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전례는 어제까지 테살로니카서를 읽고 오늘부터 콜로새서를 읽습니다.
테살로니카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칭찬한 바오로 사도가
콜로사이 신자들의 신앙생활도 칭찬하니 읽는 저도
마음이 한결 편하면서도 정말 좋은 자극을 받는데 오늘은 이렇게 칭찬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을 위해 기도할 때면 늘 하느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스도 예수님에 대한 여러분의 믿음과 모든 성도를 향한
여러분의 사랑을 우리가 전해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 믿음과 사랑은
여러분을 위하여 하늘에 마련되어 있는 것에 대한 희망에 근거합니다.”
요점은 이렇습니다.
콜로사이 신자들의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과
성도들을 향한 사랑 곧 이웃 사랑이 아주 훌륭한데
그것은 그들이 천상 것에 희망을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이들이 완벽한 향주삼덕(向主三德)을 가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하느님과 하느님 나라를 향한 삼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지요.
아시다시피 우리 교회에서 삼덕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가난과 정결과 순명의 복음삼덕이고,
다른 하나는 믿음과 희망과 사랑의 향주삼덕입니다.
이것은 바오로 사도가 코린토 전서 13장 사랑의 찬가에서
모든 덕 가운데 이 향주삼덕이 뛰어나고
그중에서도 사랑이 으뜸이라고 한 것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런데 오늘 바오로 사도의 말씀처럼 믿음과 사랑과 희망은 천상적이어야 합니다.
지상의 믿음과 사랑과 희망과 달라야 합니다.
그리스도교 신자라고 하는 사람들의 믿음이
얼마나 불완전하다고나 할까 천박한지 모릅니다.
하느님을 복 주시는 하느님으로 철석같이 믿지만
하느님의 그 복이 고작 재물이거나 건강이거나
이 세상에서의 성공과 명예 직위이고
이런 축복을 삼박자 축복이라고 하니 말입니다.
사랑은 또 어떻습니까?
이웃 사랑은 어떻고 하느님 사랑은 어떻습니까?
나와 내 가족만 사랑합니다.
원수까지 사랑해야겠다는,
하느님 사랑의 경지까지 올라야겠다는 마음은 도무지 없습니다.
하느님도 나와 내 가족을 잘 되게 해주시는 하느님만 사랑합니다.
고난을 통해 천국으로 데려가시려는 하느님은 사랑하지 않습니다.
이런 믿음과 사랑은 철저히 현세구복적(現世求福的)입니다.
연이 하늘로 오르지 못하고 이내 땅에 곤두박질치듯
희망이 믿음과 희망을 데리고 저 하늘까지 오르지 못하고
날개 잃은 천사처럼 믿음과 사랑을 동반하여 이 세상에 처박힙니다.
그러니 우리는 희망부터 천상에 두는 우리여야겠습니다.
그렇게 결심하는 오늘 우리입니다.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