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사랑하는 아들을 먼저 보낸  슬픈 母情

 

1.

속마음을 비추는 벌거벗은 촛불 앞에

미사가 끝난 후 텅 빈 성당의 쓸쓸한 제대 같은 모습처럼

혼자의 고독과 여럿의 고독,

그리고 고독의 단합이 만들어 내는 탄원과 절규,

저항의 날개를 접고 단념의 눈시울을 내리감습니다.

홀로된 자의식 속에서 아들을 떠올리며

아들의 빈자리를 바라볼 때마다

가라앉는 슬픔을 간간이 흔들면서 흐느끼는 모성의 눈물,

걷잡을 수 없이 엄습하는 유실의 위기

 

2.

사람의 심연 속을 살펴봅니다.

쫓아갈수록 놓쳐버리게 되는 존재의 숨바꼭질,

벼랑에서 굽어보는 소름 끼치는 깊이,

헤아릴 길 없는 한없는 미로,

겁나면서 슬프기만 한 칠흑의 어둠에 짓눌려

투신하는 이들을 받아주소서,

끊임없는 목마름과 소리치는 가슴 안의 불무더기,
고단한 사랑의 서러운 눈시울로
갈망과 비탄과 그 나머지 한 가닥 빛을 찾는 신앙
때로는 터져나갈 듯 벅차고,
더러는 너무나 마음이 비어 허적한 그곳에
유일하게 함께 계시면서
집 떠난 작은 아들의 귀환을 기다려 주신 주님의 자비는
사람에게 감사와 감동으로 감격의 전율을 느끼게 하십니다.

 

3.

차가운 밤바람에 섞여 불어오는 텅 빈 공허

그 안에 놓아기르는 야생의 고독

물리고 뜯기고 피 흘리는 영혼

걷잡을 수 없이 다가오는 풀지못할 수수께끼

생명의 애련

살아있는 모든 생명이 애련합니다.

묘하게 아프고 아름다운 감동이 물의 파장처럼 퍼집니다.

풀이 돋아나지 못하는 백사장에서

오직 강물이 적셔 주는 쓸쓸한 위안의 자국을

오래오래 눈여겨보고 있는 사람,

그 한 사람을 찾기까지

닻을 내리지 못한 이름이여!

생명의 시작과 그 끝을 올바로 헤아림은

결코 손쉬운 지혜가 아닙니다.

사람은 홀로의 고립감을 감내하기도,

둘의 상극을 넘어서기도 어렵기만 하고

여기 보태어 여럿의 관계에 알력과 차질을 감당하기란

정녕코 끔찍한 부담이라 할 것입니다.

 

4.

견딤의 극한 한계 안에서도

자비로우신 주께서

우리를 버리지 않으시고

우리와 함께 견디고 계십니다.

 

생명은 추위를 탑니다.

생명은 춥습니다.

생명에 머물려고 하는 모든 진실이 춥습니다.

 

사랑도 춥습니다.

하나의 관심

하나의 연민

하나의 축복마다

얼마나 외롭고 목마른 일인가요.

 

진리도 그렇게 춥습니다.

소금 뿌려진 듯 아픕니다.

절반은 불에 타고

절반은 피 흘리고

마냥 쓰라리기만 합니다.

 

사람의 생명에 따라오는 시린 가슴

지향과 의지로 하여 앓게 되는 상처들,

 

견딤의 용광로에서

제련의 아픔을 겪는 사람들,

어려울수록 성장으로 내달리는

생명의 추위여!

 

스스로 힘을 내려놓는

십자가의 무력함에서

추위를 녹이며

희망을 봅니다.

 

그리 멀지 않는 날

부활하리라고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8 가을밤에 쓰는 달빛 소야곡 제 1부 1/2 가을밤에 쓰는 달빛 소야곡   1 찬 바람이 부는 어느 가을날 지나온 세월의 굴곡을 보는 듯 거칠어진 아버지의 손으로 억새들의 하얀 머릿결을 쓰다듬는 손길을 ... 이마르첼리노M 2024.10.21 157
1537 감정 (마음의 정서적 자유를 찾아서) 감정 (마음의 정서적 자유를 찾아서)   우리의 몸과 마음의 정서를 깊이 살펴보면 감성과 감정의 신비로운 조화를 이루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감정이 부상을 ... 이마르첼리노M 2024.10.16 268
1536 말씀의 통치를 받아들이려면 말씀의 통치를 받아들이려면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말씀으로 작은아들, 임신하지 못하는 여인, 창녀, 세리, 나병환자, 죄인, 여자, 흑인, 비종교인, 동성애자, ... 이마르첼리노M 2024.10.12 185
1535 매형을 떠나보내며 (회상의 편지) 매형을 떠나보내며  (회상의 편지)   가을이 깊어 가는 날 먼 길을 떠난 매형을 회상하며 매형의 영정 앞에 이 편지를 드립니다. 가을바람에 실려 오는 그리움, ... 이마르첼리노M 2024.10.10 189
1534 억새들의 수런거림 억새들의 수런거림   구월의 끝자락 바람이 불어오는 들판에 억새들이 수런거린다. 가을의 속삭임을 담아 은빛 물결이 춤을 춘다.   햇살에 반짝이는 그들의 몸짓... 이마르첼리노M 2024.09.30 232
1533 너무 좋아서 믿기 어려운 신비 너무 좋아서 믿기 어려운 신비   그리스도의 신비는 사랑의 신비이며 사랑의 신비는 너무 좋아서 믿기 어려운 내어주는 신비입니다. 하느님은 모든 사물과 모든 ... 이마르첼리노M 2024.09.29 164
1532 폭염(暴炎)이 지나간 자리에 찾아온 가을 폭염(暴炎)이 지나간 자리에 찾아온 가을   폭염이 지나간 자리에 찾아온 가을   하루 사이에 대지를 숯덩이처럼 불태우던 더위가 사라지고 성큼 가을이 찾아왔... 이마르첼리노M 2024.09.25 270
1531 사랑은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사랑은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소리가 나지 않는 사랑 소리를 내지 않는 사랑 소리가 없는 사랑   문 닫는 소리 걷는 소리 큰 소리로 떠드는 소리   비어있기... 이마르첼리노M 2024.09.15 278
1530 악과 악마의 실체 악과 악마의 실체   나는 내 인생의 여러 변곡점에서 공존을 헤치고 자존감을 뺏고 평화를 짓밟는 악의 실체에 대해 생각해 왔습니다. 과거의 역사 안에서 인류... 1 이마르첼리노M 2024.09.13 244
1529 성 프란치스코 안에서 바라보는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성 프란치스코 안에서 바라보는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그릇된 환상은 어둠 속에서 피어나 선을 흐리게 하고 희망을 앗아갑니다.   빛을 가리는 그림자처... 이마르첼리노M 2024.09.12 241
1528 그리스도의 몸에 저항하는 사람들 그리스도의 몸에 저항하는 사람들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것이고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것입니다.” (1고린 3,23) 바오로 사도의 이 말은 그리스도인에게는 너무... 이마르첼리노M 2024.09.08 212
1527 혼자 떨어져 울게 하는 인간의 자만심     혼자 떨어져 울게 하는 인간의 자만심       예수께서 십자가에 당신을 기꺼이 바치신 것은 온갖 나약하고 모자라는 것들을 받아들이신 그분의 선택이었습니... 이마르첼리노M 2024.08.28 256
1526 열 세째 날: 슬픔이 영적지혜가 되도록 돕기 열 세째 날: 슬픔이 영적지혜가 되도록 돕기 하루 중에 무언가가 일어나서 당신이 슬프거나 부정적이 되거나 낙담하게 될 때, 당신이 슬픔에 들어가서 무언가를 ... 김상욱요셉 2024.08.25 230
1525 관계의 밭에서 발견한 아버지의 품 (마태 13,44) 관계의 밭에서 발견한 아버지의 품 (마태 13,44)   누군가를 배제함으로써 스스로를 규정하려는 교회는 잘못된 교회입니다. 바리사이와 율법 학자들을 단죄하시... 이마르첼리노M 2024.08.16 333
1524 자연 생태계 안에서 바라보는 관상의 생태계 자연 생태계 안에서 바라보는 관상의 생태계   창조된 자연 생태계 안에서 영적 생태계를 바라보는 사람은 영이 물질세계로 들어온 육화의 신비 안에서 자신을 ... 이마르첼리노M 2024.08.10 28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6 Next ›
/ 10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