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410 추천 수 5 댓글 2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이 세대를 무엇에 비기랴?

장터에 앉아 서로 부르며 이렇게 말하는 아이들과 같다.

우리가 피리를 불어 주어도 너희는 춤추지 않고,

우리가 곡을 하여도 너희는 가슴을 치지 않았다.”

 

오늘 복음에서 주님은 당대 사람들을 철부지 아이에 비유하십니다.

우리말에서 철부지는 ’+‘부지일 것입니다.

 

여기서 은 봄철 가을철처럼 때를 나타내는 뜻일 수 있고,

아직 철이 나지 않았다고 할 때처럼

아직 사리분별의 지혜가 생기지 않았다는 뜻일 수도 있으며,

부지는 한자어 不知’, 알지 못함이라는 뜻일 겁니다.

 

사실 지혜란 사리분별을 잘하는 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피아彼我, 곧 나와 남의 분간을 잘 하고,

피차彼此, 곧 이것과 저것을 잘 고려하고 배려하며,

사리事理, 곧 일이 돌아가는 이치를 잘 알고 그에 맞게 처신하는 겁니다.

 

그런데 이런 철이 들지 않아 사리분별을 잘 할 줄 모르면

철부지 어린이가 흔히 그러하듯 어른이 되어서도

온통 자기중심적이고 그래서 완전히 자기밖에 모릅니다.

 

자기중심이고 자기밖에 모르면 어떻게 합니까?

내 것은 내 것이고 네 것도 내 것이라고 하고,

남의 말은 듣지 않고 자기주장대로 하라고 하며,

모두가 다 자기 마음에 들게 하라하고, 자기 마음에 들라고까지 합니다.

 

그런데 그 마음이 하해河海와 같이 넓은 것이 아니라

밴댕이소갈딱지 같이 좁아서 아무도 그 안에 들(어갈) 수 없는데

오늘 철부지 아이들처럼 왜 내 마음에 들지 않느냐고 투정합니다.

 

어제는 주님께서 세례자 요한을 폭행한 당시 사람들이

곧 당신도 폭행함으로써 하늘나라를 폭행한다는 것을 말씀하시고

오늘은 철부지 아이 같은 당대 사람들이 요한은 노상 굶으니

너무 부담을 준다고 투정을 하고 주님은 노상 먹고 마시시니

너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투정을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폭행은 힘이 있는 어른이 하고

투정은 힘이 없는 아이가 합니다.

 

그러나 하늘나라를 기준으로 보면 같습니다.

둘 다 자기중심이고 자기중심적으로 요구하기에

하늘나라답지 않기는 마찬가지라는 뜻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요구하는 것이 있을 때

폭력으로 그것을 끝까지 관철하려는 것이 폭행이고,

감정표출로 그것을 끝까지 이루려는 것이 투정입니다.

 

주님께서 복음의 다른 곳에서 하늘나라에 들어가려면

어린이와 같이 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이것은 철부지 아이가 되어야 한다는 말씀이 아니라

하늘 아이 또는 하늘스런 아이가 되어야 한다는 말씀이지요.

 

오늘 이사야서는 아쉬움을 진하게 토로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하늘 아이처럼 착하였다면

다시 말해서 주님의 계명들에 주의를 기울였다면

평화와 정의가 강물처럼 넘실거렸을 거라고 얘기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천지분간天地分揀을 못하고

모든 것이 제 세상인 줄 아는 철부지가 아니라

하늘 높은 곳에 계시는 하느님께는 영광을 드리고 그래서

땅에서는 마음이 착한 이에게 평화가 내리게 하는 주님처럼

그렇게 착한 하늘 아이가 되기로 마음먹는 오늘이 되어야겠습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profile image
    홈페이지 민트 2018.12.14 08:47:40
    하늘 닮아 "하늘스런"
    네. 그렇게 다짐하겠습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이필수다리아 2018.12.14 03:20:16
    감사합니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07Jan

    공현 대축일 후 월요일-청하는 것 다 받는 비결

    오늘 요한의 편지는 우리가 청하는 것은 다 하느님께 받게 된다고 합니다. 이것은 청해서 받은 경험이 별로 없는 사람에게 ‘정말로?’하게 합니다.   그런데 다 받게 되는 비결이 있습니다. 이어지는 말씀이 그 비결입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가...
    Date2019.01.0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521
    Read More
  2. No Image 06Jan

    주님 공현 대축일-나는 어떤 사람?

    “예루살렘아, 일어나 비추어라. 너의 빛이 왔다. 자 보라, 어둠이 땅을 덮고, 암흑이 겨레들을 덮으리라. 그러나 네 위에는 주님께서 떠오르시고, 그분의 영광이 네 위에 나타나리라.”   오늘은 주님의 공현 축일입니다. 주님의 성탄이 하늘의 주님께서...
    Date2019.01.0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4 Views1742
    Read More
  3. No Image 06Jan

    2019년 1월 6일 주님공현 대축일 -터키 에페소 기도의 집

    2019년 1월 6일 주님공현 대축일   오늘은 주님 공현(公現) 대축일입니다.  전에는 삼왕들이 아기 예수를 방문한 것을 기념하는 ‘삼왕 내조축일'(三王來朝祝日)이라고도 불렸습니다.  ‘공현’(公現)은 그리스어 ‘에피파네이아’ ‘테오파니아’ ‘신현(神顯)’을 의...
    Date2019.01.06 Category말씀나누기 By고도미니코 Reply0 Views479
    Read More
  4. No Image 05Jan

    1/6 주님 공현 대축일

    2019.01.06. 주님 공현 대축일 - http://altaban.egloos.com/2233214
    Date2019.01.05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502
    Read More
  5. No Image 05Jan

    1월 5일-미움의 단계들

    요즘 반려동물을 많이 키우고 그래서 그것이 사업화될 정도가 되었습니다. 반려동물에 대해 프란치스칸으로서 생각이 복잡합니다. 그것이 긍정적이라고도 생각되고 부정적이라고도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피조물을 사랑하는 것을 프란치스칸의 입장에서 ...
    Date2019.01.0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512
    Read More
  6. No Image 04Jan

    1월 4일-행동 대 행동

    “무엇을 찾느냐?” “라삐, 어디에 묵고 계십니까?” “와서 보아라.”   요즘 명절 풍속도가 여러 면에서 많이 달라졌습니다. 그중의 하나가 고향과 어른들을 찾지 않고 외국으로 여행 떠난다든지 자식들이 부모에게가 아니라 부모가 자식에게 가 명절을 지...
    Date2019.01.04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369
    Read More
  7. No Image 03Jan

    1월 3일-몸과 마음이 모두

    “그분 안에 머무르는 사람은 아무도 죄를 짓지 않습니다. 죄를 짓는 자는 모두 그분을 뵙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한 자입니다.”   상호내주相好內住가 우리 신앙인에게는 최고의 상태이고 경지입니다. 그러니까 요한복음 17장 21절에서 “아버지께서 제 안에...
    Date2019.01.0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47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 1306 Next ›
/ 130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