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당쇠 2009.12.25 04:53

예수 성탄 대축일

조회 수 1019 추천 수 0 댓글 3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주님의 성탄을 축하드립니다.

그런데 주님의 탄생하셨는데 여러분이 축하받을 이유가 있습니까?
주님께서 탄생하셨는데 제가 축하받을 자격이 있을까요?
보통 아기가 탄생하면 아기의 부모나 조부모가 축하받습니다.
옆집에 얘기가 태어났는데 내가 축하받을 이유가 없지요.
그러니 우리가 오늘 예수님 탄생으로 서로 축하하는 것은
우리가 예수님의 어머니, 아버지가 되었다는 뜻이겠지요?
그러니 이제 옆에 있는 우리 형제, 자매들에게
오늘 “예수 엄마 축하합니다. 예수 아버지 축하합니다!”하고
다시 한 번 인사하시기 바랍니다.

예수님의 어머니가 되시니 기쁘십니까?
예수님의 아버지가 되시니 기분이 좋으십니까?

예수의 어머니가 되는 것 좋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다시 한 번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하는
엄마가 되라고 하면 되시겠습니까?
혹시 예수의 엄마가 되는 것은 좋은데
지금 내 아이들의 엄마가 되신 것을 후회하지는 않으십니까?
혹시 지금의 이 아들과 딸을 또 낳게 된다면
지금의 이 아들과 딸을 기꺼이 받아들이겠습니까?
아니면 지금의 이 아들과 딸이 아닌 다른 아들과 딸을 원하십니까?

저는 이번 성탄을 앞두고 한 10여일 심한 유혹을 받았습니다.
그저께 저의 형제에게 고백성사를 보면서 고백한 내용이지만
저의 형제들을 포기해버릴까 하는 유혹이 너무 심했습니다.
성탄을 앞두고 형제들이 잘못하는 것이 그리 많이 눈에 띠고
형제들의 잘못이 너무 눈에 거슬리는 것이었습니다.

저의 형제들 수도자이니 착할 것 같지요?
전혀 착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만큼 착하지 않고
저의 기대만큼 착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자녀들하고 똑같습니다.
저의 형제들 수도자이고 어른들이니 말썽 일으키지 않을 것 같지요?
Trouble Maker들 참 많습니다.

그런데 저의 형제들이 전에는 안 그랬는데
유독 이때 그런 것이었을까요?
아닙니다.
그러니 성탄을 앞두고 이런 것은 요즘 저의 형제들의 문제라기보다는
저의 문제이고 지금 생각하면 마귀의 장난이고 유혹인 것 같습니다.
사실 저의 형제들 욕심만큼은 아니어도 괜찮은 형제들이지요.
예수님만큼 Nice하지는 않아도 괜찮은 형제들이지요.
아니 예수님도 인간 마리아의 눈으로 보면 Trouble Maker였습니다.
어머니를 그토록 고통스럽게 한 자식이 어디 또 있겠습니까?
이렇게 묵상을 하니 이번 성탄 하느님께서 마귀를 통하여
이 착하지 않은 형제들,
이 Trouble Maker들을 문제꺼리로 포기할 것인지,
아니면 예수님으로 받아들일 것인지 깊이 다시 고민하게 하신 것이고,
마침내 마리아처럼 이 형제들을 예수님으로 받아들이게 하셨습니다.

성 프란치스코는 인준 받은 회칙 제 6장에서 이렇게 얘기합니다.
“형제들은 어디에 있든지 어디서 만나든지
상호간에 한 가족임을 서로서로 보여 줄 것입니다.
그리고 필요한 것을 서로 간에 거리낌 없이 드러낼 것입니다.
어머니가 자기 육신의 자녀를 기르고 사랑한다면
각자는 자기 영신의 형제들을
한층 더 자상하게 사랑하고 길러야 하지 않겠습니까?”

프란치스코는 여기서 Mothering, 어머니 됨을 얘기합니다.
우리는 서로 형제이면서
또한 어머니가 되어야 함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프란치스코는 레오 형제에게,
“레오 형제, 그대의 프란치스코 형제가 인사를 드리며 평화를 빕니다.
나의 아들, 내가 그대에게 어머니와도 같이 이렇게 말합니다.”

그런데 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거부하지 않는 것입니다.
“왜 이런 자식이 나왔어. 너 같은 자식은 싫어!” 하지 않는 것입니다.
요즘 많은 젊은이들이 부모 되는 것을 싫어합니다.
부모 되기 싫어 결혼도 하지 않거나
결혼을 해도 애는 안 낳으려고 합니다.
Career Woman이 되는데 걸리적거린다고 자식이 싫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여기서 다시 묻겠습니다.
지금 다시 똑 같은 자식을 낳아야 한다면 낳겠습니까?
형제들은 어떠시겠습니까?
지금 나와 함께 살고 있는 형제를 나의 아들로 받아들여야 한다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겠습니까?

이렇게 어머니 됨을 묵상하다보니
나는 과연 어머니답고 어머니다웠는지 또한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사실 자식의 모든 문제는 부모 책임이지요.
나의 자식은 나의 유전자를 받아 태어났고,
나의 자식은 나의 교육을 받아 자랐고,
나의 성격, 나의 식성, 나의 모습을 타고났습니다.
그래서 자식의 죄는 다 나의 죄이고
자식의 허물이나 약함도 다 나의 탓입니다.
자식이 잘못 되었을 때 부모가 괴로운 것은
그것이 자식이 아니라
자기 때문에 그리 되었기 때문에 괴로운 것입니다.

이것은 하느님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인간이 이렇게 죄인이고 허물 많고 약한 것 다 하느님 때문입니다.
부모가 나를 이렇게 만든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나를 이렇게 만드셔서
이렇게 태어난 것입니다.
그러니 내가 나를 이렇게 만든 것이 아닙니다.
내가 이 부모 선택하지 않았고,
내가 이 때를 선택하지 않았고,
내가 이 모습을 선택하지 않았고,
내가 이 성격을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인간의 죄성과 허물과 약함은 다 하느님 책임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께서 인간이 되어 오신 것입니다.
하늘에 계시면서 왜 그 모양이냐고 꾸짖기만 하지 않으시고,
하늘에 계시면서 나처럼 되라고 하지 않으시고,
인간성, 즉 인간의 죄와 허물과 약함을 밑에서 짊어지시고
하늘로 오르시기 위해 내려오셨습니다.

이 성탄 저를 반성합니다.
형제들의 부족을 탓 하기 앞서
“나는 정말 제대로 살았나?”
내가 잘 살았다면,
내가 정말 성 프란치스코와 같이 어머니다웠다면
형제들이 더 행복했을 텐데!

“나는 정말 내려갔는가?”
내가 정말 예수 그리스도처럼 형제들 밑으로 내려갔다면
형제들은 더 신적인 고귀함을 지닐 텐데!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뭉게구름 2009.12.25 11:36:19
    바다가 더러운 물, 깨끗한 물 모두 받아 들이 듯이
    너도 받아 들이고, 나도 받아 들이고..

    그리고는 나를 더 내려놓고
    어머니 역활을 해야 겠습니다.

    이제, 남은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2009 년도 서서히 저물어 가고 있으니까요.

    거룩한 성탄 성야 미사후
    산 다미아노에서 아기 예수님의 성탄을 경축하는
    신나고 기쁜 party 가 감동이었고 감사 했습니다.
  • ?
    홈페이지 무지개 2009.12.25 11:36:19
    메리 크리스마스!
  • ?
    홈페이지 당쇠 2009.12.25 11:36:19
    이 강론은 어제 밤, 성탄 전야 미사 강론을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다시 한 번 주님의 성탄을 여러분과 모든 피조물과 함께 기뻐하고 축하드립니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8Jan

    연중 3주 목요일-가진 것은 작아도 마음은 크게!

    “너희는 새겨들어라. 정녕 가진 자는 더 받고, 가진 것이 없는 자는 가진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 저는 이 말씀을 어떻게 이해할지 사람들을 수상쩍게 봅니다. 그렇기에 정말 이 말씀은 우리가 잘 새겨들어야 합니다. 이 말씀을 자본주의의 논리로 이해하면 큰...
    Date2010.01.28 By당쇠 Reply1 Views969
    Read More
  2. No Image 27Jan

    연중 3주 수요일-무정란이 되지 말아야!

    어제는 소파에 누워 오늘 복음을 묵상하고 있었는데 방에 걸려 있는 하 멜키올 형제의 사진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러면서 같이 살 때 생각이 났습니다. 오늘 복음의 여러 말씀 중에서 씨가 뿌려졌지만 뿌리가 없어서 오래 가지 못한다는 말씀이 마음에 꽂히...
    Date2010.01.27 By당쇠 Reply5 Views1266
    Read More
  3. No Image 26Jan

    연중 3주 화요일-인사하지 말라심은?

    “가거라. 나는 이제 양들을 이리떼 가운데로 보내는 것처럼 너희를 보낸다. 길에서 아무에게도 인사하지 마라.” 아시다시피 이 복음은 이 복음을 통해 프란치스코가 자기 사명을 깨달은, 그래서 우리 프란치스칸에게는 아주 중요한 복음입니다. 그리고 “복음화...
    Date2010.01.26 By당쇠 Reply4 Views1176
    Read More
  4. No Image 25Jan

    사도 바오로 회심 축일-바뀌어봅시다!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을 지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의 의미를 잘 알아야 할 것입니다. 바오로 사도의 회심은 윤리적으로나 신앙적으로 방황하다가 하느님을 만난 아오스딩 성인과 다릅니다. 바오로 사도의 회심은 세속적인 성공을...
    Date2010.01.25 By당쇠 Reply3 Views1530
    Read More
  5. No Image 24Jan

    연중 제 3 주일-심금을 울리다

    오늘 느헤미야기에서 에즈라 사제가 율법을 읽고 풀이를 해주자 유대인들은 눈물을 흘립니다. 얼마가 감격에 겨우면 하느님 말씀을 듣고 눈물을 흘릴까요? 왜 유대인들은 그렇게 감격을 했을까요? 저의 사제 생활 중 이와 같이 기억에 남는 두 번의 미사가 있...
    Date2010.01.24 By당쇠 Reply2 Views1237
    Read More
  6. No Image 23Jan

    연중 2주 토요일-미쳐야 미친다

    오늘 복음은 아주 짧습니다.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집으로 가셨다. 그러자 군중이 다시 모여들어, 예수님의 일행은 음식을 들 수조차 없었다. 그런데 예수님의 친척들이 소문을 듣고 그분을 붙잡으러 나섰다. 그들은 예수님께서 미쳤다고 생각하였...
    Date2010.01.23 By당쇠 Reply2 Views970
    Read More
  7. No Image 22Jan

    연중 2주 금요일-우리는 주님께서 원하시는

    오늘 복음은 열 두 사도를 뽑으시는 마르코 복음입니다. 열 두 사도를 뽑으시는 얘기는 공관 복음에 모두 나오지만 조금씩 아니 어떻게 보면 많이 다릅니다. 우선 열 두 사도의 이름이 다릅니다. 다른 사람인지 같은 사람이지 모르지만 타대오라는 이름의 사도...
    Date2010.01.22 By당쇠 Reply5 Views106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 1144 ... 1312 Next ›
/ 13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