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오늘의 복음은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입니다.
씨 뿌리는 사람이 씨를 뿌렸는데
길, 돌밭, 가시덤불, 좋은 땅에 각기 떨어져
열매 맺기도 하고 못 맺기도 한다는 비유입니다.

이번에는 이렇게 생각이 되어졌습니다.
하느님께서는 훌륭한 농부가 아니시구나!
제대로 된 농부라면 씨를 아무 데나 뿌리지 않을 것입니다.
씨를 왜 길바닥에 뿌립니까?
그 귀한 씨를 왜 낭비합니까?
농사를 짓자는 얘깁니까?
제 정신인 농부입니까?

지금까지는 토양의 좋고 나쁨의 관점에만 비유를 봤는데,
농부의 입장에서 이 비유를 보니
하느님은 정말 문제가 있는 농부십니다.

저는 저의 얘기가 씨도 안 먹힐 것 같으면 아예 말도 꺼내지 않습니다.
자존심 상하는 것이 싫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나의 애씀이 허사되는 것이 싫기 때문입니다.
실상 내가 누구에게 무슨 말을 한다는 것이 얼마나 힘이 듭니까?
몇 번을 끙끙거리다 겨우 한 번을 말하지요.
그리고 그런 말일수록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괴롭고 분노가 치밀기도 하기에
그만큼 얘기를 꺼내기도 힘이 듭니다.

그런데 가만 들여다보면 자기가 강할수록 끙끙거립니다.
정말 상대를 사랑하고 자기가 없으면
그렇게 힘들게 얘기하지 않습니다.
나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아도 내가 상처받지 않고
그가 안타깝고 애처로울 뿐입니다.
나의 말을 하는 것이 아니고 그를 위한 말을 하기에 자유롭습니다.

오늘 하느님의 말씀도 그렇습니다.
어차피 하느님의 사랑은 낭비입니다.
저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사랑을 표현할 때
“Lavish"란 말을 쓰는 것을 좋아합니다.
예를 들어 "God lavishes His love on us"와 같은 말이지요.
넘치도록, 활수하게, 심지어 낭비하며 퍼부으신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하느님께서 이렇게 사랑을 낭비하심은
그만큼 사랑이 많으시기 때문입니다.
돈 없는 사람이 돈을 흥청망청 쓸 수 있습니까?
돈이 많은 사람이라야 흥청망청 쓸 수 있지요.
하느님 사랑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하느님 사랑은
아까워하지 않으시기 때문에 우리 눈에 볼 때 낭비하십니다.

사랑을 아까워하지 않으시는 주님은 말을 아끼지 않으십니다.
제 주변에 저에게 그렇게 말씀해주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분들은 하느님의 이런 사랑을 닮은 분들이지요.
저도 그렇게 하려고 노력하지만
저의 사랑은 알량하고
무엇보다 “자기”가 강해서 저는 그렇게 하지 못합니다.

오늘 아침, 반성합니다.
사랑의 말을 아끼는 저를,
아니 하지 못하는 저를,
돌덩이처럼 굳은 마음으로
쏟아부으시는 하느님 사랑의 말씀을 튕기는 저를.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넋두리 2010.07.22 21:23:27
    저도 그래요.
    마음은 있는데...
    제가 이기적이기 때문일까? 하고 생각해 보다 저는 말에 대한 책임을 져야하기 때문에 부담을 느껴서라고 해야 더 솔직한 저의 표현입니다.

    그래도 제 경험으로 빈말이라도 좋은말을 들으면 기분이라도 달라지고
    표현하기 힘들어도 한번 하게되면 어색하지 않으며 상대방의 입장도 달라지더군요.
    솔직하시고 섬세하신 신부님의 말씀은 내 마음의 문을 열게하여 감사합니다.
  • ?
    홈페이지 요셉 2010.07.22 21:23:27
    그렇습니다.

    사랑의 말, 그리고,
    부드러운 손길로 상대의 등을 쓰다듬는
    순간 처럼 행복한 순간도 없던네,
    왜, 그것이 그렇게 어려운것인지, 신비가 아닐 수 없네요.
    마음씀의 인색함이 부끄러울 뿐입니다.
    고맙습니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3Jul

    연중 16주 금요일-분심 없는 들음

    이런 경우는 하늘나라에 관한 듣지 못하는 세 가지 유형 중에, 즉 길에 뿌려진 씨, 돌밭에 떨어진 씨, 가시덤불에 떨어진 씨 중에 어디에 속할까요? 어제는 미사를 드리면서 내내 소음 때문에 마음을 뺏겼습니다. 아침 그리 덥지도 않은데 왜 에어컨을 킨 것인...
    Date2010.07.23 By당쇠 Reply1 Views903
    Read More
  2. No Image 22Jul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사랑하지만 떠난다.

    주님을 사랑하는 제자를 꼽는다면 베드로와 요한이 꼽힙니다. 그러나 돌아가시고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의 과정에서 보면 베드로와 요한이 과연 주님을 사랑했나 의심이 갑니다. 마리아 막달레나가 무덤이 비어 있음을 알리자 달려가 주님의 실종을 확인하고...
    Date2010.07.22 By당쇠 Reply2 Views1254
    Read More
  3. No Image 21Jul

    연중 16주 수요일-낭비하시는 하느님 사랑

    오늘의 복음은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입니다. 씨 뿌리는 사람이 씨를 뿌렸는데 길, 돌밭, 가시덤불, 좋은 땅에 각기 떨어져 열매 맺기도 하고 못 맺기도 한다는 비유입니다. 이번에는 이렇게 생각이 되어졌습니다. 하느님께서는 훌륭한 농부가 아니시구나! 제...
    Date2010.07.21 By당쇠 Reply2 Views985
    Read More
  4. No Image 20Jul

    연중 16주 화요일-나를 가리키시며 말씀하신다.

    “당신의 제자들을 가리키시며 이르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마리아와 주님의 형제들이 주님을 만나러 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주님을 둘러싸고 있어 가까이 ...
    Date2010.07.20 By당쇠 Reply2 Views875
    Read More
  5. No Image 16Jul

    연중 15주 금요일

    오늘은 웬일일까? 밀 이삭을 뜯어 먹는다고 주님의 제자들에 대해 시비를 거는 바리사이의 역성을 들고 싶은 마음이 들었습니다. 전에는 이들이 참으로 심통 사납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지금 생각해보면 꼭 그런 사람은 아니리라는 것이지요. 심통 사나운 ...
    Date2010.07.16 By당쇠 Reply5 Views1003
    Read More
  6. No Image 15Jul

    연중 15주 목요일-일을 쉬지 말고 주님 안에서 쉬어야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자기가 진 짐이 무겁다고 대부분의 사람이 얘기합니다. 제가 보기에는 별거 아닌데도 버겁다 합니다. 그러면서 다른 사람에게 그것을 하소연하며 위안을 얻으려 하고 심지...
    Date2010.07.15 By당쇠 Reply1 Views987
    Read More
  7. No Image 14Jul

    연중 15주 수요일-사랑할 때까지 알아라!

    “지혜롭다는 자들과 슬기롭다는 자들에게는 이것을 감추시고,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 보이시니, 아버지께 감사드립니다.” “아는 것은 보는 것이 아니다. 알아봐야 보는 것이다.” 문득 이런 생각을 했는데 우리는 아는 것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
    Date2010.07.14 By당쇠 Reply2 Views90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 1120 1121 1122 ... 1314 Next ›
/ 131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