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264 추천 수 1 댓글 3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누구든지 나를 사랑하면 내 말을 지킬 것이다.

그러면 내 아버지께서 그를 사랑하시고,

우리가 그에게 가서 그와 함께 살 것이다.”

 

다음 주가 주님 승천대축일이고 그래서 오늘은 승천을 앞둔,

그러니까 제자들과의 이별을 앞둔 주님과 제자 사이의 얘기이고,

그렇지만 제자들이 주님께 한 얘기는 없고 주님께서 제자들에게

일방적으로 하신 얘기이며 말하자면 유언입니다.

그리고 이 유언에는 부탁도 있고 약속도 있습니다.

 

먼저 부탁 부분을 보겠는데 부탁이지만 듣기에 따라서는

명령이라고 할 수도 있고 호소라고도 할 수 있을 겁니다.

아무튼 부탁은 딱 한 가지로 당신의 말을 지키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주님의 말을 지킨다는 것이 무슨 뜻입니까?

예를 들어 집을 지킨다면 아무나 들어오지 못하게 출입을 막고,

그럼으로써 물건을 훔쳐 가져가지 못하도록 간수하는 것이지요.

 

주님의 말씀을 지키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주님의 제자로서 주님의 말씀을 듣고 그 말씀을

누가 빼앗아 가지 못하도록 잘 간수/간직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주님의 말씀을 누가 빼앗아간다고 하는데 그런 존재가 있습니까?

누가 그런 존재입니까? 사탄입니까?

 

, 사탄입니다.

굶주린 주님을 빵으로 유혹한 사탄이 그러니까 주님까지 유혹한 사탄이

더 만만한 우리를 유혹하여 내 안에 계신 주님의 말씀을 빼내가려 합니다.

우리가 유혹을 받을 처지에 있을 때 사탄은 주님 말씀보다

자기 말이 낫다며 자기 말을 듣게 하고 주님 말씀은 듣지 않게 하는 겁니다.

 

그런데 유혹을 받을 처지란 어떤 것이고 무엇이 유혹을 받게 합니까?

제 생각에 유혹을 받게 하는 것 중의 하나가 시련입니다.

사탄은 시련을 이용하여 유혹을 하고

시련이 우리로 하여금 유혹을 당하게 하고 쉽게 넘어가게 합니다.

 

예수님께서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에서 씨가 길이나 돌밭에 뿌려졌을 때

악마가 채가거나 환난이나 박해가 닥치면 말씀이 뿌리내리지 못했기에

이내 말라죽는다고 하셨는데 그런 경우입니다.

 

그러니까 주님 말씀보다 세상의 말이 더 솔깃할 경우

주님의 말씀은 길바닥에 팽개쳐졌기에 악마가 이내 채갈 것이고

시련의 경우에도 악마는 주님의 말씀을 우리 마음에서 흔들어댈 것입니다.

 

그러므로 관건은 사랑이고 그래서 주님도 나를 사랑하면이라고 하십니다.

사랑하는 것만큼 주님 말씀을 꼭 붙잡고 놓치지 않을 것입니다.

 

제가 전에 얘기한 적이 있지요.

제가 양성책임을 맡았을 때 형제들을 가끔 흔들어댔습니다.

물론 너무 허약한 경우에는 그러지 않았지만 그 형제가 웬만큼 힘을 지녔다

생각이 될 때 흔들어대는데 그것은 흔들 때 그가 더 꽉 붙잡기 때문입니다.

 

사랑이 붙잡는 힘이고 시련 중에도 주님 말씀을 간직하는 힘입니다.

또한 사랑할 때 주님 말씀이 시련 중의 우리를 붙잡아 주는 힘입니다.

 

우리가 어려움 중에 있을 때 내가 옆에 있어 줄게.’하고 말해주는 사람이

있고 또 그가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그의 말이 시련을 견디게 하듯

주님을 사랑한다면 함께 계시겠다는 주님 말씀이 시련을 견디게 합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오늘 우리, 곧 당신과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오시어

함께 계셔 주실 거라고 하시고, 성령까지 보내주실 것이라고 하십니다.

 

그때 우리는 마음이 산란해지는 일도 없고,

세상이 주는 평화와는 다른 평화를 간직하게 된다고 주님 말씀하십니다.

 

우리가 주님을 사랑하여 주님 말씀을 우리 마음 안에 잘 간직하면

주님께서 주시는 평화도 간직케 되는 것임을 묵상하는 오늘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풍경소리 2019.05.26 07:16:32
    그렇습니다. 신부님

    “보호자,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께서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기억하게 해 주실 것이다“

    인간이 기억할 수 있음은 살아있기 때문이고 살아있음은 성령께서
    함께 함이라고 알아듣습니다.
    기억은 과거라는 시공을 초월해 현재와 미래를 이어주고
    지탱해주는 길잡이가 되어 줍니다. 그래서 좋은 추억을 간직하라고 하고
    이 다음에 하느님께 갈 때 가져 갈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추억의 앨범이 아닐까요.

    제가 절망과 실의에 빠져 발버둥 치면 칠수록 더욱 빠져들어 가는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음은 기대와 희망이 담긴 말씀을 기억할 때입니다.
    말씀을 떠올릴 수 없다면 절망이라는 인간의 한계 상황에서 어떻게
    출구를 찾을 수 있을까...말씀을 기억한다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깨닫습니다.

    하느님께서 먼저 우리를, 아니 제 자신을 조건 없이 사랑하셨다는 말씀을
    기억 할 때 본능으로 흘러가는 제 자신을 다시 고쳐 새우는 기회가 됩니다.
    성찬례에서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라는 말씀은 우리가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기억할 때만이 의미 있는 성찬례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일 것입니다.
    예수님이 못 박힌 십자가가 제대위에 걸려있는 이유일 것입니다.
    세월호사건을 잊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것도 우리가 그 아픔을 기억할 때만이
    다시는 그런 아픈 사건을 되풀이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 일겁니다.

    “나는 너희에게 평화를 남기고 간다. 내 평화를 너희에게 준다.
    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 같지 않다”
    그렇습니다.
    예수님은 당신 뜻대로 살지 않으시고 절규의 순간에도 “제 뜻대로 마시고
    아버지의 뜻대로 하소서“라고 기도하셨습니다. 예수님의 평화는 순종에서 오는
    마음의 평화입니다. 그러나 저는 제 뜻대로 이루어지길 원합니다. 제가 원하는
    것이 아닌 다른 형태로 이루어짐은 저에게는 아픔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러니 예수님이 주시는 평화와 제가 원하는 평화는 다를 수밖에요.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제 뜻을 내려놓아야 한다는 것,
    아는 것과 실천은 또 다른 문제이기에 여전히 저에게는 아픔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주님을 사랑하여 주님 말씀을 우리 마음 안에 잘 간직하면
    주님께서 주시는 평화도 간직케 되는 것임을 묵상“하면서
    간절한 마음으로 기도합니다.
    저의 믿음 없음에 당신의 믿음을 더해주십시오. 아멘.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19.05.26 06:49:44
    신부님의 말씀을 같은 전례시기에는 어떻게 묵상하고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19.05.26 06:48:31
    18년 부활 제6주일
    (<서로>는 <끼리>가 아니다.)
    http://www.ofmkorea.org/121826

    17년 부활 제6주일
    (영의 식별과 성령의 보존을 잘 하려면)
    http://www.ofmkorea.org/103925

    16년 부활 제6주일
    (주님께서 남기신 당부와 약속)
    http://www.ofmkorea.org/89172

    15년 부활 제6주일
    (사랑의 2중 당부)
    http://www.ofmkorea.org/77966

    14년 부활 제6주일
    (상실의 은총)
    http://www.ofmkorea.org/62129

    13년 부활 제6주일
    (사랑하는만큼 기억한다)
    http://www.ofmkorea.org/53282

    11년 부활 제6주일
    (영원하신 주님의 사랑)
    http://www.ofmkorea.org/5105

    10년 부활 제6주일
    (성부, 성자, 성령의 사랑)
    http://www.ofmkorea.org/3986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06Dec

    대림 1주 금요일-믿는대로 된다 함은 믿는 것을 허용하기에

    “내가 그런 일을 할 수 있다고 너희는 믿느냐?” “예, 주님!” “너희가 믿는 대로 되어라.”   많은 것은 믿는 대로 됩니다. 할 수 있다고 믿으면 믿는 대로 됩니다. 그래서 주문처럼 이렇게 말하는 것이 유행이지요. “I can do it!(나는 할 수 있다!)” ...
    Date2013.12.0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4423
    Read More
  2. No Image 05Dec

    대림 1주 목요일-주님을 부르지 않겠습니다.

    “나의 이 말을 듣고 실행하는 이는 모두 자기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슬기로운 사람과 같을 것이다.”   들은 얘기입니다. 어떤 자매님이 엄청나게 많이 드시는데도 몸은 빼빼 말라서 병원에 가 조사를 해보니 많이 먹어도 흡수를 못해서 그렇다는 거였습니...
    Date2013.12.0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514
    Read More
  3. No Image 04Dec

    대림 1주 수요일-사랑으로 채우시려 사흘을 굶기신

    “빵 일곱 개와 물고기들을 손에 들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니, 제자들이 군중에게 나누어 주었다. 사람들은 모두 배불리 먹었다.”   지금까지 저는 빵의 기적을 굶주린 사람들의 입장에서 본 적이 없습니다. 빵의 기적을 일으키시는...
    Date2013.12.04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571
    Read More
  4. No Image 03Dec

    성 프란치스코 하베리오 대축일-행복하지 않으면

    “내가 복음을 선포한다고 해서 그것이 나에게 자랑거리가 되지는 않습니다. 나로서는 어찌할 수 없는 의무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복음을 선포하지 않는다면 나는 참으로 불행할 것입니다.”   선교의 주보인 하비에르 성인의 축일을 기해 복음 선...
    Date2013.12.0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671
    Read More
  5. No Image 02Dec

    대림 1주 월요일-자기처럼 하느님도 믿는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는 이스라엘의 그 누구에게서도 이런 믿음을 본 일이 없다.”   오늘 복음을 묵상하면서 제가 갖게 된 의문은 교회는 왜 대림 첫날 복음으로 이 얘기를 택했을까 하는 점이었습니다.   이런 의도가 아니었을까요? 이...
    Date2013.12.0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607
    Read More
  6. No Image 01Dec

    대림 제 1 주일-한낮의 햇빛이 폭포처럼 쏟아져도

    “깨어 있어라. 너희의 주인이 어느 날에 올지 너희가 모르기 때문이다.” “밤이 물러가고 낮이 가까이 왔습니다. 그러니 어둠의 행실을 벗어 버리고 빛의 갑옷을 입읍시다.”   밤이란 해가 지고 다시 뜨기까지의 시간입니다. 해가 지고 다시 뜨기까지의 ...
    Date2013.12.0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525
    Read More
  7. No Image 30Nov

    대림 제1주일

     며칠 전 아침 기도를 하기 위해 경당으로 가던 중 한 형제를 만났습니다. 여느 때처럼 서로 인사를 하고, 저는 경당으로 가고, 그 형제는 밖으로 나갔습니다. 그 형제는 간호 공부 중인데, 요즘 실습 때문에 아침 전례에 함께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저녁에...
    Date2013.11.3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2079
    Read More
  8. No Image 30Nov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어느 수련자의 강론

    평화를 빕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께서 어부였던 제자들을 부르시는 장면입니다. 베드로와 안드레아는 곧바로 그물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고 야고보와 요한은 배와 아버지를 버려두고 그분을 따랐습니다. 자신들의 생계와 거처와 가족을 버려두고 곧...
    Date2013.11.3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2396
    Read More
  9. No Image 30Nov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반신반의

    "여기 보리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진 아이가 있습니다만, 저렇게 많은 사람에게 이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반신반의半信半疑 오늘 안드레아 사도 축일 강론 주제를 이렇게 잡았습니다.   모르기 때문에 질문을 하지만 전혀 모르면...
    Date2013.11.3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552
    Read More
  10. No Image 29Nov

    연중 34주 금요일-다른 삶이 아니라 하느님 안에서 새로운 삶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온 줄 알아라.   오늘 주님의 말씀은 이러한 일들, 곧 해, 달, 별이 흔들리는 그런 일들이 일어나면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온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이 말씀을 오늘은 제가 이렇게 풀...
    Date2013.11.2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32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 838 Next ›
/ 83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