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932 추천 수 1 댓글 2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노아가 육백한 살이 되던 해, 첫째 달 초하룻날에 땅의 물이 말랐다.
노아가 방주 뚜껑을 열고 내다보니, 과연 땅바닥이 말라 있었다.
노아는 주님을 위하여 제단을 쌓고,
번제물을 골라 그 제단 위에서 바쳤다.”

새로운 시작.

이 말은 좋은 말, 아름다운 말입니다.
우선 “새로운”이라는 말이 좋고 아름답습니다.
간혹 새로운 것이 싫을 때가 있는데,
그것은 새로운 것이 옛 것보다 나쁜 것이어서 그럴 수도 있지만
옛 것에 길들여지고 익숙해져
거기에 안주하거나 고집하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나이를 먹으면 점점 더 그렇게 되지요.
성당에 가서 매일 앉던 자리에 앉아야지 마음이 편안하고,
그 자리에 다른 누가 앉아 있으면 괜히 침범당한 것 같아 불쾌하다면
바로 그런 현상입니다.
그러므로 새로운 것이 시작되려면 불안해야 합니다.

不安이란 平安하지도 않고 便安하지도 않은 것이기에 나쁜 것 같지만
꼭 나쁘기만 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삶이란 쉽게 平安과 便安에 安住하기에
不安해야 安住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적당한 스트레스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그 것처럼 불안은 심지어 필요하기도 합니다.
왜냐면 하느님 나라를 향해 가는 순례를 하려면,
또는 묵시록이 얘기하는 새 하늘과 새 땅을 시작하려면
안주하지 않는 복음적인 불안정을 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본능적으로 불안정과 불안을 싫어하지요.
그래서 스스로는 가진 것을 버리지 못하고
있던 곳을 떠나지도 못합니다.

그러니 새로운 시작을 하려면 결국 옛것의 파국이 필요합니다.
하느님의 산에 오르려면 인간의 산에서 내려와야 하고
인간의 산과 하느님의 산 사이의 심연을 거쳐야 하듯,
파국이 있어야 새로운 시작이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는 고통스럽지만 이 파국을
두려워하지도 피하지도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파국을 맞았을 때 새로운 시작을 바라볼 줄 알아야 합니다.
이런 지혜와 용기를 우리는 독수리에게서 배웁니다.

독수리는 70년을 사는 장수 동물이지요.
그런데 독수리가 70년을 살기 위해서는 40세에 갱년을 해야 합니다.
40세가 되면 독수리의 부리와 발톱과 깃털은 노쇠하여
그대로 놔두면 사냥을 제대로 할 수 없어 죽게 됩니다.
이때 독수리는 중대한 결단을 내려야 합니다.
그대로 죽을 것인가 환골탈태할 것인가.
환골탈태를 선택한 독수리는 높은 산꼭대기로 올라갑니다.
먼저 바위를 쪼아 낡은 부리를 부숴버리고
새 부리가 자랄 때까지 기다립니다.
새부리가 자라면 새 부리로 낡은 발톱을 다 뽑아버리고
새 발톱이 자랄 때까지 기다립니다.
새 발톱이 자라면 새 발톱으로 낡은 깃털을 다 뽑아버리고
다시 새 깃털이 자랄 때까지 기다립니다.
이렇게 해서 독수리는 새 부리와 발톱과 깃털을 가지게 되고
이렇게 해서 독수리는 새로운 30년 더 살게 됩니다.

창세기를 보면 노아는 601살이 되는 해 첫째 달 초 하루에
새 땅에 제단을 쌓고 번제물을 바쳤다고 합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600년을 살고 인생이 파국을 맞았지만
601살에 다시 시작했다는 뜻이지요.
그런데 이 파국은
새로운 350년의 삶을 위한 파국이요
새로운 시작이었습니다.

나는 무엇이 파국을 맞아야 하고
어떤 것이 새롭게 시작되어야 할까?!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뭉게구름 2011.02.16 16:09:21
    이제라도 작은 악습 부터 버리고
    하느님 나라를 그리워 하겠습니다.
  • ?
    홈페이지 요셉 2011.02.16 16:09:21
    그렇습니다.

    가장 손쉬운 것은 나부터
    불편하고 부족하지만,
    더 이상의 고급화를 추구하지 않는 것이다 싶습니다.

    “하루를 살아도 행복 할 수 있다면
    나는 그 길을 택하고 싶다“라는 대중가요 노랫말처럼
    제 속마음은 그렇습니다.
    고맙습니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09Jun

    부활 7주 목요일- 하느님 사랑 안에서만

    “저는 그들에게 아버지의 이름을 알려 주었고 앞으로도 알려 주겠습니다. 아버지께서 저를 사랑하신 그 사랑이 그들 안에 있고 저도 그들 안에 있게 하려는 것입니다.” 어제는 수녀원 강의를 마치고 질의응답을 하는데 한 분이 수녀님들이 서로 간에 칭찬하는 ...
    Date2011.06.09 By당쇠 Reply1 Views759
    Read More
  2. No Image 03Jun

    부활 6주 금요일- 장강(長江)의 작은 일렁임처럼

    “너희는 울며 애통해하겠지만 세상은 기뻐할 것이다. 너희가 근심하겠지만, 그러나 너희의 근심은 기쁨으로 바뀔 것이다. 그 기쁨을 아무도 너희에게서 빼앗지 못할 것이다.” 會者定離. 만남이 있으면 반드시 헤어짐도 있다는 거지요. 그러나 이 말은 좋아서 ...
    Date2011.06.03 By당쇠 Reply4 Views821
    Read More
  3. No Image 02Jun

    부활 6주 목요일- "조금 있으면"을 잘 살아야!

    “조금 있으면 너희는 나를 더 이상 보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다시 조금 더 있으면 나를 보게 될 것이다.” “조금 있으면”이 경우에 따라 참 많이 다릅니다. 오늘 복음에서처럼 조금 있으면 근심이 기쁨으로 바뀐다는데, 조금 있으면 괜찮아질 거라고 의사가 얘...
    Date2011.06.02 By당쇠 Reply1 Views791
    Read More
  4. No Image 01Jun

    부활 6주 수요일- 모든 것이 내 거다.

    “아버지께서 가지고 계신 것은 모두 나의 것이다.” 이 말씀은 잃었던 아들의 비유에서 아버지가 큰아들에게 “내 것이 다 네 것이 아니냐?”고 한 말이 생각나게 합니다. 이 비유에서 보면 큰아들뿐 아니라 작은 아들도 아버지 것이 다 자기의 것이라고 생각지 ...
    Date2011.06.01 By당쇠 Reply0 Views1295
    Read More
  5. No Image 31May

    복되신 마리아의 방문 축일- 만남이 성사다.

    “그 무렵에 마리아는 길을 떠나, 서둘러 유다 산악 지방에 있는 한 고을로 갔다. 그리고 즈카르야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인사하였다.” 성모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엘리사벳이 임신했다는 천사의 말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Date2011.05.31 By당쇠 Reply0 Views873
    Read More
  6. No Image 30May

    부활 6주 월요일- 진리이신 영

    “아버지에게서 나오시는 진리의 영이 오시면, 그분께서 나를 증언하실 것이다.” 요한복음에는 다른 복음에는 없는 진리란 말이 많이 나옵니다. 다른 복음의 수난기에는 없지만 요한복음의 수난기에는 빌라도가 “진리가 무엇인가?”하고 묻습니다. 진리란 존재와...
    Date2011.05.30 By당쇠 Reply3 Views879
    Read More
  7. No Image 29May

    부활 제 6 주일- 영원하신 주님의 사랑

    “내가 아버지께 청하면, 아버지께서는 다른 보호자를 너희에게 보내시어, 영원히 너희와 함께 있도록 하실 것이다. 나는 너희를 고아로 버려두지 않고 너희에게 다시 오겠다.” 예수님께서는 이제 떠나십니다. 제자들을 떠나 아버지께로 가시는 것입니다. 떠나...
    Date2011.05.29 By당쇠 Reply1 Views98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 1081 1082 ... 1312 Next ›
/ 13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