. 그런데 주신다는 안식은 어떤 안식입니까? 그리고 고생하고 무거운 짐은 무엇입니까?  ...
    Date2020.07.1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10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 805 Next ›
/ 80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