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994 추천 수 2 댓글 2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주님! 저들의 위협을 보시고 주님의 종들이

주님의 말씀을 아주 담대히 전할 수 있게 해 주십시오.”

 

오늘 사도행전은 담대한 사도들의 얘기입니다.

아니, 정확히 얘기하면 담대해진 사도들의 얘기입니다.

원래는 그리 담대한 사도들이 아니었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저는 그래서 사도들이 부럽습니다.

저는 나이를 먹을수록 소심해지니 말입니다.

 

여러 번 말씀드렸듯이 저는 밤 등산을 즐기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밤 등산을 한  가보시라고 하면

대부분 무서워서 싫다고 사양합니다.

 

그런데 그러던 제가 몇 년 전부터 밤 등산을 못하고 있습니다.

전에 정치적인 사건으로 궁지에 몰린 분이 그 산에서 목을 매

자살한 사건이 있었는데 목을 맨 나무를 제가 알고 있었고,

그날도 밤 등산을 하던 중 그 나무 옆을 지나갈 때 그분이

생각나면서 등산 내내 그분이 제 뒤통수를 따라오는 거였습니다.

 

그런데 생각을 해보면 그 두려움은 자살한 사람 때문만은 아닙니다.

나이를 먹으면서 운전을 할 때도 매우 조심을 넘어 소심해지는 저를 보면

저의 담력膽力이 떨어져서 담대膽大함이 전만 못하게 된 것이 분명합니다.

 

한의에서는 담력과 담대함이 담, 곧 쓸개에서 나온다고 한다지요.

그러니까 담이 큰 것이 담대함이고 쓸개가 클 때 담력이 큰 것인데

나이 먹어 쓸개가 작아지거나 기능이 약해지면 담력도 떨어지겠지요.

 

그런데 담력이나 담대함에 대한 이런 생의학적인 이론도 있겠지만

인생의 지혜랄까 덕의 차원에서 담대함을 얘기할 수도 있겠습니다.

 

우리말로 까짓것할 수 있는 것이 담대함입니다.

어려운 일이나 큰일이 닥쳐도 까짓것하는 것입니다.

 

이 면에서도 저는 꽤나 담대한 편이었습니다.

큰일이 닥치면 저는 오히려 담담해집니다.

바로 담대해지지는 않지만 담담해지기는 하다는 뜻입니다.

그런 다음 그러니까 담담한 상태에서 찬찬히 담대해지는 작업을 합니다.

 

어리석은 사람은 작은 문제도 큰 문제로 만들어 해결못하고 쩔쩔매지만

지혜로운 사람은 큰 문제도 작은 문제로 만들어 해결하는 법이라는

제 인생철학을 이때 끄집어내어 제 마음을 담대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이 까짓것 아무것도 아니야!’라고 해버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어서 신앙적인 담대함으로 바꾸는 세  째 작업을 합니다.

다윗과 골리앗 얘기를 떠올립니다.

 

골리앗은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너무 크고 힘센 존재였습니다.

그래서 나가서 싸우는 족족 질 수밖에 없었지요.

인간적으로 보면 도저히 이길 수 없는 상대지요.

 

그러나 다윗은 비록 어리고 힘도 제일 없었지만

그에게는 하느님께 대한 굳은 믿음이 있었지요.

인간에게는 골리앗이 크고 힘세지만 하느님 앞에서 그는 아무것도 아니지요.

 

그 하느님은 그의 조상들이 수없이 체험한,

이민족들을 다 물리쳐주신 크고 두려우신 하느님입니다.

사울과 다른 장수들은 이 하느님을 믿지 않아 골리앗을 두려워했지만

다윗은 이 하느님을 두려워하고 믿었기에 골리앗에 대해서는

아무 두려움이 없이 하느님의 힘으로 싸워서 이길 수 있었습니다.

 

사도들의 담대함은 이 믿음의 계보를 이은 담대함이고,

성령을 받은 자의 담대함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느님을 믿으면서

세상을 두려워한다면 담력이 없음을 부끄러워하거나

아무것도 아닌 것을 까짓것 할 수 없는 지혜 없음을

부끄러워할 것이 아니라 믿음 없음을 부끄러워해야 할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20.04.20 05:45:52
    신부님의 말씀을 같은 전례시기에는 어떻게 묵상하고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20.04.20 05:45:08
    19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잘 늙는 모범)
    http://www.ofmkorea.org/212228

    17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욕심과 미움 때문에 나를 바꿀 필요는 없다.)
    http://www.ofmkorea.org/102121

    15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신중하되 담대하게)
    http://www.ofmkorea.org/76984

    14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비록 새로 태어나지는 않았을지라도)
    http://www.ofmkorea.org/61654

    12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제자들처럼 담대하게)
    http://www.ofmkorea.org/5741

    11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제자들의 표변)
    http://www.ofmkorea.org/5052

    10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다른 기도는 말고 오직)
    http://www.ofmkorea.org/3897

    09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다시 태어나려면)
    http://www.ofmkorea.org/2410

    08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모든 것을 내려 놓았다)
    http://www.ofmkorea.org/1069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16May

    부활 5주 토요일-나도 성령의 허락을 받고 싶다.

    "미시아에 이르러 비티니아로 가려고 하였지만, 예수님의 영께서 허락하지 않으셨다."   오늘 사도행전을 읽다가 비티니아로 가고자 했던 바오로가 성령께서 허락지 않으셔서 가고자 하던 곳을 포기하고 트로아스로 방향을 돌렸다는 얘기가 새삼스러웠습...
    Date2020.05.1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010
    Read More
  2. No Image 15May

    부활 5주 금요일-미꾸라지 한 마리가 물을 흐릴 때

    주님께서는 당신이 말씀하신 것 중에서 제일 중요한 말씀을 오늘 제자들에게 하십니다.   “이것이 나의 계명이다.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   그런데 저는 이 말씀이 제일 중요한 말씀이고 계명이라고 하면서도 실제 삶에...
    Date2020.05.1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063
    Read More
  3. 15May

    부활 제5주간 금요일

    2020년 5월 15일 부활 제5주간 금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41531
    Date2020.05.15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11 file
    Read More
  4. No Image 14May

    성 마티아 사도 축일-모든 선출은 다 하느님의 선출

    "너희가 나를 뽑은 것이 아니라 내가 너희를 뽑아 세웠다.“   늘 하느님의 뜻을 찾고, 늘 하느님 섭리에 따르려는 프란치스코와 관련한 유명한 일화가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하루는 성 프란치스코가 맛세오 형제를 데리고 길을 가고 있었다. 맛세...
    Date2020.05.14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979
    Read More
  5. 13May

    성 마티아 사도 축일

    2020년 5월 14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 http://altaban.egloos.com/2241521
    Date2020.05.13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34 file
    Read More
  6. No Image 13May

    [동영상] 부활 제5주간 수요일: 왜 머물라고 하실까?

    예수님께서는 포도나무의 비유를 들어 당신 안에 머물라고 하십니다. 왜 머물라고 하실까요? 그것은 앞으로 시련과 박해를 받을 당신의 제자공동체를 위한 예방교육을 하시는 까닭입니다. 그리하여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아무런 노력...
    Date2020.05.13 Category말씀나누기 By박루케시오 Reply0 Views246
    Read More
  7. No Image 13May

    부활 5주 수요일-삭정이는 아닌지 돌아보는 오늘

    오늘 주님께서는 당신을 포도나무라고 하시며 우리는 당신의 가지라고 하십니다. 이것은 바오로 사도의 그리스도 신비체 교리와 맥을 같이 합니다. 우리는 그분 지체들로서 그분과 일치하여 한 몸을 이룬다는 교리 말입니다.   이 가르침이 맞다고 우리...
    Date2020.05.1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5 Views1139
    Read More
  8. 13May

    부활 제5주간 수요일

    2020년 5월 13일 부활 제5주간 수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41508
    Date2020.05.13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22 file
    Read More
  9. No Image 12May

    부활 5주 화요일-환난과 환멸의 관계

    오늘 바오로 사도는 죽다가 살아납니다. 이코니온에서 사람들이 돌을 던져 죽이려고 하기에 피해 리스트라에 온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여기서 앉은뱅이를 일으키는 기적을 일으켜 사람들이 자신들을 신격화하는 일도 겪지만 이코니온 사람들이 여기까지 쫓아...
    Date2020.05.1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960
    Read More
  10. 12May

    부활 제5주간 화요일

    2020년 5월 12일 부활 제5주간 화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41493
    Date2020.05.12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2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 719 Next ›
/ 719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