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195 추천 수 0 댓글 2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우리는 예수님의 피 덕분에
성소에 들어간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분께서는 그 휘장을 관통하는 새롭고도 살아있는 길을
우리에게 열어주셨습니다.
곧, 당신의 몸을 통하여 그리해 주셨습니다.”

저는 오래 신앙생활을 하였으면서도 예수님께서 돌아가실 때
성전의 휘장이 갈라졌다는 말씀의 깊은 뜻을 알지 못했었습니다.
지금도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인지 모르지만
제 딴에는 이제 조금 알 것 같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예수님의 죽음 덕분에 하늘과 땅을 가르던 경계가 무너지고
하늘 성전과 예루살렘 성전을 가르던 휘장이 갈라지면서
하늘 성전으로 들어가는 문이 열렸다는 뜻일 것입니다.

하늘 성전에 계시던 주님이 오심으로 사실상 그때
하늘과 땅의 경계가 무너진 것이지만
주님의 죽음으로 죽음이 죽고
죽음이 죽음으로 모든 경계가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주님의 죽음은 우리의 죽음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죽음은 죽지 않으려다 삶이 죽음에 지는 것이지만
주님의 죽음은 죽고자 함으로 삶이 삶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죽음을 죽이고 삶과 죽음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것은
죽음을 사랑하는 것밖에 없습니다.
사랑은 두려움을 몰아내고
사랑은 모든 경계(境界)를 무너뜨리고
사랑은 모든 경계심(警戒心)도 허물어버립니다.

지난 번 일본 방문 뒤에 말씀드렸듯이
일본에 대한 저의 시선이 따듯해지면서
전에 그리 강하게 자리 잡고 있던 한일 간의 경계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얘기하면 때려죽일 놈이라고 하실 분이 있을지 모르지만
우리가 일본에 축구 졌다는 말을 듣고도 그렇게 분하지도 않았습니다.
이겨야 할 대상이 아니라 사랑해야 할 대상이고
사랑하니까 지고이기는 것을 이겨버린 것입니다.
지고이기는 것을 이기는 것이 진짜 이기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하늘과 땅의 경계를 허무신 것은
이 땅을 사랑하시어 오셨기 때문입니다.
우리를 사랑하시어 우리를 대신하여 세례를 받으시자
하늘이 열리며 사랑하는 아들이라는 선포를 받으십니다.
이제 우리를 더욱 사랑하시어 우리를 위하여
세례의 완성인 피의 세례를 받으시자
죽음이 죽으며 하늘이 열립니다.
사랑으로 죽으니 삶과 죽음의 경계가 무너지고
삶에서 삶으로 바로 넘어가는 것입니다.

이 사랑의 죽음, 피의 세례가 이제 우리를 정화시켜
우리를 하늘 성전에 들어가게 할 것입니다.
이 사랑의 죽음이 우리도 스스로 사랑의 죽음을 죽게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우리는 확고히 믿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 히브리서는 이렇게 또한 말합니다.
“진실한 마음과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하느님께 나아갑시다.
우리 마음은 그리스도의 피가 뿌려져,
악에 물든 양심은 벗고 깨끗해졌으며,
우리의 몸은 맑은 물로 말끔히 씻겨졌습니다.”

이 아침, 모든 것을 사랑함으로 모든 경계가 사라지고
죽음마저 사랑함으로 하늘 땅의 경계가 사라지기를 기도합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요셉 2012.04.03 12:05:56
    그렇습니다.

    “사랑에는 두려움이 없다”는 말씀처럼
    나를 있는 그대로를 상대에게 드려내며
    “너”와 “내”가 우리로서 하나가 되는 오늘을 살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진실한 마음과 확고한 믿음으로,
    고맙습니다.
  • ?
    홈페이지 마니또 2012.04.03 12:05:56
    온갖 두려움과 모든 근심..
    죽음마저 이기신 주님의 보혈의 사랑힘입어 저도 이기게 하옵소서..
    그러한 믿음과 사랑을 저에게도 주소서...

    주님의 피를 바르게 대면한 사람이라면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수 있을까요..
    피흘려 죽기까지 서로 사랑하라하신 주님의 말씀 앞에서
    서로 미워하고 시기하고 분내고 할 수 있을까요..
    휘장이 찢어지고 모든 경계가 사라진 삶..
    그 조화롭고 평화로운 삶을 소망하며 기도합니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14May

    마티아 사도 축일- 빈 자리를 채워라!

    “기도를 하고 나서 그들에게 제비를 뽑게 하니 마티아가 뽑혀, 그가 열한 사도와 함께 사도가 되었다.” 본래 마티아가 세례명인 저는 한 때 이런 생각을 하였습니다. 유다가 배반을 하였으면 그만이지 꼭 그의 뒤를 이어 다른 사도를 뽑아야 하는지, 그 이유가...
    Date2011.05.14 By당쇠 Reply1 Views943
    Read More
  2. No Image 13May

    부활 3주 금요일- 말미암은 존재

    “내가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는 것과 같이, 나를 먹는 사람도 나로 말미암아 살 것이다.” 어제 저녁을 먹고 오래간만에 인왕산 성곽 길을 걸었습니다. 성곽을 따라 아기 똥 풀이 지천으로 피었습니다. 멀리서 보면 유채꽃이 밭을 이룬 것처럼 그렇게 많이 피었...
    Date2011.05.13 By당쇠 Reply0 Views710
    Read More
  3. No Image 12May

    부활 3주 목요일- 예수 표 빵

    “나는 생명의 빵이다. 너희 조상들은 광야에서 만나를 먹고도 죽었다. 그러나 이 빵은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으로, 이 빵을 먹는 사람은 죽지 않는다. 누구든지 이 빵을 먹으면 영원히 살 것이다. 내가 줄 빵은 세상에 생명을 주는 나의 살이다.” 어제는 “내가 ...
    Date2011.05.12 By당쇠 Reply1 Views841
    Read More
  4. No Image 11May

    부활 3 주 수요일- 배가 항구에 정착하듯

    “내가 생명의 빵이다. 나에게 오는 사람은 결코 배고프지 않을 것이며, 나를 믿는 사람은 결코 목마르지 않을 것이다.” 저는 성경을 보면서 자주 개신교 성경과 같이 봅니다. 그러면 하느님 말씀이 풍요로워집니다. 오늘도 복음 묵상을 하다가 첫 번째 말씀이 ...
    Date2011.05.11 By당쇠 Reply0 Views832
    Read More
  5. No Image 10May

    부활 3주 화요일- 우상화, 사유화, 권력화에 대한 반성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하늘에서 너희에게 빵을 내려 준 이는 모세가 아니다. 하늘에서 너희에게 참된 빵을 내려 주시는 분은 내 아버지시다.” 하느님과 백성 사이에서 모세는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할까요? 하늘에서 참된 빵을 주시는 분은 ...
    Date2011.05.10 By당쇠 Reply0 Views694
    Read More
  6. No Image 09May

    부활 3주 월요일- 나는 무엇을 찾고 있는가?

    “너희가 나를 찾는 것은 표징을 보았기 때문이 아니라 빵을 배불리 먹었기 때문이다.” 주님의 이 말씀은 너무도 아픈 데를 콕 찌르는 말씀입니다. 빵의 기적에서 하느님의 표징을 보지 못하고 빵만을 보고, 하느님은 찾지 않고 빵을 찾아 헤매는 군상을 꼬집으...
    Date2011.05.09 By당쇠 Reply0 Views740
    Read More
  7. No Image 08May

    부활 제 3 주일- 따듯한 동행

    동행. 느낌이 좋지요? 동반. 역시 느낌이 좋고 따듯하지요? 이것은 그러면 어떻습니까? 동반 자살. 정말로 자살하고 싶은데 혼자 하는 것은 두려워 못하는 사람에게는 자살의 동반자도 고맙겠지요? 어떤 경우 우리 인간은 혼자 천국 가는 것보다는 같이 지옥 ...
    Date2011.05.08 By당쇠 Reply0 Views75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076 1077 1078 1079 1080 1081 1082 1083 1084 1085 ... 1312 Next ›
/ 13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