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985 추천 수 0 댓글 1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2010년 새 해 저의 警句를 “잘못이 아니라 고통을!”로 삼았습니다.
올해는 이웃의 잘못을 보기보다는 고통을 보겠다는 뜻입니다.

지난 해 복음 묵상을 하면서
사랑에 실패하는 이유를 반성하고 여러분과 나눈 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사랑에 실패하는 이유는
이웃의 고통을 보는데 실패하기 때문입니다.
이웃의 고통을 보게 되면 사랑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들의 고통을 보면 나도 같이 고통을 느끼며
뭔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가슴을 강하게 압박을 합니다.
어디 들어갈 자리가 없을 것 같은 가녀린 몸에
주사 바늘이 여기저기 꽂혀 있고 눈물이 그렁한 어린아이를 보면
같이 고통을 느끼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런데 이웃의 고통보다 잘못이 눈에 먼저 들어오면
사랑은 싹 사라지고 판단하고 미워하는 마음이 더 크게 자리합니다.

옛날 제가 결핵환자들을 위해 후원회를 조직하고
뭔가를 하게 된 계기가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전에는
결핵환자들을 위한 시립병원의 사정이 아주 형편없었습니다.
의사, 간호사, 간병인 등 의료인도 많지 않았고,
약도 시설도 음식도 형편없었습니다.
제일 처음 병원을 방문했을 때 화장실까지 갈 힘이 없어서
침대 밑에 신문지 깔아놓고 거기에다 큰일을 봐 놓고
그리고 그 옆에서 밥을 먹고 있는 분을 보게 되었습니다.
머리는 깎지도 감지도 않아서 산발에 벌레들이 득실거렸습니다.
아침이면 가래를 뱉어내기 위해서 안간힘을 쓰고는 하였습니다.
독한 약을 먹으면서도 먹는 것이 너무 부실하여
갖가지 합병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들의 이런 고통만을 보았을 때는
제가 사랑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잘못을 보게 되면서 사랑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그렇게 고생하다 몸이 좀 나아지면 술을 먹거나 담배를 피웁니다.
연민이 실망을 거쳐 미움으로 바뀌고
그러지 말라고 하는데도 계속 그러면 미움은 분노로 바뀝니다.
한동안 그러다가 나중에서야 제가 이해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더 깊은 아픔을 볼 수 있게 되었던 것이지요.

사실 누가 잘못하고 싶어서 잘못하겠습니까?
사실 누가 죄짓는 것 좋아서 죄짓겠습니까?
그것이 그의 한계이고 그의 아픔이지요.
그러니까 사랑은 그의 한계와 잘못과 죄까지
아파하고 연민으로 볼 수 있어야 가능합니다.

누구에게나 보이는 겉고통은 사실
깊이 들여다보지 않으면 안 보이는 속고통에 비하면 고통이 아닙니다.
누구에게나 이해받을 수 있는 고통은 사실
이해받지 못하는 고통에 비하면 고통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이해받지 못하는 죄인의 고통에 더 큰 사랑이 더 필요합니다.
누구나 쉽게 병증을 알 수 있고 치료할 수 있는 병에
명의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여간해서는 왜 아픈지 알 수 없고
그래서 치료하기도 힘든 속병에 명의가 필요하듯
죄인에게 더 큰 사랑이 더 필요합니다.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왔다.”는
주님의 말씀이 크게 다가오는 아침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마니또 2010.01.16 09:25:13
    그저께 아들에게 갔다가
    곁에 빈 베드를 보는 순간 잠들었나봐요.
    아픈 이는 아들인데... 며칠 힘들었는지..ㅎㅎ
    눈을 뜨니 "엄마! 40분동안 잠든 것 알아요?
    내가 얼마만큼 아픈지 엄마는 모른데이~" 서운해합니다.^^
    "미안해~" 말하면서도 저도 서운했어요. 마음 속으로
    "엄마가 얼만큼 힘든지 모르는건 너도 마찬가지야.."

    신부님 강론을 묵상하니 아들 얼굴이 떠오르며
    가엽고 측은한 마음이 밀려와 마음 아프네요.
    저는 새해 警句를 "惻隱之心 "으로 삼으렵니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19Feb

    재의 수요일 다음 금요일 : 단식

    오늘 복음과 독서는 우리가 사순시기에 행하는 단식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하게 만듭니다. 우리는 많은 경우 사순시기를 시작하며 커피와 술, 담배와 같은 기호 식품을 끊거나 지나치게 애착하고 있는 것을 포기하겠다는 다짐을 세우곤 합니다. 또 하느...
    Date2010.02.19 By권웅용 Reply3 Views1139
    Read More
  2. No Image 19Feb

    재의 수요일 다음 금요일-욕망을 갈망으로

    수녀원 연 피정 지도를 위해 광주에 내려와 있습니다. 오는 길에 장성에 있는 우리 형제들에게 들렸는데 그곳 교육관에서 단식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고 우리 형제들 몇도 그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교육은 저도 옛날에 받은 적이 있습...
    Date2010.02.19 By당쇠 Reply4 Views956
    Read More
  3. No Image 18Feb

    재의 수요일 다음 목요일-관상, 그것은 외면에서 직면으로

    "생명과 죽음, 축복과 저주를 너희 앞에 내놓았다." 설마 주님께서 생명 아닌 죽음을 내놓으시고 더 더욱이 축복 아닌 저주를 우리 앞에 내놓으실까? 사실 하느님께는 죽음이라는 것이 없습니다. 저주라는 것도 없으십니다. 빛이신 하느님께 어둠이 없으신 것...
    Date2010.02.18 By당쇠 Reply2 Views1020
    Read More
  4. No Image 17Feb

    재의 수요일-사순시기를 시작하며

    며칠 전서부터 이번 사순시기를 어떻게 보낼지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어제는 더 구체적으로 생각을 해봤습니다. 단식을 할까? 사실 며칠 전서부터 사순시기를 어떻게 지낼지 생각하게 된 것은 제가 사순시기를 잘 지내려는 열망이 남달리 강해서가 아니었습니...
    Date2010.02.17 By당쇠 Reply5 Views1217
    Read More
  5. No Image 16Feb

    연중 6주 화요일-완고와 고착

    헤로데와 바리사이의 누룩을 조심하라는 당신의 말씀에 빵이 없음을 걱정하는 제자들을 보고 주님께서는 몇 가지 부정적인 언사로 한탄하시며 꾸짖으십니다. “아직도 이해하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느냐?” “너희 마음이 그렇게도 완고하냐?” “너희는 눈이 있어도...
    Date2010.02.16 By당쇠 Reply5 Views1191
    Read More
  6. No Image 15Feb

    연중 6주 월요일-일단은

    “그들을 버려두신 채 가셨다.” 오늘 복음의 이 마지막 말씀을 더 자극적으로 바꿔보면 “그들을 내버리고 가 버리셨다.” 주님은 아무도 버리시지 않는 줄 알았는데 주님도 누구를 버리시는가? 주님도 버리신다면 주님으로부터 버림받는 사람은 누구인가? 주님이...
    Date2010.02.15 By당쇠 Reply2 Views885
    Read More
  7. No Image 14Feb

    설 명절-연어처럼

    언젠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긴 자동차 행렬을 보면서 저는 연어들의 회귀가 연상되었습니다. 연어는 자기가 태어나고 자란 하천을 떠나 북태평양 베링해까지 가서 지내다 3-4년이 지나면 자기가 태어난 곳으로 새끼를 낳기 위해 돌아옵니다. 그 여행의 거리가 4...
    Date2010.02.14 By당쇠 Reply7 Views118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132 1133 1134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 1312 Next ›
/ 13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