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는 나를 따라라."

 

오늘 복음은 주님께서 베드로가 어떻게 죽을지 예언하신 다음

당신을 따르라고 하시자 그러면 주님의 사랑받는 다른 제자를 보고

그는 어떻게 될지 베드로가 묻자 상관치 말고 따르기나 하라는 말씀입니다.

 

이 말씀은 주님을 부지런히 그리고 한눈팔지 말고 따라야 하는 상황인데

다른 사람 운명이 어떻게 될지 거기에 관심 둘 여유가

어디에 있냐는 뜻이지만 오늘은 맺어야 할 상관관계와

끊어야 할 상관관계에 대해 좀 생각해보려 합니다.

 

상관해야 하는데 상관이 없다고 하는 것과 관련하여 복음에서

즉시 떠오르는 것은 악령이 주님께 무슨 상관이 있냐며

관계를 부정하고 끊으려고 했던 것입니다.

 

"하느님의 아드님, 당신께서 저희와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때가 되기도 전에 저희를 괴롭히시려고 여기에 오셨습니까?"

 

우리가 보통 관계를 맺는 것은 이익과 사랑의 두 경우인데

이익의 경우에는 서로에게 이익이 되면 상관관계를 맺지만

한쪽에게만 이익이 되면 한쪽은 관계를 맺으려 하는 반면

다른 쪽은 상관없다며 관계를 끊으려 하겠지요.

 

그런데 이익이 목적인 경우는 이익이 되면 관계를 맺고

이익이 못 되거나 오히려 손해가 되면 관계를 끊어야겠지만

사랑의 경우는 손해를 봐도 관계를 맺어야 하고,

그리고 사랑의 관계는 대부분의 경우 손해를 봐야 하지요.

 

그러기에 사랑을 하기 어려운 것인데

진정 사랑의 가치를 아는 사람은 그것이 손해라고 생각지 않고

오히려 더 가치 있는 사랑을 얻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소탐대실이라는 말이 있지요.

작은 것을 탐내다 큰 것을 잃는다는 뜻인데

우리 인간이 너무 자주 잘못을 범하는 것이 바로

물질적으로 조그만 이익을 보려다 제일 소중한 사람을 잃는 겁니다

 

그런데 다른 사람이 자기와 관련하여 소탐대실할 때는 그를 어리석다고

하고, 심지어는 자기를 돈보다 우습게 본다고 노발대발하면서

내가 소탐대실할 때는 그러니까 내가 돈에 눈이 멀어 사람을 잃는 짓을

할 때는 자기가 하는 짓이 그런 짓인 줄 모르는 것이 또한 우리 인간입니다.

 

이것이 맺어야  관계를 끊는 어리석음과 불행이라면

끊어야  관계를 끊지 못하는 어리석음과 불행도 있습니다

 

우리는 사랑이 아니면 상관할 필요가 없는데 상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은 별로 상관치 않지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상관할 필요가 없는데

그러니까 예를 들면 어떤 청년이 입술화장을 한 것을 보고 제가 속으로

욕을 하곤 했는데 남자가 왜 화장을 하고 다니냐 제가 시비하는 거지요.

 

그가 화장하는 것이 무슨 잘못이고, 화장을 하건 말건 그것이 저와 무슨

상관이 있기에 제가 화를 내고 욕을 하며 죄까지 짓는 겁니까?

 

우리는 사랑이 아니라면 누구와도 그리고 어떤 일에도 상관할 필요 없는데

사랑이 아닌 이유로 상관하며 괜히 못마땅해하거나 시비하고는 합니다.

그렇다면 사랑이 아닌 이유란 어떤 것입니까?

 

그에게 뭔가 바라는 것이 있기에 또는 괜히 비교하고 경쟁하기에

상관하는 것이 그런 이유 중의 하나인데 베드로와 주님의 사랑을 받는 제자도

어쩌면 주님의 사랑을 놓고 서로 경쟁했을 것이고 그래서 베드로가 그 제자의

죽음에 대해 관심을 갖자 주님께서는 상관치 말라 하셨을 겁니다.

 

뒤처지거나 잃지 말고 주님을 따르기 위해서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서둘러 따라야 하는데 한가하게 다른 사람 신경 쓰지 말라는 거지요.

주님께서 복음 선포를 위해 제자들을 파견하시며

가는 길에 누구와도 인사하지 말라고 하신 것과 같은 맥락일 겁니다.

 

옆을 보지 말고 앞만 보며 주님 따르라는 말씀을 명심하는 오늘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20.05.30 06:40:22
    신부님의 말씀을 같은 전례시기에는 어떻게 묵상하고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20.05.30 06:39:40
    18년 부활 제7주간 토요일
    (아무리 방해해도 아무 방해를 받지 않는 비결)
    http://www.ofmkorea.org/122966

    17년 부활 제7주간 토요일
    (고통과 사랑을 주님 앞에서 남과 비교하지 말라)
    http://www.ofmkorea.org/105003

    13년 부활 제7주간 토요일
    (길을 가는 사람은)
    http://www.ofmkorea.org/53618

    12년 부활 제7주간 토요일
    (사도행전, 끝이 없는 얘기)
    http://www.ofmkorea.org/5871

    10년 부활 제7주간 토요일
    (사랑의 집중성)
    http://www.ofmkorea.org/4026

    09년 부활 제7주간 토요일
    (Never ending story)
    http://www.ofmkorea.org/2593

    08년 부활 제7주간 토요일
    (your way is My Way)
    http://www.ofmkorea.org/1260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30Jun

    연중 제12주간 금요일

     많은 군중이 예수님을 따라갑니다.  그 속에 오늘 복음에 등장하는 나병환자도 함께 있었습니다.  나병을 앓고 있는 채로  사람들 무리에 섞여 있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나병이 자신들에게 옮을 것을 걱정했을 것이고,  더 나아가 나병이 죄...
    Date2017.06.3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3 Views533
    Read More
  2. No Image 30Jun

    연중 12주 금요일-믿음의 담금질

    오늘 창세기는 마침내 아브라함이 본처에게서 자식을 얻게 되리라는 하느님의 약속 얘기를 들려주는데 이에 아브라함은 이렇게 얘기합니다. “나이 백 살 된 자에게서 아이가 태어난다고? 그리고 나이 아흔이 된 사라가 아이를 낳을 수 있단 말인가?”   ...
    Date2017.06.3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561
    Read More
  3. No Image 29Jun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참 행복한 사람-

    +평화를 빕니다.   오늘 복음에서 베드로는 자신을 누구라도 하더냐 라고 묻는 예수님께 “스승님은 살아계신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십니다“하고 대답하였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베드로가 그러한 대답을 한 것이 베드로 ...
    Date2017.06.29 Category말씀나누기 By일어나는불꽃 Reply1 Views769
    Read More
  4. No Image 29Jun

    성 베드로와 바오로 사도 축일-주님의 교회는 주님께서 세우신다.

    우리 교회가 베드로와 바오로를 같이 축일로 지내는 것은 두 분이 전체 교회를 세우는 데에 두 기둥, 또는 반석과 기둥이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질문이 생깁니다. 지난 2천 년을 생각할 때 우리 교회가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이 두 분이 ...
    Date2017.06.2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4 Views1413
    Read More
  5. No Image 28Jun

    연중 12주 수요일-신비한 잠

    “해 질 무렵, 아브람 위로 깊은 잠이 쏟아지는데, 공포와 짙은 암흑이 그를 휩쌌다. 해가 지고 어둠이 깔리자, 연기 뿜는 화덕과 타오르는 횃불이 그 쪼개 놓은 짐승들 사이로 지나갔다.”   아브라함이 우리 뇌리에 각인된 것은 믿음의 조상이고, 그 믿...
    Date2017.06.2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628
    Read More
  6. No Image 27Jun

    연중 12주 화요일-나는 무엇을 진정 바라는가?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오늘 말씀을 들으면서 남이 제게 해주기를 바라는 것이 무엇일까 저는 오늘 한 번 생각해봤습니다.   바라기보다는 해줘야 한다고 생각하며 살아왔고 그래서 나는 아무 것도 바라...
    Date2017.06.2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564
    Read More
  7. No Image 26Jun

    연중 제12주간 월요일 -들보에 대하여-

    T.평화를 빕니다.   예수님께서는 남을 심판하기에 앞서 먼저 자신의 눈 안에 있는 들보를 먼저 빼내라고 말씀을 하십니다. 들보라고 하는 것은 집을 지을 때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큰 나무를 뜻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만큼 큰 나무가 자신의 눈앞...
    Date2017.06.26 Category말씀나누기 By일어나는불꽃 Reply0 Views645
    Read More
  8. No Image 26Jun

    연중 12주 월요일-회광반조廻光返照

      “아브람은 주님께서 이르신 대로 길을 떠났다.”   아브람은 왜 길을 떠났을까? 주님이 떠나라고 해서 떠난 거로 창세기는 얘기하는데 그렇다면 제가 너무 어리석은 질문을 하는 것입니까?   물론 어리석은 질문이지만 우리는 주님께서 떠나...
    Date2017.06.2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466
    Read More
  9. No Image 23Jun

    예수 성심 대축일-마음의 폭력인 미움

    “고생을 하고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배워라.”   오늘은 예수 성심 대축일이며 사제 성화의 날입니다. 그런데 왜 예수 성심 대축일에 사제 ...
    Date2017.06.2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5 Views2193
    Read More
  10. No Image 22Jun

    연중 11주 목요일-작은 용서

    “너희가 다른 사람들의 허물을 용서하면,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도 너희를 용서하실 것이다.”   아시다시피 주님의 기도는 마태오복음과 루카복음에만 나옵니다. 그런데 마태오복음의 주님의 기도가 루카복음과 다른 점이 있습니다. 마태오 복음은 주님...
    Date2017.06.2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78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 806 Next ›
/ 80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