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362 추천 수 0 댓글 0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주님 세례 축일’은 예수님께서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신 사실을 기념하는 날이다. 전례주년으로는 이 축일로 성탄 시기가 끝나고 연중 시기가 시작된다. 주님 세례 축일은 예수님의 공생활이 시작되었음을 선언하는 날이다. 세례를 받으신 예수님께서는 이제 공적으로 당신을 드러내시며 활동을 시작하신다.

[오늘 전례]
오늘은 주님 세례 축일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세례를 받으셨습니다. 그것은 아버지의 뜻을 따르는 행위였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향하여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하고 말씀하십니다. 한 사람이 세례를 받으면 그만큼 하늘에서도 기뻐합니다. 우리가 세례를 받았을 때에도 주님께서는 기뻐하셨습니다. 우리 각자에게 필요한 은총을 청하며 미사를 봉헌합시다.

[말씀의 초대]
이사야 예언자는 ‘주님의 종’을 노래한다. 그는 뭇 민족들의 빛이 될 분이다. 갇힌 이들을 풀어 주고, 어둠 속에 있는 이에게는 해방을 알릴 분이다. 그는 주님 마음에 드는 이다. 주님께서는 당신 영을 그에게 보내시어 그를 도우실 것이다(제1독서). 코르넬리우스는 로마 군인으로, 백인대장이다. 그는 자신의 집에 베드로 사도를 초대하여 말씀을 듣는다. “하느님께서는 어떤 민족에서건 당신을 경외하는 사람은 다 받아 주십니다.” 이방인 코르넬리우스 앞에서 베드로 사도가 예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제2독서). 예수님께서는 요한에게 가시어 세례를 받으신다. 그것은 아버지의 뜻을 따르는 행동이었다. 그러한 예수님께 하느님께서는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이라는 표현으로 화답하신다(복음).

[제1독서]
<여기에 내 마음에 드는 나의 종이 있다.>
▥ 이사야서의 말씀입니다. 42,1-4.6-7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1 “여기에 나의 종이 있다. 그는 내가 붙들어 주는 이, 내가 선택한 이, 내 마음에 드는 이다. 내가 그에게 나의 영을 주었으니, 그는 민족들에게 공정을 펴리라. 2 그는 외치지도 않고 목소리를 높이지도 않으며, 그 소리가 거리에서 들리게 하지도 않으리라. 3 그는 부러진 갈대를 꺾지 않고, 꺼져 가는 심지를 끄지 않으리라. 그는 성실하게 공정을 펴리라. 4 그는 지치지 않고 기가 꺾이는 일 없이 마침내 세상에 공정을 세우리니, 섬들도 그의 가르침을 고대하리라.
6 주님인 내가 의로움으로 너를 부르고, 네 손을 붙잡아 주었다. 내가 너를 빚어 만들어, 백성을 위한 계약이 되고 민족들의 빛이 되게 하였으니, 7 보지 못하는 눈을 뜨게 하고, 갇힌 이들을 감옥에서,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이들을 감방에서 풀어 주기 위함이다.”

[제2독서]
<하느님께서는 예수님께 성령을 부어 주셨습니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 10,34-38
그 무렵 34 베드로가 입을 열어 말하였다. “나는 이제 참으로 깨달았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차별하지 않으시고, 35 어떤 민족에서건 당신을 경외하며 의로운 일을 하는 사람은 다 받아 주십니다.
36 하느님께서 예수 그리스도 곧 만민의 주님을 통하여 평화의 복음을 전하시면서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보내신 말씀을 37 여러분은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요한이 세례를 선포한 이래 갈릴래아에서 시작하여 온 유다 지방에 걸쳐 일어난 일과, 38 하느님께서 나자렛 출신 예수님께 성령과 힘을 부어 주신 일도 알고 있습니다. 이 예수님께서 두루 다니시며 좋은 일을 하시고, 악마에게 짓눌리는 이들을 모두 고쳐 주셨습니다. 하느님께서 그분과 함께 계셨기 때문입니다.”

[복음]
<세례를 받으신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영이 당신 위로 내려오시는 것을 보셨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3,13-17
13 그때에 예수님께서는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시려고 갈릴래아에서 요르단으로 그를 찾아가셨다. 14 그러나 요한은 “제가 선생님께 세례를 받아야 할 터인데 선생님께서 저에게 오시다니요?” 하면서 그분을 말렸다.
15 예수님께서는 “지금은 이대로 하십시오. 우리는 이렇게 해서 마땅히 모든 의로움을 이루어야 합니다.” 하고 대답하셨다.
그제야 요한이 예수님의 뜻을 받아들였다. 16 예수님께서는 세례를 받으시고 곧 물에서 올라오셨다. 그때 그분께 하늘이 열렸다.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영이 비둘기처럼 당신 위로 내려오시는 것을 보셨다. 17 그리고 하늘에서 이렇게 말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오늘의 묵상]
예수님께서도 세례를 받으셨습니다. 그럴 이유가 없을 것 같은데도 세례를 받으셨습니다. 그만큼 세례는 신비스러운 성사입니다.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하늘에서는 이 말씀이 들렸고, 성령께서는 비둘기의 모습으로 오셨습니다. 천상의 모든 분들이 그분의 세례를 지켜보았다는 표현입니다. 예수님께만 일어난 사건일는지요?
누구나 세례를 받으면 이러한 일이 일어납니다. 그만큼 세례는 위대한 사건입니다. 우리에게도 하늘의 응답이 있었습니다. ‘내가 사랑하는 이, 내 마음에 드는 이.’라는 말씀이 있었고, 성령께서도 오셨습니다. 다만 우리가 몰랐을 뿐입니다. 그러니 오늘은 예수님의 세례 축일이면서 동시에 우리의 세례를 되돌아보는 날입니다.
세례를 받은 뒤 우리는 한동안 많이 달라졌습니다. 죄를 피하려고 했고, 사랑을 실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기도에 힘쓰며 성사 생활을 가까이했습니다. 삶을 긍정적으로 보았고, 미래에는 희망을 두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떻습니까? 그러한 열정의 불씨만 남아 있는 것은 아닌지요? 그때의 자세를 되찾아야 합니다. 주님께서는 죄를 씻어 주셨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죄와 연관된 신앙에 머물고 있다면 바꾸어야 합니다. 신앙생활은 죄가 아니라 은총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죄를 피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은총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갈까?’ 하는 생각을 가져야 합니다. 그것이 세례성사의 교훈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08Feb

    2월 8일 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말씀의 초대] “내가 좋아하는 단식은 멍에를 부수어 버리는 것이다.” 주님의 말씀이다. 불의를 잡고 있는 멍에를 끊으라는 말씀이다. 나쁜 습관과 관계를 정리하라는 말씀이다. 그러니 단식한다면서 이웃과 다투어서는 안 될 일이다(제1독서). 단식은 음식을 ...
    Date2008.02.08 By말씀지기 Reply0 Views1499
    Read More
  2. No Image 08Feb

    [re] 단식, 그 비움의 길

    <img src=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033106%2Dtaeho69%2Egif wepth=375 height=250 사순절이 되면 가장 먼저 단식과 금육을 떠올리게 되는데 왠지 귀찮고 싫은 것으로 다가온다. 단식을 왜 해야...
    Date2008.02.08 By마중물 Reply0 Views1811
    Read More
  3. No Image 06Feb

    2월 7일 설날

    설은 한 해의 첫날이다. 설이라는 말은 ‘설다’와 ‘낯설다’의 ‘설’이라는 어근과 연관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새롭게 시작하는 한 해에 대한 낯설음이다. 그래서 한자로 신일(愼日)이라 했다. ‘삼가고 조심하는 날’이라는 의미다. 전통적으로 이날은 단정한 ...
    Date2008.02.06 By말씀지기 Reply0 Views1854
    Read More
  4. No Image 06Feb

    [re] 2월 7일 설날 /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설을 맞이하여 오랫동안 그리워하던 가족들을 만나는 기쁨에 많이 분주하시지요. 이럴 때 일수록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이들도 함께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저희 수도원에서도 어제 저녁 설날 기념 놀이를 하였습니다. 24-5명의 ...
    Date2008.02.06 By마중물 Reply0 Views1685
    Read More
  5. No Image 05Feb

    2월 6일 재의 수요일

    사순 시기 사순 시기는 ‘재의 수요일’부터 ‘주님 만찬 성목요일’의 주님 만찬 미사 전까지이다. ‘사순’은 본래 ‘40일’이라는 뜻으로, 이 기간 동안 교회는 예수님의 부활을 준비하며 참회와 보속, 그리고 희생을 실천할 것을 권고한다. 사순 시기의 ‘재의 수요...
    Date2008.02.05 By말씀지기 Reply0 Views1905
    Read More
  6. No Image 05Feb

    [re] 2월 6일 재의 수요일

    설 연휴 시작과 더불어 사순절이 시작되네요. 올해는 사순절이 참으로 일찍 찾아옵니다. 어쨌든 새해 복많이 받으시고 또 사순절의 은혜도 충만하시길 기원합니다. 떡국을 먹고 또 나이가 한 살 더 늘어납니다. 오늘부터 시작되는 사순절로 영적인 나이도 한 ...
    Date2008.02.05 By마중물 Reply2 Views1449
    Read More
  7. No Image 04Feb

    2월 5일 성녀 아가타 동정 기념일

    아가타 성녀는 이탈리아 남쪽의 시칠리아 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신심이 깊었던 그녀는 하느님께 자신을 온전히 봉헌하기로 결심하고 평생을 동정으로 살았다. 성녀는 철저하게 동정을 지킨 나머지 그녀를 흠모하던 박해자에게 붙잡혀 여러 번 혹독한...
    Date2008.02.04 By말씀지기 Reply0 Views204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284 1285 1286 1287 1288 1289 1290 1291 1292 1293 ... 1312 Next ›
/ 13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