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0.07.07 03:02

새로 태어남의 신비

조회 수 71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새로 태어남의 신비

 

누구든지 새로 나지 않으면 아무도 하느님 나라를 볼 수 없다. (요한 3,3)

 

옛 생활을 청산하고 정욕에 말려들어

썩어져 가는 낡은 인간성을 벗어버리고

마음과 생각이 새롭게 되어

하느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새 사람으로 갈아입어야 합니다.” (에페 4,22-23)

 

하느님께서 창조한 첫 인간의 모습인 원복의 상태로 돌아가서

하느님 나라를 지금 여기에서 보는 것과 누리는 것,

그것이 예수께서 선포하신 복음의 기쁨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새로 난다는 것과

하느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새로운 사람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우리를 향한 하느님의 뜻이 무엇인지를 알고

그것을 실천할 힘을 달라고 기도하면서

나는 내가 이해한 하느님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려 한다.

 

세상에 태어나서 어릴 때 세례를 받고 성장하여 어른이 되기까지

배우고, 경험하고, 찾아 나서고, 갈망하면서 살아온 나는

수도원에 와서 양성기의 몇 년을 지난 다음에야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복음의 그리스도께로 돌아가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볼 수도 알 수도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너희는 멈추고 내가 하느님인 줄을 알아라” (시편 46,10)

 

누구든지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멈춰야 한다.

멈추지 않으면 자신의 욕구와 상처와 분노, 어두운 기억들 안에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지 않고 자신이 보고 싶은 대로 본다.

승리하고, 성공하고, 통제하려고 애쓰는 것들을 멈출 때

비로소 하느님과의 관계를 시작할 수 있다.

하느님과의 관계를 시작한 사람은

곧바로 다른 사람과 다른 피조물과의 관계로 연결한다.

하느님과의 관계만 있고 사람과의 관계가 파괴된 채로 있다면

그것은 멈추지 않고 자기 좋을 대로 살기 때문이다.

멈춘다는 것은 물러나는 아픔이다.

사물을 하느님과의 관계에서 바라보는 진실이라는 바닥에 이르기까지

내려가고, 내려놓고, 놓아주고, 허용하는 아픔이다.

 

우리는 기도하는 법을 철저하게 배워야 한다.

기도를 통해 마음과 생각이 새롭게 되어 하느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새 사람으로 태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는 속수무책으로 막다른 골목에 처했을 때 드리는 것이 기도였다.

자기중심적 위치에서 여전히 낡은 마음으로 드리는 기도였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관계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나를 중심으로 하는 너무나 많은 나 때문에

하느님과 너를 내 안에 받아들일 자리가 없어도 그냥 산다.

 

나를 중심으로 하는 가치들은 사람과 사물을 대할 때

나에게 이익이 되는가를 먼저 계산한다.

그러나 계산하는 사람은 거저 주시는 하느님을 알지 못한다.

기도를 드릴 때조차도 자신의 상처, 요구, 관심사 등이

기도의 중심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승리하고, 성공하고, 통제하려고 애쓰는 사람의 기도는 곧장 들어주시지 않는다.

잘못된 자아에서 나오는 잘못된 요청이기 때문이며

기도는 하느님을 바꾸려는 게 아니라,

하느님이 우리를 바꾸시게 해드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도하는 사람은 머리는 비우고 가슴은 채우는 법을 배우는 사람이다.

생각하는 머리가 달라져야 가슴과 행동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생각하는 마음은 몸의 통제탑이다.

통제를 내리는 머리를 하느님의 영의 현존과 영의 활동 장소로 바꾸는 것이

새로 태어나기 위한 가장 좋은 선택이며 결단이다.

 

어떻게 기도하느냐가 어떻게 사느냐를 결정하고

안에서 어떻게 사느냐가 밖에서 어떻게 사느냐를 결정한다.

나의 마음을 그리스도의 마음에 일치시키는 기도는 신성한 참여로

하느님과 협력하여 관계 안에서 선을 이룬다.

많은 사람의 기도하는 동기와 목적이 바깥에서 오는 반응을 기대하고 있다.

예수께서는 보이기 위한 동기로 하는

기도, 단식, 자선을 위선자들처럼 하지 말라고 하셨다.

보이기 위한 동기는 내면으로 들어가서 진짜 문제를 대면하지 못하도록 가로막기 때문이다.

기도가 밖으로 드러나는 형식에 치중한다면

그것은 우리를 정직하고 진실하고 견고하게 해주는 내면생활이 부실하다는 증거다

겉으로는 열심히 기도하면서 행실은 여전히 고집스럽고 관계는 여전히 갈등이 많다면

새로 태어난다는 일은 기대할 수 없다.

새로 태어남은 멈추고 기도하는 가운데 주님의 영을 지니고 살면서

관계를 회복할 때 발견하는 하느님 나라이기 때문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5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 마지막 저녁 식사 병상에서 쓴 묵상 글 1   1. 마지막 저녁식사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의 성사 구원의 역사를 몸으로 쓰시는 분   내려놓는 힘의 무게 내어 맡기는 자유의 무게  ... 이마르첼리노M 2025.05.01 83
1584 스물 둘째 날: 침묵과 나아가 고독에 맛들이기 스물 둘째 날: 침묵과 나아가 고독에 맛들이기 당신은 어떤 식으로 자신을 새롭게 했고 자신에게 다가왔던 침묵을 경험한 장소들을 생각해보시오. 다음으로, 지금... 김상욱요셉 2025.04.24 123
1583 꽃들의 추위를 神의 제단에 꽃들의 추위를 神의 제단에   수술하러 떠나기 전날 갑자기 추워진 날씨처럼 통증도 변덕스럽다.   복사꽃 위에 쌓인 눈 배꽃 위에 쌓인 눈 꽃들은 얼마나 시릴... 이마르첼리노M 2025.04.15 87
1582 스물 첫째 날: 스스로에게 하는 말 스물 첫째 날: 스스로에게 하는 말 하루 중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 중이나 일어난 후, 당신의 머리 속에서 일어나는 독백에 대해 더 잘 살펴보시오. 당신 스스로... 김상욱요셉 2025.04.14 71
1581 인식의 상반된 얼굴 인식의 상반된 얼굴   위가 어딘지 알려면 아래로 내려가야 합니다. 빛을 알려면 어둠을 경험해야 합니다. 하늘을 알려면 땅을 알아야 하고 영광을 알기까지 고... 이마르첼리노M 2025.04.10 132
1580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를 향해 길을 내다.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를 향해 길을 내다.   “너희가 내 말을 마음에 새기고 산다면, 나의 제자가 되어 진리를 알게 되고 진리가 너희에게 자유를 주리라.” ... 이마르첼리노M 2025.04.09 211
1579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에서 나오는 선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에서 나오는 선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에서 나오는 선은 친절과 협력으로 조화와 균형을 만들어냅니다. 개... 이마르첼리노M 2025.04.07 107
1578 善의 속성과 얼굴 善의 속성과 얼굴   우리는 종종 선(善)을 추상적으로만 이해하려 합니다. 선의 속성과 얼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용서를 구하는 선, 용서하는 선, 기다... 이마르첼리노M 2025.04.02 206
1577 스무째 날: 생명의 한계 스무째 날: 생명의 한계 사람들 대부분은 우리 삶에서 진정한 한계는 우리가 죽음에 있다고 믿는다. 그런데 생명의 길이는 단순히 당신이 삶의 진가를 살고 있음... 김상욱요셉 2025.04.01 154
1576 꽃샘추위 그리고 마음의 겨울 꽃샘추위, 그리고 마음의 겨울   봄은 언제나 기대와 설렘으로 다가온다. 얼었던 대지를 녹이고 꽃봉오리가 부풀어 오르며 따스한 바람이 마음을 간지럽힌다. 그... 이마르첼리노M 2025.03.30 193
1575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게 하는 앎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게 하는 앎   외로움의 포로가 된 이들의 대부분은 자기를 지나치게 자아와 일치시켜 홀로 떨어진 존재라는 인식에서 나오는 독립... 이마르첼리노M 2025.03.19 196
1574 영원한 생명에 이르게 하는 생명의 빵 영원한 생명에 이르게 하는 생명의 빵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빵이다. 이 빵을 먹으면 영원히 살 것이다.”(요한 6,5) 예수께서 당신 자신을 생명의 빵으로 주... 이마르첼리노M 2025.03.17 188
1573 봄비 오는 날 봄비 오는 날   봄비 머금은 매화 꽃망울 눈물처럼 맺힌 생의 기쁨   수선화의 목을 뽑아 올리는 손 부드러운 바람으로 생명을 불어넣네   산수유의 노랑 저고리... 이마르첼리노M 2025.03.15 177
1572 기도할 때 먼저 청해야 하는 것 기도할 때 먼저 청해야 하는 것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또 무엇을 입을까? 하고 걱정하지 말아라 이런 것들은 모두 이방인들이 찾는 것이다. 하늘에 ... 이마르첼리노M 2025.03.13 264
1571 봄의 교향곡 봄의 교향곡   매화꽃 수선화 산수유의 손끝에서 민들레와 진달래의 숨결 사이로 꽃들이 악보를 펼친다.   물오른 벚나무 가지마다 만삭이 된 꽃망울은 봄의 설... 이마르첼리노M 2025.03.11 216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8 Next ›
/ 10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