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관계 안에 불을 놓으시는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아름다움이신 성령

 

마르틴 부버는 모든 관계는 너와 나와의 관계이며 너와 나와의 관계가 아닌 관계는 나와 그것과의 관계라고 말했습니다. 나와 그것과의 관계는 사물과의 관계처럼 어느 쪽에도 존엄성이 없습니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나와 그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과는 관계 맺지 않으십니다. 하느님을 조종하거나 회유하려는 어떤 시도도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기도의 수를 헤아리거나 희생의 수를 따지면서 이만큼 했으니 들어 달라는 기도에는 전혀 관심이 없으십니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자유로운 사랑으로 우주 만물을 돌보시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하느님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조종하거나 회유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을 관계 안으로 흘러가도록 진솔하게 추구하는 이들에게는 언제나 즉각적으로 응답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어 하십니다. 나와 그것과의 관계가 아닌 깊이 연결된 참된 우정의 관계를 맺을 수 있을 때까지 나를 견디시면서 기다리고 계십니다.

 

기도와 희생이라는 업적과 공로로 하느님을 조종하려는 이들에게는 실패한 사랑을 경험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느님께서는 그 실패를 통해서 비로소 하느님을 알고 나를 알게 되는 상호 관계성을 깨닫게 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수없이 바치기만 했던 이들은 무심한 하느님의 마음을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시는 하느님의 사랑은 대상의 합당함이나 부당함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하느님의 본성은 사랑 자체로써 참된 진리이며 선이시고 아름다움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그 무엇도 삼위일체 하느님의 무상성과 보편성에서 제외하지 않으십니다. 성령께서는 모든 것에 내재 된 선과 진리와 아름다움을 당신의 피조물을 통해 드러내시며 모든 존재를 사랑으로 지탱시켜 주시고 치유를 통해 원복의 상태를 회복하도록 도와주십니다.

 

예수님께서 세례자 요한으로부터 세례를 받으실 때, 그리고 예수께서 타볼산에서 들었던 목소리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아버지와 아들과 사랑의 관계성을 드러내 주는 성령께서 관계성의 모델로써 우리를 비추고 계십니다. 무상으로 주어진 이 관계 속에 우리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 우리를 놀라게 합니다. 하느님의 자비와 선에 참여하는 이 신비야말로 구원이라고 말하는 실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하고 진실하고 아름다운 모든 것들은 삼위일체 하느님으로부터 분출되는 선이며 관계성의 실재이기 때문입니다. 성령께서는 자연 안에 살아 숨 쉬는 창조된 생명들, 다른 모든 피조물과 우리의 관계 안에서 치유하는 힘으로 하느님 사랑을 드러내십니다. 성령께서는 관계 안에 머무시면서 우리를 성부와 성자와 연결하도록 일하십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4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 하기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pruning) 하기 어떤 환경 하에서 당신의 선물들이 부담이 되어버렸는가요? 다른 사람들의 반대들 때문이 아니라, 당신 자신의 ... 김상욱요셉 2024.02.12 545
1463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우리는 주일과 대축일에 사도신경이라는 신앙고백을 합니다. 신앙고백은 12가지의 믿... 이마르첼리노M 2024.02.11 388
1462 내가 믿는 하느님 상(像)이 나의 삶을 바꿉니다. 내가 믿는 하느님 상(像)이 나의 삶을 바꿉니다.   요한 사도는 “하느님께서 사랑”이시라고 말합니다. 믿음의 출발이 사랑의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음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4.02.08 564
1461 무엇을 신심이라고 하나요?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 무엇을 신심이라고 하나요?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   수많은 이들이 복음의 말씀에 기초를 두고 예수님을 따르기보다 신심 위주의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을 쉽... 이마르첼리노M 2024.02.06 324
1460 앎은 변화의 기초 (어떻게를 배워라) 앎은 변화의 기초 (어떻게를 배워라)   삼위일체 하느님 안에서 예수그리스도를 앎에 이르기까지 정직한 자기 앎으로부터 지각과 인식의 새 지평이 열립니다. 앎... 이마르첼리노M 2024.02.05 318
1459 둘째 날: 당신의 선물들을 향상시키고 만끽하고 나누기 둘째 날: 당신의 선물들을 향상시키고 만끽하고 나누기 하느님께서 당신에게 주신 선물들과 달란트들을 어떤 식으로 돌보고 기르고 있는가? 당신이 다른 타입의 ... 김상욱요셉 2024.02.03 299
1458 선은 그 자체로 보상이며 악은 그 자체로 처벌입니다. 선은 그 자체로 보상이며 악은 그 자체로 처벌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시니 우리도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예수께... 이마르첼리노M 2024.02.01 483
1457 첫째 날: 당신의 선물 발견하기 첫째 날: 당신의 선물 발견하기 하느님께서 당신을 이 세상에 있게 함으로 이 세상에 주고 있는 모든 선물과 달란트에 대해 나열하시오. 만약 당신이 이것을 나열... 김상욱요셉 2024.01.31 304
1456 하느님 사랑의 거울 앞에 서면 계산기가 사라집니다. 하느님 사랑의 거울 앞에 서면 계산기가 사라집니다.   피정하는 시간은 깊이 바라보는 시간입니다. 나는 가끔 나의 내면에서 벌어지는 드라마를 주관적으로 판... 이마르첼리노M 2024.01.24 420
1455 요한의 첫째 편지의 요약 요한의 첫째 편지의 요약   우리가 보고 들은 그것을 여러분에게 선포하는 목적은 우리가 아버지와 그리고 그분의 아들 예수그리스도와 사귀는 친교를 여러분도 ... 이마르첼리노M 2024.01.23 335
1454 한 달 동안 할 수 있는 질문들과 공부들 한 달 동안 할 수 있는 질문들과 공부들 이제 당신의 차례이다. 여유를 가지고 제공된 가르침들을 다시 생각하며 그것들이 당신의 고유한 상황에서 자기 방식으로... 김상욱요셉 2024.01.23 246
1453 세 번째 출입구: "너는 온 마음으로 하느님을 사랑하여라." 세 번째 출입구: “너는 온 마음으로 하느님을 사랑하여라.” 저명한 영성 작가 헨리 나우엔은 트라피스트 수도승이고 원장이고 심리 치료사인 존 에우데스 뱀베르... 김상욱요셉 2024.01.20 250
1452 하나를 알면 다른 게 보입니다. (사랑의 신비 안에서 발견되는 사랑의 속성) 하나를 알면 다른 게 보입니다. (사랑의 신비 안에서 발견되는 사랑의 속성)   삼위일체 사랑은 내어주는 신비입니다. 내 것이 하나도 없는 순수한 가난이며 그렇... 이마르첼리노M 2024.01.18 405
1451 2부 2. 두 번째 출입구: 너 자신을 사랑하라. 두 번째 출입구: 너 자신을 사랑하라. 만약 우리가 정말로 잘 싸우고자 한다면, 우리는 이른 시점부터 다른 이에게 자비롭다는 것이 자기를 무시하는 것이 아님을... 김상욱요셉 2024.01.12 323
1450 저항의 빛 (촛불 집회) 저항의 빛 (촛불 집회)   숨고 싶어 헤매던 세월 그 아픈 세월을 딛고 일어설 수 있도록 민중을 일으켜 세우시는 하늘의 손길.   죽이는 문화를 확장하려는 음... 이마르첼리노M 2024.01.08 327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06 Next ›
/ 10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