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94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프란치스코의 회개의 여정에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다미아노 십자가 체험입니다. 프란치스코가 외딴 곳에 버려진 다미아노 성당에서 기도하고 있을 때, 십자가의 주님이 말씀하는 소리를 듣습니다. "가서 허물어져가는 내 집을 고쳐라." 프란치스코는 이 말씀을 글자그대로 받아들이고 허물어져가는 다미아노 성당을 고치려는 시도를 합니다.

그는 자기가 그때까지 자기가 잘 알고 있고 해왔던 식으로 성당을 고치려 합니다. 그는 아버지의 가게에서 가서 옷감을 꺼내어 말에 실고 이웃 동네로 가서 그 옷감과 말을 모두 팔아 그 돈을 가지고 다미아노 성당의 사제를 찾아가서 그 돈을 주며 성당을 수리하게 합니다. 그런데, 그 성당의 사제는 프란치스코의 아버지가 어떤 사람인지 알고 그 돈을 받지 않았습니다.

이 반대에 부딪혀서, 프란치스코는 자기의 생각을 내려놓고 한걸음 더 나아가 하느님의 뜻을 찾고 하느님 뜻에 자기 마음을 열어젖힙니다. 그는 아시시 시내를 돌아다니며, 성당 수리를 위한 벽돌을 구걸합니다. 아마 프란치스코는 처음으로 누군가에게 동냥을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는 이 일을 하면서 나환자를 만남에서 맛보았던 쓴맛이 단맛으로 바뀌는 체험을 하였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하는 과정에서 그는 하느님께서 말씀하시는 허물어져가는 집이 단순히 성당 건물이 아님을 알아차립니다. 하느님의 뜻은 바로 허물어져가는 프란치스코의 마음과 사람들의 마음임을 알게 됩니다. 이 시점에서부터, 그는 허물어져 가는 자기 마음과 사람들의 마음을 고치는 일을 합니다. 그는 회개를 선포하고 형제들과 함께 복음적 삶을 살아갑니다.

프란치스코는 형제들과 함께 했던 회개의 여정에서 이 이미지, 집의 이미지를 더욱 심화시킵니다. 프란치스코는 우리 신앙의 모범이신 동정 마리아를 칭송하며 이렇게 말합니다. "천주의 궁전이시여, 기뻐하소서. 천주의 장막이시여, 기뻐하소서. 천주의 집이시여, 기뻐하소서." 프란치스코에게 성모님은 주님을 모신 집이고 장막이고 의복이고 어머니이고, 우리 또한 주님의 집이 될 수 있음을 말합니다.

프란치스코는 또한 그의 글 곳곳에 '주님의 영'이 우리 마음에 거하시도록 하라고 말합니다. 그 중 하나가 인준받지 않은 회칙 22장입니다. 이곳에서 프란치스코는 씨뿌리는 사람의 비유 말씀을 인용합니다. 프란치스코는 서두에서 예수님께서 원수를 사랑하셨던 것처럼, 우리도 우리를 힘들게 하고 모욕하는 이들을 사랑하라는 말씀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씨 뿌리는 이의 비유를 돌아온 악령 말씀을 연결시킵니다. 악령이 누군가의 마음에서 나갔는데, 그 마음이 비어있으면, 그 악령은 다시 돌아와 그를 더 나쁜 상태로 끌고 간다. 그러기에 우리는 "항상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신 전능하신 주 하느님이 머무르실 수 있는 자리와 거처를 우리 안에 마련하도록" 하라고 권고합니다.

 

프란치스코의 말씀에 비추어 이런 질문을 우리 자신에게 던질 수 있습니다. 누군가 나를 힘들게 하고, 나를 모욕할 때, 나는 '주님의 영'이 내 안에 거하시게 하는가?

우리는 자라면서, 나를 남보다 우위에 놓는 법을 익힙니다. 특히, 누군가 나의 존재를 인정해주지 않을 때, 남을 깍아내림으로 나를 높이곤 합니다. 어린 시절 이러한 생활양식은 나를 자괴감에 빠지지 않게 하기에 필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행동양식은 내가 다른 이와 조화로운 관계맺음을 하지 못하게 방해합니다. 우리는 다른 이와 조화로운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있는 그대로 그를 보아야 하고, 또한 있는 그대로 자신도 보아야 합니다.

예수님의 육화와 죽음에 의해 드러난 하느님의 사랑은 우리가 나를 있는 그대로 그리고 너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도록 합니다. 나 또한 하느님의 사랑받는 자녀이고 너 또한 하느님의 사랑받는 존재임을 알아차리게 합니다. 예수님의 사랑, 하느님의 사랑은 우리가 다른 사람에 너무 사로잡혀 나를 포장하는 작업을 그만두게 합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상처주는 말이나 행동에 앞에서, 우리가 예수님의 마음을 우리 마음에 심도록, 즉 예수님처럼 상처에서 부활의 꽃을 피우도록 이끕니다. 죽음과 함께 있는 부활의 세계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4 꽃피는 계절에 꽃피는 계절에   꽃피는 계절에 향기로 다가와 볼을 비비는 이여!   벌들에게 꿀을 내어주면서도 순수한 꽃으로 남아계신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생명이 만... 이마르첼리노M 2023.03.20 242
1363 인식의 차이 인식의 차이 대해서 아는 것과 아는 것    대해서 아는 것은 객관화된 지식이지만 아는 것은 경험된 지식입니다.   경험된 지식은 왜? 어떻게? 에서 나오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23.03.19 208
1362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quot;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용서하여라.&quot; (마태 18,22) 일만 달란트나 되는 돈을 빚진 사람이 왕 앞에 끌려왔다... 이마르첼리노M 2023.03.15 246
1361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사도 바오로는 바리사이의 의로움을 쓰레기로 버렸다. “여드레 만에 할례를 받은 나는 이스라엘 민족으로 벤야민 지파 출신이... 이마르첼리노M 2023.03.03 461
1360 용서가 있는 곳에는 힘을 사용하라는 내면의 유혹이 있다. 용서가 있는 곳에는 힘을 사용하라는 내면의 유혹이 있다.   우리는 선을 행할 때마다 측은한 마음으로 돌보시는 하느님의 자기 비움의 고통에 참여한다. 너를 ... 이마르첼리노M 2023.02.22 577
1359 무엇을 구원이라고 믿는가? 무엇을 구원이라고 믿는가?   내 믿음의 토대는 인류 구원에 대한 속죄 이론이 예수 그리스도의 형벌적 대속론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참여... 이마르첼리노M 2023.02.14 291
1358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갈등과 넘어짐을 반복하면서 하느님... 이마르첼리노M 2023.02.10 489
1357 난 너의 좋은 데를 안단다. 난 너의 좋은 데를 안단다.   세상은 온통 작은 기쁨들로 가득 차 있다. 다만 이 기쁨을 알아보는 능력이 없을 뿐이다.   하느님께서 새날로 주신 아침에 형제들... 이마르첼리노M 2023.01.30 441
1356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창조된 모든 피조물은 육화된 하느님 현존의 실재다. 우리가 경험하는 하느님은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최상의 아름다운 분이시라는 ... 이마르첼리노M 2023.01.28 239
1355 힘의 원천을 성찰하기 힘의 원천을 성찰하기   나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 믿음의 근본을 이루는 힘의 원천을 성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삼위일체 하느님으로부터 시작된 신적인 ... 이마르첼리노M 2023.01.26 245
1354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내가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과 하느님께서 나에게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을 허용할 수 ... 이마르첼리노M 2023.01.25 244
1353 신적 생명이 흘러가는 유역에서 살아가는 기쁨 신적 생명이 흘러가는 유역에서 살아가는 기쁨   불확실한 세상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은총과 사랑과 자비와 용서가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하다. 삼위일체 안에... 이마르첼리노M 2023.01.21 347
1352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내가 사랑했던 사람들은 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사랑한 사람들이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열정을 가지고 따르... 이마르첼리노M 2023.01.13 395
1351 하느님 안에 사는 사람은 자신을 내어주면서 쉰다. 하느님 안에 사는 사람은 자신을 내어주면서 쉰다.   자신의 힘을 자신만의 상승을 위해 사용하고 공동선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사랑이 무엇인지를 모... 이마르첼리노M 2023.01.12 455
1350 내어주고 품어 안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성적 힘 내어주고 품어 안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성적 힘   내가 지난날의 내 믿음을 성찰하는 가운데 발견한 것은 하느님을 권력을 지닌 힘으로, 지배하는 전능으로 이... 이마르첼리노M 2023.01.11 311
Board Pagination ‹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