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예수를 받아들인 사람은?

 

요한복음에 나타난 하느님

창조 이전부터 계셨고 하느님과 똑같은 말씀

아버지를 계시하신 말씀

말씀으로 창조하시는 하느님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예수 안에 육화되신 그리스도 하느님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 양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생명의 빵이다.

이 빵을 먹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을 얻을 것이다

 

나는 세상의 빛이다.

나를 따라오는 사람은 어둠 속을 걷지 않고 생명의 빛을 얻을 것이다.

내가 이 세상에 있는 동안은 내가 세상의 빛이다.

빛이 있는 동안에 빛을 믿고 빛의 자녀가 되어라

 

진리이신 하느님

내 말을 마음에 새기고 산다면 진리를 알게 될 것이며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나는 양들이 드나드는 문이다.

나는 착한 목자다.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다.

나를 믿는 사람은 죽더라도 살겠고

살아서 믿는 사람은 영원히 죽지 않을 것이다.

 

발을 씻어주시는 하느님

스승인 내가 너희의 발을 씻어주었으니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주어야 한다.

 

새로운 계명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나를 거치지 않고서는 아무도 아버지께 갈 수 없다.

 

나는 참 포도나무요 나의 아버지는 농부이시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다.

 

어떻게 내어줄 것인가?

경이와 비극 속에서 변화의 여정을 살아내는 영성은

죽음과 생명, 항복과 용서라는 상호작용이 변화의 길로 이끌어 준다.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너로 위장한 모습으로 나에게 다가오신다면

생명과 죽음의 체계 안에서 우리가 어떻게 우리의 목숨을 내어줄 것인가?

 

내어줌으로써 연결이 시작된다.

세상과 연결되고 모든 피조물과 연결되고 하느님과 연결되려면

예수 안에서 어떻게를 배워야 한다.

하느님의 가난하심을 배워라

하느님의 내어주심을 배워라.

자신을 낮추어 너의 눈높이에 맞추는 겸손하심을 배워라

 

십자가는 어떻게를 배우는 학교다.

결정적 죽음 이전의 일상에서

나를 내어놓는 죽음이야말로

변화라는 부활로 다시 태어나는 생명이다.

 

목적이며 여정으로서의 길

안내자요 모델이며 동반하시는 진리

나에게서 나를 구원하는 생명

 

예수 안에서, 예수를 통하여 보여주신 하느님의 계시

계시의 빛을 받으면 삶의 본 모습이 드러난다.

 

모든 것은 위로부터 받았다.

받은 것을 네 소유로 만들지 말라

나를 믿지 말라

나는 걸림돌이다.

사랑에는 고난이 따른다.

너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나를 내려놓는 고난이다.

 

네 믿음을 주님께 두어라

하느님과 너와 피조물을 받아들일 여백과 공간을 만드는 가난

발을 씻어주는 겸손

행동하는 선, 용서하는 자비가

단절과 묶임에서 해방하고

자유가 자유를 구원하는 관계의 혁명이 거기에 있다.

 

사람들을 사랑하고 생명을 주어 살리시는 하느님

예수를 받아들인 사람들은 생명을 얻고

자신도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로 다른 사람을 살린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 네가 행복할 때 나도 행복하다. (구원의 보편적 의미) 네가 행복할 때 나도 행복하다. (구원의 보편적 의미)   누구나 슬픔과 고난의 짐을 홀로 질 수 없기에 내 몫의 작은 십자가를 지는 것은 누군가에게 어떻... 이마르첼리노M 2021.03.14 594
326 나만 좋은 땅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나만 좋은 땅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우리의 믿음은 올바름보다 올바른 관계가 더 중요하다. 도덕적 성취와 계명을 지키는 것이 올바름의 길이라면 믿... 이마르첼리노M 2021.03.18 514
325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믿음은 물질적인 세계 속에 살면서 물질적인 세계관에 집착하지 않는 가난이다. 가난이 주는 자유를 누려본 사람은 덧셈보다... 이마르첼리노M 2021.03.22 469
324 말씀의 통치에 맡겨진 삶 말씀의 통치에 맡겨진 삶   “너희가 내 말 안에 머무르면 참으로 나의 제자가 된다. 그러면 너희가 진리를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 이마르첼리노M 2021.03.26 487
323 들리느냐? 봄밤의 소리 들리느냐? 봄밤의 소리   아름다운 세상 눈물 나게 하는 이들아 탐욕과 거짓으로 공정을 헤치고 희생양을 만들어 죄를 뒤집어씌우는 이들아 밤새 헤칠 궁... 1 이마르첼리노M 2021.03.27 542
322 만찬의 신비 앞에서 만찬의 신비 앞에서   예수께서는 만찬에 앞서 새로운 계명을 주셨다.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사랑하라는 계명이다. 그분께서는 그 계명을 관계의 혁... 이마르첼리노M 2021.03.30 528
321 예수를 팔아넘긴 유다 예수를 팔아넘긴 유다   타인의 자유와 권리를 이용하여 자기의 뱃속을 챙기는 유다는 누구일까?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하는 사람 자신을 ... 이마르첼리노M 2021.03.31 562
320 낮은 곳으로 흐르는 자비의 강 낮은 곳으로 흐르는 자비의 강   삼위일체 샘에서 흐르기 시작한 자비의 물줄기 창조하시는 말씀 하느님의 자비가 흘러든 땅 땅에 핀 하늘의 꽃 사람이 ... 이마르첼리노M 2021.04.01 498
319 성금요일의 묵상 성금요일의 묵상   십자가의 예수님께서 보여주신 사랑   용서하는 사랑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 이마르첼리노M 2021.04.02 575
318 부활의 증인 부활의 증인   부활은 삼위일체 하느님과의 연결된 상태다. 하느님을 통해서 모든 피조물과 삼라만상이 살아 움직인다. 나는 하느님 안에서는 죽음이 없다... 이마르첼리노M 2021.04.03 801
317 하동 악양에서 대자연 부활 찬미가 예수님 수난죽음 십자가신비 십자가 죽음으로 구원된우리 예수님 부활로써 얻게된생명 그생명 하느님과 함께한행복   악양의 라베르나 은둔소... 일어나는불꽃 2021.04.03 624
316 막달라 마리아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서 변화된 첫 여성사도) 막달라 마리아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서 변화된 첫 여성사도   “여러분이 십자가에 못 박은 예수를 주님과 메시아(그리스도)로 삼으셨습니다.”(사도 2,3... 이마르첼리노M 2021.04.06 387
315 동반과 부축의 여정-엠마오로 가는 제자들을 동반하신 것 같이 (공유하는 선) 동반과 부축의 여정.(공유하는 선)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을 동반하신 것 같이    하느님의 정의와 사랑은 처벌이나 보복을 통해서 그 목적을 달성하지 않... 이마르첼리노M 2021.04.08 382
314 꽃들의 사연을 들어보니 꽃들의 사연을 들어보니   연초록 바다에 핀 산벚꽃 라일락 향기를 하얀 수건에 싸서 너에게 보낸다.   초원에 앉아 눈을 떠 보니 철쭉들의 얼굴엔 ... 이마르첼리노M 2021.04.09 365
313 꽃을 찾는 벌들의 마음 꽃을 찾는 벌들의 마음   꽃피는 4월이다. 꽃을 찾는 벌들의 마음 꽃이 있는 곳엔 벌들이 있다.   구름이 해를 가려도 안개가 해를 가려도 한겨울 ... 이마르첼리노M 2021.04.12 338
Board Pagination ‹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