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183 추천 수 3 댓글 2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한 사람의 범죄로 모든 사람이 유죄 판결을 받았듯이,

한 사람의 의로운 행위로 모든 사람이 의롭게 되어 생명을 받습니다.

한 사람의 불순종으로 많은 이가 죄인이 되었듯이,

한 사람의 순종으로 많은 이가 의로운 사람이 될 것입니다.

 

오늘 독서를 통해서    사람이 무척 중요합니다

  사람쯤이야! 라고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사람과 

그런 사람들로 인해 세상에 죄가 퍼지고

다른 사람은 어떠하든  하나라도 똑바로 살겠다는 사람과

그런 사람들로 인해 죄의 파급이 멈추게 됩니다

 

오늘 독서는  사람을 통해 죄가 세상에 들어왔다는 얘기로 시작됩니다

아담을 두고 하는  같은데 그렇다면 아담이 죄를 짓지 않았다면

그리고 카인도 죄를 짓지 않았다면 세상에 죄가 들어오지 않았을까요

 

 둘이 죄를 짓지 않았어도 자손 중에  누가 죄를 지어

세상에 죄는 들어왔을 것이기에 그러므로 오늘 독서에서 얘기하는 

  사람이란  아담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너나 나이고

너와 나의 죄는  사람의 죄로 그치지 않고 세상에 퍼진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자주 보는 현상이 있습니다

건널목에 신호등이 있고 빨간불이 켜져 있습니다

모두 파란불이 켜지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사람이 그냥 건너버리자

마치 둑이 터진  너나   없이 모두 법규를 위반하고 길을 건넙니다

 

우리 안에 법을 어기고 마음대로 하고 싶은 마음이 다들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하느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셔서 자유 의지를 주셨기 때문입니다

그런다면 하느님께서는  이런 자유를 주신 겁니까

자유를 자기 마음 대로 하는 것에 쓰는 것이 인간인데 

 

그것은 하느님께서 사랑이시고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이지요

욕심과 비교할  사랑은 본질적으로 자유를 주는 것이고 

사랑이 완전하면 완전할수록 자유를 주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우리는 욕심이라는 불순물이 있기에 사랑하면서도 

욕심만큼  욕심대로 되거나  주기를 상대에게 바라고

애착을 하고 얽어매려고 하는데 하느님의 사랑은 그런 것이 전혀 없지요

 

그런데 하느님께서도 자유를 주시면서 우리에게 바라시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억지로가 아니라 완전한 자유로 우리가 당신을 선택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자유의지로 당신을 배반하고 죄를 지을 수도 있지만

 자유의지로 당신을 선택하고 사랑하기를 바라시는 겁니다. 

 

그런데 사랑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죄를 선택할 수도 있는

 위험한 것이 바로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자유이지요

 

그러므로 우리는 사랑으로 자유를 수성守城해야 합니다

자기를 포기한 사람은 자기 몸을 함부로 굴리고 인생을  살아버리는데

진정 나를 사랑한다면 나의 자유를 소중히 여겨

한찮은 것에 개떡같이 쓰지 말고 소중히 써야 합니다

자기를 사랑한다는 것은 자기 자유를 소중히 여기는 것과 같은 거잖아요

 

그리고 자신을 위해서뿐 아니라 다른 사람을 위해서도 

다시 말해서 이웃 사랑 때문에도 함부로 살면  됩니다

 

가장이 무너지면  가정이 무너지듯 내가 무너지면 

나를 밑돌 삼아  있던 사람들까지 허물어질 것이고

내가 버티고 있으면 나를 바탕 삼고 디딤돌 삼아 

사랑의 건물이 세워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거듭 얘기하지만   사람이 중요합니다

 하나쯤이야 하고 생각지  것이고

 하나로    있겠어? 라고도 생각지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19.10.22 04:38:13
    신부님의 말씀을 같은 전례시기에는 어떻게 묵상하고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19.10.22 04:37:18
    18년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벽을 허물어)
    http://www.ofmkorea.org/159586

    17년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기쁨과 감사 중에 어떤 것이?)
    http://www.ofmkorea.org/112835

    15년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자기 흡족과 은총의 만족 사이에서 나는 어디?)
    http://www.ofmkorea.org/83584

    14년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잠에 취하지 않고 성령에 취해야)
    http://www.ofmkorea.org/68628

    13년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의무를 다하는 종과 사랑을 갈망하는 종)
    http://www.ofmkorea.org/57043

    12년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주님은 저승사자가 아니라 바람이시다.)
    http://www.ofmkorea.org/42583

    10년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기다리는 행복)
    http://www.ofmkorea.org/4492

    09년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지극한 섬김을 받는 행복한 종)
    http://www.ofmkorea.org/3225

    08년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평화를 생각하며)
    http://www.ofmkorea.org/1784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7Nov

    연중 34주 수요일-기회비용

    오늘 주님께서는 우리가 박해를 받게 되면 그것이 우리에게는 증거 할 기회가 될 거라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박해 뿐 아니라 기회란 것이 본래 잡아야지 기회지 잡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기회일지라도 기회가 아니지요.   그래서 기회를 잡았다거나 기...
    Date2019.11.2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989
    Read More
  2. No Image 26Nov

    연중 제34주간 화요일

    2019.11.26. 연중 제34주간 화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8932
    Date2019.11.26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54
    Read More
  3. No Image 26Nov

    연중 34주 화요일-절망이 장기화하고 절망에 안주할 때

    같은 현재를 보면서도 현재를 보는 눈이 사람에 따라서 다르고 오늘 복음의 경우는 사람들의 눈과 주님의 눈이 다릅니다.   현재를 보는데 현재만 보는 눈과 과거와 미래 안에서 현재를 보는 눈의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사람들은 성전의 ...
    Date2019.11.2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047
    Read More
  4. 25Nov

    연중 제34주간 월요일

    2019.11.25. 연중 제34주간 월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8907
    Date2019.11.25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61 file
    Read More
  5. No Image 25Nov

    연중 34주 월요일-주님께서 더 어여삐 여기시는 것

    "저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더 많이 넣었다. 저들은 모두 풍족한 데에서 얼마씩을 예물로 넣었지만, 저 과부는 궁핍한 가운데에서 가지고 있던 생활비를 다 넣었기 때문이다."   오늘 복음에서 가난한 과부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이 넣었...
    Date2019.11.2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016
    Read More
  6. No Image 24Nov

    그리스도 왕 대축일-우리의 왕이지만 우리만의 왕이 아닌

      오늘은 그리스도 왕 축일인데 이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됩니다. 그리스도가 이 세상의 왕이라는 뜻인지,  아니면 세상의 왕은 아니고 우리의 왕이라는 뜻인지.   우리의 왕이라는 뜻이 없지 않을 것입니다. 그...
    Date2019.11.24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970
    Read More
  7. 24Nov

    그리스도왕 대축일

    2019.11.24. 그리스도왕 대축일 - http://altaban.egloos.com/2238885
    Date2019.11.24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7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 1312 Next ›
/ 13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