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6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리스도의 평화

 

 

 

 

 

우리동기들은 교육기 때 등산을 하면서

 

목표지점에 도달하려고 하다가

 

길을 잘못들어서 다시 내려가고 다시 올라가고,

 

우로 좌로 우왕좌왕 할때가 있었다.

 

그러다가 우리 동기 셋은 어떤 등산길로

 

들어서서 가는데 길이 넘 험하고 거칠었다.

 

그래서 우여곡절 끝에 하산해서 보니

 

팻말이 하나 있는 것이 보였다.

 

"입산금지 등산로 없음" ..!!

 

그래서 우리는 깨달아서 알게 되었다.

 

우리가 간 길이 등산로가 아니었다는 것을

 

우리가 그렇게 고생을하고 가시에

 

찔려가면서 온것이 사실

 

등산로가 없던 길이었던 것이었다.

 

우리가 등산중에 올바른 길을 알고서

 

목표지점에 잘 도달하는 것도

 

어떻게 보면 지헤로운 것이다.

 

산으로 올라가는 진리를 아는 것이고,

 

지혜를 아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을 것이다.

 

올바른 이정표를 알지 못하고

 

등산을가면 헷갈릴 수가 있는 것이고,

 

잘못된 길로 들어서서 시행착오가 생길수가 있다.

 

그것은 아직 산으로 올라가는 길을 잘 모르고,

 

등산길에 있어서 무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우여곡절 끝에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길을 바로 알게 되고 깨닫게 되면

 

그 깨달은 것이 끝이 되고,

 

목표에 도달한 것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여태까지 잘못알고 왔던 길을

 

다시 되돌아가던가 아니면 처음부터

 

다시 새로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잘못알고 왔던 길을 오다가 올바로된

 

길을 알았을때 다시 내려가야 하고,

 

혹은 처음부터 시작하거나 또 아니면

 

그때부터 올바른 길을 가야 한다.

 

그것이 지혜로운 등산길이 될 것이다.

 

잘못알고 왔다가 올바른 길을

 

알게 된 것이 깨달은 것이 끝이 아니다.

 

완성한것이 아니다. 새로운 시작인 것이다.

 

더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가 아닌가 싶다.

 

우리는 지혜를 알고 배우기를 원하지만

 

그것을 깨달았다고 해서 그것이 끝은 아니다.

 

그때부터 다시 시작이다.

 

자신이 깨달은 지혜를 삶으로 살아야 하는 것이다.

 

불교에 알려진 스님들의 행적을 보아서도

 

알수가 있듯이 깨달았으면

 

그것이 끝이 아니라 항상 새로운 시작이었다.

 

동서양과 역사와 시대를 넘어서서

 

지혜를 추구했던 수도자들이나 현인들도

 

마찬가지였었지만 말이다.

 

그러나 자신이 알고 있다고 믿고,

 

깨달아서 알고 있다고 믿고 있는

 

수 많은 사람들은 새로운 시작이 아니라

 

그것이 마지막이고 끝인양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자신이 깨달은 것을 삶으로 실천하려고 하지는 않고

 

오히려 말마디만을 배우고 익혀서

 

대중앞에서 자랑하고 칭찬을 얻으려고 하는

 

많은 이들과 종교계에 속해있는 많은이들이 있다.

 

예수님께서도 말씀하셨듯이 "그러니 그들이 너희에게

 

말하는 것은 다 실행하고 지켜라.

 

그러나 그들의 행실은 따라하지 마라

 

그들은 말만하고 실행하지는 않는다(마태오 23장3절)"

 

또한 성 프란치스코도

 

"그런데 업적을 이룩한 분들은

 

성인들이었지만 우리는 그들의

 

업적들을 그저 이야기만 하면서

 

영광과 영예를 받지 원하니,

 

이것은 하느님의 종들인 우리에게

 

정말로 부끄러운 일입니다"라고 말했듯이

 

우리가 지혜를 깨달아 안다는 것은

 

그것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삶은 마치 등산중에 잘못된

 

길을 걷다가 올바른 이정표를 보고

 

다시 새롭게 시작하는 것과도 같은 것이다.

 

산에서 들려오는 소리가 있다.

 

산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잘못된 길을 걸어 와서 올바른길을 알았을때

 

그것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입니다.

 

거기에서 안주하지 말고 새롭게 다시 시작하십시오"

 

라고 말한다 산에서 들려오는 소리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7 방법이 길이다.   방법이 길이다.   추상적 사랑은 가슴 없는 머리 개념은 있으나 만남이 없다.   사랑은 개별적이고 구체적이다 구체적 순간에 주님과 사랑에 빠진... 이마르첼리노M 2019.07.24 529
986 나의 신앙고백 나의 신앙고백   수도원에 발을 들여놓기 전 익숙한 것과 길들여진 것이 하도 많아 앞으로 나아가려는 나를 자석처럼 잡아끌었으나 아무것도 보장받지 못... 이마르첼리노M 2019.08.22 529
985 실패는 균형을 잡아주는 추 실패는 균형을 잡아주는 추   인생의 문제는 성공의 문제가 아니라 사랑의 문제다. 사랑이 아닌 힘을 쓰다가 겪는 것이 실패다. 실패할 때마다 실패를 통... 이마르첼리노M 2019.09.12 529
984 모성과 여성적 영혼을 깨워라 모성과 여성적 영혼을 깨워라   나는 독신으로 살면서 공동생활을 하는 수도자다. 어머니로부터 받은 모성적인 여성성이 내 안에 살아있음이 참된 관계를 ... 이마르첼리노M 2019.09.15 529
983 무능을 등에 지고 예수님을 따라가기 무능을 등에 지고 예수님을 따라가기   예수께서 행하고 선포하신 복음은 “나를 따르라”고 하셨지 나를 예배하라고 하시지 않았다.   자격 있다고 스... 이마르첼리노M 2020.06.01 529
982 반달이 보름달이 되기까지 반달이 보름달이 되기까지   머리 없는 가슴 가슴 없는 머리   영적인 것은 언제나 인간적이다. 영적인 삶은 결코, 분리된 적이 없다. 평범한 사람들은 ... 이마르첼리노M 2019.08.20 531
981 만추의 하늘 아래 만추의 하늘 아래   가을은 사과처럼 빨갛다. 노란 은행잎 주홍의 벚나무와 느티나무 메타쉐콰이어 가로수 길 먼 산의 낙엽송 산골에 피어오르는 파르... 이마르첼리노M 2019.11.16 532
980 코로나의 공포 속에서 수난기를 묵상하며 코로나의 공포 속에서 수난기를 묵상하며   사랑은 성공의 문제가 아니다. 상상의 온도계로 너의 상황을 재고 경쟁의 상대를 이길 때만 훌륭하다고 믿었던... 이마르첼리노M 2020.04.05 532
979 자유가 있는 곳에 사랑이 있다. 자유가 있는 곳에 사랑이 있다.   다른 사람을 섬기는 일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나서 고를 수 있는 선택사항이 아니다. 영적 은사도 그것을 남들... 이마르첼리노M 2020.07.11 532
978 휴가 휴가   수월봉 아래 저녁 바닷가 모처럼 만난 동생 수녀와 해변을 걸었다. 붉게 물든 하늘을 품에 안고 바람에 몸을 맡긴 바다가 수녀의 눈동자에 물결치... 이마르첼리노M 2020.10.13 532
977 고난의 땅에 피는 흑장미 고난의 땅에 피는 흑장미   머리로 아는 것은 깊이가 없다. 진실의 바닥을 경험하지 못했거나 고난의 흔적이 없기 때문이다.   참기 어려운 현실 속에... 이마르첼리노M 2020.09.03 533
976 악마의 편 가르기 악마의 편 가르기   도덕적 우위에 올라서서 천사의 탈을 쓴 악마들이 편싸움을 시작했다.   통제의 목적과 수단을 감추고 죄책감이 제거된 신성시된 폭... 이마르첼리노M 2019.07.28 534
975 과거의 그늘에서는 쉴 곳이 없다. 과거의 그늘에서는 쉴 곳이 없다.   그늘진 곳에서 날 붙잡고 있는 틀 사장님, 교수, 의사, 등등 과거의 타이틀에 묶여 현재를 살아가지 못하는 틀 과거의... 이마르첼리노M 2019.09.05 536
974 거리두기 거리두기     서로를 다치지 않게 하고 많은 말이 필요 없는 서로 좋은 이웃이 되려면 거리를 두고 존중하는 것이 더 큰 사랑이라고 코로나가 가르... 이마르첼리노M 2020.06.01 537
973 가난한 운전기사 가난한 운전기사   가난에 성공할 수 있을까? 성공하는 가난은 가난이 아니다. 가난에 성공할 수 없다. 구원이라고 부르는 성공에 실패했을 때 가난해지... 이마르첼리노M 2019.09.14 539
Board Pagination ‹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