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4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와 선


  우선 제주 사람들을 폄하하려고 이 글을 올리는 게 아님을...

 

  애초에 피정 목적으로 '평화'에 목적을 두고 걷기피정을 시작하였다.

계란으로 바위치기 격일 테지만,

특히 세월호 희생자들과 강정마을의 평화를 염두에 둔 것.

 

  그렇게 출발을 하여 마침 내려가는 그룹에 끼어 첫 날 도착한 곳이 '팽목항'!

희생된 수많은 아이들의 맑은 영혼들은 천국에 있겠지만,

남아있는 가족들이나 전국민들은 왜 그랬어야 했는지 전혀 영문도 모른 채 아연실색...

사건 1년이 넘어서도 전혀 풀릴 것같지 않은 미궁의 실타래!

하기사 교회의 고위직 성직자들까지도 꿈쩍도 하지않는 정부 방침에 아부하는 건지 편승하고 있으니까...

 

  2일째 광주를 거쳐 제주에 도착한 시각은 저녘 6시 반경이었다.

아침 저녘으로 누릉지를 끓여먹을 요량으로 준비해간 밑바찬과 코펠 버너, 여름 침낭의 무게가

그 정도라는 걸 조금이라도 감안했더라면, 아마도 걷기 시작조차 못했으리라.

어쨌거나 이미 내쳤으니, 앞 뒤로 나누어 짊어진 배낭의 무게가 하루, 이틀...날이 갈수록

가벼워짐을 느끼면서 마지막 7일째 걷는 날이었다.

 

  올레길 제 10코스였던가, '고산 2리'라는 마을의 뻐스에서 내려,

어리짐작 가깝게 여겨지는 바닷가를 향해 땡볕 속을 30여분 정도 걸었을까.

제주도에 그렇듯 김해평야같이 넓어 보이는 평야가 온통 마늘 농사 뿐이라니!

마침 마늘 수확을 위한 남녀 일꾼들 여러 아줌마 아저씨들이 정자에서 시켜놓은 도시락을 들고있었다.

시간을 보니 12시 반...나도 그늘 한구석 없는 마늘 밭을 한참이나 걸어 간 터라 목마르고 허기지고...

암튼 가방을 내려놓고 쉬었다 가려는 심산으로 그들 곁 정자에 끼어들었다.

 

  한 아저씨 왈- "저기 동네 보이죠?  저 동네에 맛있게 음식을 하는 음식점이 있습니다."

"아, 그래요.  조금 후에 그 집으로 가서 사먹으면 되겠군요."

나는 애초부터 점심을 얻어먹을 생각은 꿈도 못꾸고 피곤한 다리를 쉴겸 털퍼덕 주저앉아

간식이라도 먹을 생각으로 가방을 뒤적였다.

손에 잡히는 것이 가방 맨 밑바닥에 있던 곶감 팩 3개였다.  왜 그때까지 그 곶감을 먹을 생각조차

못했는지...먹는 것 앞에 나는 늘 그런 식이었으니까...ㅉㅉㅉ!

 

  그렇게 손에 잡힌 곶감 팩중 2개를 식사하고 있는 그 아줌마 아저씨들에게 드리면서,

"식사하신 후 후식으로들 드셔요.  말랑말랑 서울에서 가져 온 맛난 곶감이거든요."

그러고나니 그들 맘이 180도로 바뀌어 충분히 먹을 게 남았으니 점심을 먹으란다.

시장한 김에 염치고 뭐고, 끼어들어 젓가락을 들고보니, 먹던 밥은커녕 맛있는 새 도시락 밥이다.

짜장도 있고 제법 영양가 있을 듯 싶은 주문 도시락이니...그들은 일이 바빠 황망히 자리를 털고 일어나면서,

"천천히 들고 가십시오.  우리들은 먼저 일어나야 하니..." 하면서  순식간에 일터로 사라지는 거였다.

 

  그랬다.  오래 전에 육지에서 건너 가 제주에서 살고 계신 어느 프란치스칸 재속회원의 말이 떠올랐다.

"제주 사람들이여...?  얼마나 육지 사람들에 대하여 배타적인지...걸핏하면 '육지 것들!'이란 표현을

마다하지 않고 함께 어울리기가 매우 쉽지 않답니다."

"육지 것들!"이란 심한 표현에 내재되어 있는 제주 사람들의 많은 상처를 그저 질타의 대상으로만

돌려선 아니되는 그 무엇을 읽을 필요가 있지 않을까?

 

  오랜 제주의 역사적 무고한 큰 사건들이나 현실에 있어서도 그들 나름대로의 깊은 상처들을,

"육지 것들!"이란 한 마디에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 역시 제주 토배기 가난한 사람들은 조상 대대로 이어져 온 땅들을 육지의 부자들에게 헐값으로

내어주고, 그 자리에 호텔이나 럭서리 팬션, 고급 주택들의 주인들은 돈 많은 육지 사람들의 차지가 

되어 있으니, 여전히 가난을 면치 못하는 그들 마음 한자리엔 "육지 것들!"에 대한 원망 내지 한이 서려있는

깊은 배타성을 배제할 수가 없는 것이다.

 

  강정마을에 가서는 그 아픈 제주 사람들의 마음을 더 깊이 읽을 수가 있어,

그들에게 '평화'란 참으로 까마득하고 요원한 현실일 것만 같아 마음이 심히 아팠다.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 간밤 꿈에 초롱초롱한 수많은 별을 보았더이다 T 평화와 선. 눈을 떠보니 꿈. 어쩜 그리도 맑고 초롱초롱한 별들이 끝없이 펼쳐졌을꼬...? 예사롭지 않은 꿈을 꾸는 날엔 절로 기분이 좋아 모든 것이 잘 될 것 ... 2006.03.08 2631
16 인도 체험기 인도로 가는 길.... 2005년 2월 5일부터 12월 5일까지 만 10개월을 인도에서 살았다. ‘해외 교환체험’이라는 정식 명칭 있지만, 이 말은 짧지도 길지도 않은 지나... 이 프란치스코 2006.03.07 2295
15 봄이 흐르는 소리 T 평화와 선. 3월에 들어섰는데도 춘설(春雪)이 난분분(亂紛紛)하니 고개를 갸우띵하며 봄이 오기를 학수고대! 남녘엔 벌써 매화 만발이란 꽃 소식. 명자나무 꺽... 1 2006.03.02 2051
14 여행 웅석봉 산기슭을 등 뒤로 하고 한밭으로 둥지를 옮긴지도 벌써 보름이 지나가고 있다.... 한 여름밤의 꿈처럼 짧은 한 순간 지나쳐온 그곳 세상 사람들로부터 외... 1 요십이 2006.02.26 1857
13 피터에 관한 추억 오늘은 베드로 사도좌 축일이다. 베드로에 대해서 생각하다가 필리핀에서 있었던 일이 떠올랐다. 몇 년전 안식년 기간에 잠시 필리핀에 머물렀었다. 당시에 우리 ... 김요한 2006.02.22 1989
12 아일랜드 아줌마 T 평화와 선. 답장도 잘 못해드리건만, 가끔 아일랜드에서 1년에 몇 번, 늘 기도를 잊지 않으신다는 고마움과 함께 어김없이 카드를 보내신다. 그것도 만나 뵌지 ... 2 2006.02.22 1909
11 각자가 걸어가는 걸어가는 길.. 걸어가는 길이 모두가 한 방향이더라도, 우리는 걸음걸이도 다르고, 지나치며 보는 것도 다릅니다. 걸어가면서 생각하는 것도 다르고, 가치관의 우선 순위도 다르... 1 honorio 2006.02.18 2293
10 "새 술은 새 부대에...?" T 평화와 선. 얼마 전 전폭적인 인사이동이 있어 내가 거주하는 공동체의 분위기도 예전과는 사뭇 달라질 전망. 나 개인적으로도, 1년간의 을 갖기로 되어 있어 ... 1 김맛세오 2006.02.15 2293
9 눈이 와서 {FILE:1} 아침에 눈을 뜨니, 창밖에 한가득 눈이 와 있었습니다. 일단은 수북히 쌓인 눈을 보고 기분이 좋다가.. 아주 잠깐 후.. "저걸 또 언제 치워"하는 생각... 2 file honorio 2006.02.07 2591
8 옛 것에 대한 소중함 T 평화와 선. 꼭 10년 전 '안식년' 때의 일이다. 기회가 닿아 오래 전 내가 공부하던 영국,캔터베리엘 갔었다. 놀랍게도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무색할 ... 2006.02.05 2675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