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나를 잊어버리는 기쁨

 

삶을 좋아하는 사람

놀이처럼 즐길 줄 아는 사람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아는 사람

참되고 영원한 삶을 원하는 사람은

가장 가까운 관계를 원복의 관계로 회복시키는 사람이다.

 

입술을 거짓된 말로부터 지키고

악한 말을 삼가고

동반과 부축으로 선을 행하며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법을 꾸준히 행하는 사람이다.

 

좋아하는 것은 쾌락에 빠지는 것이 아니다.

모든 감각을 다 동원하여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을 지각하고 인식하는 능력이다.

수많은 내면의 소리를 떨쳐버리고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이다.

몸의 요구와 탐욕을 떨쳐 버리고 나 자신을 잊어버리는 능력이다.

 

자신을 잊어버릴 만큼 아버지의 이름과 아버지의 나라와

아버지의 뜻을 이루기 위하여

주님의 영과 협력하여 순수한 현존을 관계 안에서 발견하는 일이다.

 

사랑받는 기쁨은 만족하는 기쁨이다

그날에 만나는 이들 안에서 기뻐하고 반가워하고 감사하는 말을 건네고

안심하고 나를 내어주는 능력은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사랑에 응답하는 데서 나온다.

그런 것이 아니라면 나를 잊어버릴 수 없다.

안정과 충족으로 충만한 내적 기쁨 안에서만 나를 잊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영의 현존을 말씀과 묵상 안에서 발견하고

그 현존 안에 자신을 두는 가운데 사랑받고 있다는 기쁨은

얼굴에 피는 꽃으로 환하게 관계를 밝힌다.

 

항상 서둘러 재미만을 찾아 나서는 사람은

주님 안에서 기뻐할 여유를 가질 수 없다.

그런 대용품들은 만족을 향한 욕망을 잠재울 수 없기 때문이다.

기쁨을 느낄 능력이 없는 사람은 재미와 즉각적인 만족을 찾아 계속 돌아다닌다.

마음의 기쁨을 잃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삶을 좋아하는 사람은 하느님 안에서 만족하는 법을 배우는 사람이다.

관계안에서 발생하는 필요성

나의 도움이 필요한 그 필요성에 나를 온전히 내어주기 위하여

나를 잊어버리는 사람이 누리는 기쁨이며

그 과정에 함께 하시는 영의 활동을 느끼는 즐거움이기 때문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5 祝詩 김용호 파스칼 형제님의 팔순에 祝詩 김용호 파스칼 형제님의 팔순에   싱그러운 오월의 바람 속에서 푸른 줄기로 자란 따뜻한 마음   긴 세월 주님의 손에서 다듬어진 삶, 잘 연마된 칼처럼 겸... 이마르첼리노M 2025.05.16 122
1584 스물 둘째 날: 침묵과 나아가 고독에 맛들이기 스물 둘째 날: 침묵과 나아가 고독에 맛들이기 당신은 어떤 식으로 자신을 새롭게 했고 자신에게 다가왔던 침묵을 경험한 장소들을 생각해보시오. 다음으로, 지금... 김상욱요셉 2025.04.24 123
1583 인식의 상반된 얼굴 인식의 상반된 얼굴   위가 어딘지 알려면 아래로 내려가야 합니다. 빛을 알려면 어둠을 경험해야 합니다. 하늘을 알려면 땅을 알아야 하고 영광을 알기까지 고... 이마르첼리노M 2025.04.10 128
1582 아픔 속에서 하느님을 찾는 사람들 아픔 속에서 하느님을 찾는 사람들   연초록의 생명이 무성하게 피어올라 실록으로 변하는 과정은 마치 인간의 성장과 내면의 변화와도 닮아있다. 처음엔 연약하... 이마르첼리노M 2025.05.07 131
1581 자연 안에서 꽃피는 하느님의 무상성과 보편적 선 자연 안에서 꽃피는 하느님의 무상성과 보편적 선   자연은 자연스럽게 하느님의 신비를 드러냅니다. 평온한 자연은 상처받은 사람을 치유하는 하느님의 부드러운... 이마르첼리노M 2024.10.22 143
1580 도구로써 존재하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를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도구로써 존재하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를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하느님 나라는 너희 가운데 있다.” (루가 17, 21) “이제 하느님의 거처는 사람들 가운데에 있... 이마르첼리노M 2024.11.14 143
1579 병상에서 쓴 묵상 글 5 봄비 내리는 날 병상에서 쓴 묵상 글 5   7. 봄비 내리는 날   산안개가 길게 웨딩드레스를 끌고 신랑을 만나러 바다로 간다.   종일토록 내리던 비는 꽃잎으로 땅에 카펫을 깔아... 이마르첼리노M 2025.05.02 144
1578 프란치스칸들은 무엇하는 사람들인가? (1) 프란치스칸들은 무엇하는 사람들인가? (1) 성프란치스코 까리스마를 중심으로 .. 1. 복음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 회개와 형제성과 작음 안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5.05.21 147
1577 스무째 날: 생명의 한계 스무째 날: 생명의 한계 사람들 대부분은 우리 삶에서 진정한 한계는 우리가 죽음에 있다고 믿는다. 그런데 생명의 길이는 단순히 당신이 삶의 진가를 살고 있음... 김상욱요셉 2025.04.01 153
1576 가을 밤에 쓰는 달빛 소야곡 제2부 2/2 제2부 시작 6 사랑하는 건 부끄러운 감정이 아닙니다. 속으로만 삭이던 말을 밖으로 내 보내도 괜찮습니다. 슬픈 여인들의 얘기가 어디 한두 가지에 그치겠습니까... 이마르첼리노M 2024.10.21 166
1575 봄비 오는 날 봄비 오는 날   봄비 머금은 매화 꽃망울 눈물처럼 맺힌 생의 기쁨   수선화의 목을 뽑아 올리는 손 부드러운 바람으로 생명을 불어넣네   산수유의 노랑 저고리... 이마르첼리노M 2025.03.15 173
1574 열흘째 날: 반응적인(reacting) 삶이 아닌, 하느님께 응답하는(responding) 삶 열흘째 날: 반응적인(reacting) 삶이 아닌, 하느님께 응답하는(responding) 삶 당신이 하루를 되돌아보며 당신 삶을 깊게 하고 혹은 변화로 이끄는 공부 방법은 ... 김상욱요셉 2024.07.01 175
1573 가을밤에 쓰는 달빛 소야곡 제 1부 1/2 가을밤에 쓰는 달빛 소야곡   1 찬 바람이 부는 어느 가을날 지나온 세월의 굴곡을 보는 듯 거칠어진 아버지의 손으로 억새들의 하얀 머릿결을 쓰다듬는 손길을 ... 이마르첼리노M 2024.10.21 178
1572 열 아홉째 날: 하나의 '작은 규칙' 열 아홉째 날: 하나의 “작은 규칙” 이 시점에, 당신은 자신의 작은 기도 규칙에 무엇을 포함시켰는가? 이 규칙 안에서, 무엇이 당신을 가장 영적으로 들어가도록(... 김상욱요셉 2025.02.28 178
1571 연결 연결   우리가 성서를 읽을 때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의 위선을 질책하시는 예수님을 만납니다. 그들이 찾는 것은 도덕적 성취가 곧 구원이라는 가르침이었습니... 이마르첼리노M 2024.10.25 18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8 Next ›
/ 10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