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함은 불신으로 하느님의 약속을 의심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믿음으로 더욱 굳세어져 하느님을 찬양하였습니다.”
로마서는 계속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에 관해 얘기합니다.
그 후손이라면 같은 믿음을 가져야 한다는 말씀이겠습니다.
그런데 믿음이란 아브라함이 아무리 믿음의 조상일지라도
저절로 갖게 된 것이 아니고 후손인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제 경험을 보면 믿음이란 매번 결단하는 것이고,
결단을 내렸던 첫 번째 경험이 아주 중요합니다.
곧 믿을 것인가 말 것인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끝에
결단을 내렸던 첫 번째 경험이 있은 다음에도 매번 결단해야 하는 것입니다.
저는 이발소에서 그 첫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날도 전과 같이 별 의심 없이 면도사에게 제 목을 맡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날은 내가 ‘이 여자에 대해 뭘 안다고 내 목을 맡기고 있지?’ 하는
생각이 처음으로 들면서 그분이 정신 이상자라면 또는 그날 안 좋은 일이
그분에게 있었다면 제 목을 날카로운 면도칼로 찌를 수 있는 것 아닌가? 하는
불안한 마음이 들면서 계속 내 목을 맡길 것인가 말 것인가? 순간 고민했지요.
그리고 그때 저는 그분을 믿기로 했고,
앞으로 다른 모든 경우에도 계속 믿는 쪽의 선택을 하기로 했습니다.
믿지 않는 쪽으로 또는 의심하는 쪽으로 선택한다면
이제부터 저는 아무도 믿기 어려울 것이고 그렇게 되면
이 세상을 살아가기 힘들 것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믿음의 원칙과 믿음의 선택이 소중했던 것은
그것들이 하느님께 대한 믿음에도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사실 믿기 어려운 것은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입니다.
하느님은 존재조차 있는지 없는지 모르는 데다
나의 삶과 죽음까지 거는 믿음이기 때문입니다.
아브라함의 경우는 그 늙은 나이에 아들을 갖게 될 것이라는
하느님 말을 믿어야 했고 모든 것을 버리고 떠나야 했습니다.
아브라함도 하느님의 말을 믿을 것인가 말 것인가?
고민해야 했고 선택해야 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속는 셈 치고 믿어보기로 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우리말 믿어본다는 것이 재밌고 뜻이 있습니다.
해본다는 말이 일단 하고 보고 그리고는 한 게 어찌 되는지 본다는 뜻인 것처럼
믿어본다는 말도 일단 믿고 보고 그리고 어찌 되는지 본다는 뜻이 있습니다.
믿음은 이처럼 도박적인 요소가 있습니다.
그러나 긍정적인 쪽으로 도박하는 거지요.
불신이 부정적인 쪽으로 믿는 것이라면
믿음은 긍정적인 쪽으로 믿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어쨌거나 안 믿는 쪽으로 선택할 것인가? 믿는 쪽으로 선택한 것인가?
우리 믿음의 조상인 아브라함에게서 도전도 받고 자극도 받는 오늘 우리입니다.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