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478 추천 수 3 댓글 2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예수님께서 길을 가시다가 마태오라는 사람을 보시고 말씀하셨다.

나를 따라라.’ 그러자 마태오는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

여러분이 받은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십시오.”

 

오늘 마태오사도 축일에 복음은 마태오사도가 부르심 받음에 대해서,

그리고 독서는 받은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감에 대해서 들려줍니다.

 

여기서 질문을 하게 됩니다.

나는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는가?

부르심 받았다면 어떤 부르심을 받았는가?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는 것이란 어떤 것인가?

 

나는 그리고 우리는 마태오처럼 주님의 부르심을 진짜 받았는가?

아마 우리 모두 진지하게가 아니라 건성으로 대답한다면

그럼 부르심 받았지. 주님께서 나만 빼놓으시겠어?’하실 겁니다.

 

그런데 나만 빼놓지 않으셨을 거고, 그래서 부르셨을 거라고 하지만

언제, 어디서, 어떻게 주님께서 부르셨냐고 물으면 대답치 못하고

부르셨을 거라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대답한 것임이 드러날 겁니다.

 

저는 저의 부르심에 대해 가랑비에 옷 젖듯한 부르심이라고 하지만

그런 부르심을 받고 수도원에 들어왔다가 성소를 포기하고 떠난 뒤

1980년 저희 집에서 복음을 읽다가 주님의 부르심을 다시 받았습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부르심을 명확히 느낀 것은 그때가 처음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주님께서는 제가 태어나기 전부터 저를 부르시고,

어렸을 때 수많은 사건과 사람들을 통해서 부르셨지만

부르심의 체험을 인격적으로 한 것은 그때 복음을 통해서라는 뜻입니다.

 

다음으로, 그렇다면 어떤 부르심을 받았습니까?

마찬가지로 인격적인 부르심 체험을 하기 전에는

수도생활과 사제직에로 부르심 받았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생각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실은 주님께로 부르심 받은 겁니다.


오늘 복음에서도 주님께서는 나를 따라라.” 그 한 마디만 하셨습니다.

구구하게 살려거든 나를 따라라, 완전해지려거든 나를 따라라,

뭐 이런 식의 따라야 하는 다른 이유를 대지 않으셨습니다.

 

어느 날 엄마를 따라가는 아이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때 제가 처음으로 이 인격적 따름의 참 모습을 느꼈습니다.

그 아이는 엄마 이외의 다른 아무 것도 없습니다.

 

따라갈 다른 누구도 없고, 해야 할 다른 일도 없으며,

따로 이루고픈 목표도 없이 오직 엄마와 함께 있음, 이것이

그에게는 가장 중요하고 유일한 목표이며 그래서 따라가는 겁니다.

모름지기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나 다 이와 같습니다.

 

그렇긴 하지만 아이도 어른이 되면 사명, 소임, 일이 주어지듯

주님과 함께 있으며 사랑의 양육을 받은 제자들은 이제

주님께서 각자에게 원하시는 곳과 소명에로 파견됩니다.

 

오늘 바오로 사도가 얘기하듯 어떤 이는 사도로, 어떤 이는 예언자로,

어떤 이는 복음 선포자로, 어떤 이는 교사로 부르심 받고 파견되지만

그러나 모두 다 사랑하는 분의 사랑의 파견을 받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는 것이란 크게 두 가지입니다.

BeingDoing, 곧 마리아와 마르타처럼

<주님과 함께 있음><주님께서 내게 원하시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부르심에 합당치 않게 살아가는 것도 두 가지입니다.

주님은 빼놓은 채 주님의 일이랍시고 하는 것이요,

주님하고만 있겠다고 하며 주님이 원하시는 일은 하지 않는 것입니다.

 

나는 부르심을 받았는지,

어떤 부르심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성찰하는 오늘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2Nov

    연중 33주 수요일-진정한 용기에 대하여

    “그 어머니는 일곱 아들이 단 하루에 죽어 가는 것을 지켜보면서도, 주님께 희망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용감하게 견디어 냈다. 그는 여자다운 생각을 남자다운 용기로 북돋우며 그들에게 말하였다.”   오늘 마카베오서는 일곱 아들을 신앙 때문에 바친 ...
    Date2017.11.2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139
    Read More
  2. No Image 21Nov

    성모 자헌 축일-봉헌되지 말고 봉헌하는

    오늘 축일을 지내며 저는 뭘 얘기해야 할지 사실 난감합니다. 저는 마리아에 대해서 다른 얘기는 많이 할 수도 있지만 마리아가 자신을 봉헌하셨다는 얘기에 대해서는 우리 교회가 너무 끼어 맞추기식으로 축일 하나를 또 만들었다는 느낌이 큽니다.   ...
    Date2017.11.2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421
    Read More
  3. No Image 20Nov

    연중 33주 월요일-필요한 것밖에 못 보는 영적 맹인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주님,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주십시오.”   언제부턴가 저의 청원기도가 단순해졌습니다. 옛날에는 청원의 내용을 주저리주저리 읊으며 그걸 주십사고 하였는데 이제는 그저 자비를 주십사고 기도합니다.   ...
    Date2017.11.2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322
    Read More
  4. No Image 19Nov

    연중 제 33 주일-칭찬 받고 싶지 않으세요?

    “잘하였다, 착하고 성실한 종아! 네가 작은 일에 성실하였으니 이제 내가 너에게 많은 일을 맡기겠다. 와서 네 주인과 함께 기쁨을 나누어라.”   오늘 복음은 주인이 여행길 떠나며 맡긴 달란트를 돌아와 셈하는 얘기인데 루카복음에 나오는 것과는 차이...
    Date2017.11.1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301
    Read More
  5. No Image 18Nov

    연중 32주 토요일-하느님의 시간과 우리의 시간은 다르다

    주님께서는 비유를 드시면서 간혹 대비법을 사용하십니다. 악한 애비도 자기 자식에 좋은 것을 주는데 하물며 하느님은..... 매정한 사람도 끈질긴 친구의 청을 들어주는데 하물며 하느님....   오늘도 과부가 끈질기게 청하면 비록 불의한 재판관일지라...
    Date2017.11.1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143
    Read More
  6. No Image 17Nov

    연중 32주 금요일-피조물을 사다리 삼는 관상

    저는 어렸을 때부터 불을 좋아했고, 그래서 불 때는 것도 좋아했습니다. 좋아한 이유는 아침 일찍 일어나는 제가 가족들이 일어나기 전에 방을 덥히고 식구들이 일어나 따듯한 물로 씻게 했기 때문이지만 그런 선행의 이유 말고도 불 때는 것 자체가 좋았기...
    Date2017.11.1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469
    Read More
  7. No Image 16Nov

    연중 32주 목요일-어디에 계시지 않고 어디에나 계시는

    “하느님의 나라는 눈에 보이는 모습으로 오지 않는다. 보라, 하느님의 나라는 너희 가운데에 있다.”   하느님은 어디에 계시지 않습니다. 하느님은 어디에나 계시는 분이십니다. 하느님은 오시는 분이 아닙니다. 하느님은 와 계신 분입니다.   그러...
    Date2017.11.1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49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 1312 Next ›
/ 13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