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626 추천 수 1 댓글 0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제가 처음 무전순례 프로그램을 만들었을 때

바로 오늘 복음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습니다.

예수님과 제자들처럼 복음을 선포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형제들은 생각 없이 무전체험이라고 하고

심지어 무전여행이라고 하는 형제들이 있었으며

실제로 제가 미국 가 있을 때 형제들의 체험기를 읽어보니

구걸한 돈으로 제주도까지 가 자전거 여행한 형제도 있었습니다.

 

무전체험이나 무전여행도 아니 한 것보다 좋고,

그것만으로도 정말 많은 것을 느끼고 얻게 하기에 좋은 것이긴 하지만

무전체험과 무전여행은 제가 의도한 무전순례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지요.

 

무전체험이나 여행은 자기의 성장을 위한 체험이나 여행인데 비해

무전순례는 오늘 복음에서 보듯이 다른 이를 위한 것,

다시 말해서 이웃의 복음화, 세상의 복음화를 위한 것입니다.

 

그래서 복음의 주님은 제자들에게, 곧 우리에게 주라고 하십니다.

앓는 이들을 고쳐 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어라.

나병 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어라.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그런데 주님의 이 말씀을 들은 제자들은 어떤 마음이었을까요?

그리고 여러분은 어떤 마음이 드십니까?


병자를 고쳐주고, 죽은 이를 살려주고, 나병환자를 고쳐주는 것은

돈 얼마를 주고, 쌀 얼마를 주는 것처럼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아니지요.

이런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불가능한 것이 아닙니까?

어찌 주님께서는 불가능한 것을 하라고 하시는 겁니까?

 

그래서 우리는 평화를 빌어주라는 말씀은 그래도 실행하려고 해도

나병환자의 치유나 죽은 자를 살리는 것과 악령 추방과 같은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아예 제켜놓고 싶습니다.


그렇지만 오늘 주님께서는 지레 포기하거나 아예 포기하지 말고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그것을 우리가 하라고 하십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을 하라고 하시는 것이고,

우리 힘으로 안 되는 것은 당신의 힘을 빌려서라도 하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사실 우리는 아픈 사람을 고쳐주고, 죽어가는 사람을 살려주는 일 같은 것은

하느님께서 하실 일이지 내 영역이 아니라고 빨리 포기하고 싶어 합니다.

내 코가 석자인데 무슨 남을 위한 복음화이고,

나로서 할 수 없는 것을 왜 괜히 붙잡고 끙끙거리느냐고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내 자식이 죽어가도 그러겠습니까?

그때는 죽어가는 자식 살리는 일이 하느님의 일이 아니라 내 일이라 하고.

내가 해야 할 일이기에 내가 할 수 모든 것을 할 것이며,

그렇게 하는데도 안 되면 그 때 하느님께서 살려달라고 할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사랑은 이렇듯 할 수 없어도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것입니다.

고쳐주는 일, 살려주는 일이 내 일이라고 생각하는 그런 사랑의 마음과

하느님께서는 나를 도구삼아 고쳐주시고 살리신다는 믿음 말입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 어느 집에 들어가든지 그 집에 평화를 빌어주라는

주님의 말씀을 따라 그리고 이런 사랑의 마음과 믿음을 가지고

<평화의 기도>를 오래간만에 다시 한 번 바쳐봅니다.


주님, 저를 당신 평화의 도구로 써주소서.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다툼이 있는 곳에 용서를.

분열이 있는 곳에 일치를, 오류가 있는 곳에 진리를.

의혹이 있는 곳에 믿음을, 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

어둠이 있는 곳에 광명을, 슬픔이 있는 곳에 기쁨을 가져다주게 하소서.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1Aug

    연중 제 21 주일-성당 문이 곧 천당 문은 아니다.

    주님께서는 구원 받는 것이 쉬운지 어려운지 질문을 받으십니다. 질문을 한 사람은 ‘구원 받으셨습니까?’라고 도발적인 질문을 하는 일부 무례한 개신교 신자들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저와 같은 사람과 비교하면 구원의 문제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
    Date2016.08.2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639
    Read More
  2. No Image 20Aug

    연중 제20주간 토요일

     세상은 점점 위로 올라갈 것을 이야기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점점 아래로 내려갈 것을 말씀하십니다.  세상의 방식은  내가 스스로 무엇인가 해서 위로 올라가는 것이지만,  예수님의 방식은  나 자신을 밑으로 낮출 때,  하느님에 의해서 높아지는 것...
    Date2016.08.2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599
    Read More
  3. No Image 20Aug

    연중 20주 토요일-찌르지 않으셨어도 찔리는 까닭은?

    제 생애만큼 성경을 읽었고 8년을 매일같이 말씀 나누기를 인터넷에서 하고 있는데도 성경 읽는 것이 늘 달콤하지 않고 부담스럽지 않은 적도 거의 없습니다.   그것은 성경을 읽을 때마다 제가 찔리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제의 사랑하라는 말씀이 ...
    Date2016.08.2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486
    Read More
  4. No Image 19Aug

    연중 20주 금요일-필요한 것과 중요한 것은 구별할 줄 아라야.

    “주 너희 하느님을 사랑해야 한다. 이것이 가장 크고 첫째가는 계명이다. 둘째도 이와 같다.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   바리사이들이 주님께 가장 큰 계명에 대해서 묻습니다. 이에 주님께서는 그것이 사랑이라고, 더 정확히 얘기하면 사...
    Date2016.08.1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802
    Read More
  5. No Image 18Aug

    연중 제20주간 목요일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도록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즉 이런 저런 계기를 통해서  성당에 나오도록 초대 받는 사람들의 숫자가 적지 않습니다.  요즘에는 전보다는 많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새로 세례를 받는 사람이 ...
    Date2016.08.1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525
    Read More
  6. No Image 18Aug

    연중 20주 목요일-아무나가 아니라 모두 초대 받은 우리

    “혼인 잔치는 준비되었는데 초대받은 자들은 마땅하지 않구나. 그러니 고을 어귀로 가서 아무나 만나는 대로 잔치에 불러오너라.”   계속되는 하늘나라 비유입니다. 이 하늘나라는 종말론적인 하느님 나라일 수도 있고 하느님 나라를 이 세상에서 구현해...
    Date2016.08.1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630
    Read More
  7. No Image 17Aug

    연중 제20주간 수요일

     한 시간을 일한 사람에게도,  하루 종일 일한 사람에게도  똑같은 품삯을 주는 주인의 마음이 쉽게 이해되지 않습니다.  의인에게도 죄인에게도 햇볕을 비추어 주시고  비를 내려 주시는 하느님의 자비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의인에게는 상을 주시고 ...
    Date2016.08.1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58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 1315 Next ›
/ 13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