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4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힘의 원천을 성찰하기

 

나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 믿음의 근본을 이루는 힘의 원천을 성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삼위일체 하느님으로부터 시작된 신적인 에너지가 내 의식과 무의식의 영역을 감싸고 있음을 매일매일 확인하면서 원천으로부터 오는 그 힘의 영역을 받아들이고 신뢰하는 가운데 선택하고 결단하려는 것이다. 하느님의 자비와 선의 축제에 참여하는 기쁨을 내 작은 몸짓으로 표현하면서 전적으로 내가 그 안에 받아들여진 존재라는 사실을 다른 피조물들과 함께 공유하려는 것이다. 일상의 관계들을 평화롭게 허용하면서 살고 싶은 갈망이 거기서 나오기 때문이다. 신적 현존 아래 머무는 피조물들과 더불어 공존의 지혜를 배우고 가난한 자각으로 창조 때 받은 순수를 되찾고자 하려는 것이다. 이것이 힘의 원천을 성찰하는 이유다. 그것이 아니라면 나는 내가 힘이라고 여기는 것들을 사용하여 신적 에너지를 가로막으려는 몸의 욕구들을 잠재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것 말고는 내가 어떻게 고요한 평화 안에 머물 수 있겠는가.

 

선과 자비와 거대한 생명의 흐름이 우주 안에 있음을 거룩한 도우미(성령)를 통해 느낄 수 있다. 인간의 탐욕이 만든 독점과 소유와 지배의 칼들이 관계를 난도질하고 생명을 위협하고 있어도 이 흐름을 막을 수는 없다. 인간을 다른 피조물들보다 우위에 두려는 자아도취의 우월감 속에서도 인간은 다른 피조물과 우월하거나 다르지 않다는 진리를 다른 피조물들을 통해 보고 깨닫게 하시기 때문이다. 성프란치스코가 발견한 형제성과 평등성과 동등성이 거기에 있다. 같은 근원에서 나왔기에 형제적이다. 이 형제적 평등성이 창조주의 순수를 발견하게 한다. 모든 관계를 존중하고 개별적으로 사랑하시는 아버지의 품에서는 모두가 평등하고 동등하기에 사랑하기 쉽다. 인간관계의 기본적인 원칙이 사람에 대한 존중심으로 시작해야 한다는 사실이 여기에 있다. 그러므로 인간은 훌륭한 선생님들인 피조물들을 통해 배워야 한다. 창조주의 선하심과 아름다움이 그 안에 있기 때문이며, 살아있는 모든 생명을 돌보시는 아버지의 자비가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우리 마음 안에 몰려왔다가 사라져가는 생각들을 관찰할 수 있는 조용한 장소가 거기에 있고 인간은 피조물과 더불어 그 안에서 숨 쉬고 살아가며 쉬는 법을 거기에서 배운다. 이렇게 쉬는 상태를 하느님 나라의 행복이라고 하고 해도 괜찮을 것 같다.

 

자기 내면의 영역을 지키고 보호하는 장소인 이 쉼의 장소에서 하느님이 나를 만나러 오고 나는 하느님의 현존을 느끼고 하느님 현존 안에서 누리는 자유를 선물로 받는다. 성령께서 내 안에서 나와 더불어 행하고 사랑하는 일을 하신다. 하느님의 현존을 느끼고 현존과 더불어 어느 것에도 묶이지 않는 자유를 누리는 것이다. 기쁨이 넘치는 벅찬 감동들이 나에게 몰입된 나,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나를 몰아낸다. 귀찮은 일들이 더 이상 귀찮은 일이 아니라 기분 좋게 하는 일이 되고 좋아서 하는 일, 하고 나면 더 좋은 일과 기뻐서 하는 일, 하고 나면 더 기쁜 일들이 복음이 된다. 너무나 적은 사람들만이 이 기쁨을 아는 것 같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2 13. 유머가 부드럽게 만드는 자리를 환영하기 13. 유머가 부드럽게 만드는 자리를 환영하기 페넬로페 롤란드스가 편집한 작품 ‘Paris Was Ours’에서, 기고자들은 외국에서 온 작가들이 프랑스에 살 때 만나는 ... 김상욱요셉 2023.10.23 222
1421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사랑을 맛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은 신학교가 아니라 관계입니다. 하느님과 나 사이에, 너와 나 사이에, 창조된 모든 피조물과 나 ... 이마르첼리노M 2023.09.19 223
1420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만들자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만들자   기대감을 포기하면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기대감은 자신이 했던 어떤 행위에 대한 보상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크든 작든 ... 이마르첼리노M 2023.06.25 224
1419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한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은 성프란치스코를 완전히 사로잡은 하느님의 매력이었습니다. 겸손은 ... 이마르첼리노M 2024.02.26 227
1418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우리는 주일과 대축일에 사도신경이라는 신앙고백을 합니다. 신앙고백은 12가지의 믿... 이마르첼리노M 2024.02.11 228
1417 선의 흐름 속에 있는 사람들은 그저 존재함으로써 치유합니다. 선의 흐름 속에 있는 사람들은 그저 존재함으로써 치유합니다.   위대한 사랑은 인간의 자유가 사랑을 위해 쓰일 때 가장 위대합니다. 위대한 고통은 벗을 위해 ... 이마르첼리노M 2023.06.06 229
1416 7. 영적 치매를 주의하라. 7. 영적 치매를 주의하라 겸손과 같이 일상에서 만나기 쉽지 않은 또 다른 덕은 감사함이다. 감사의 필요함은 신약의 나병환자 열 명 비유 말씀에 강하게 나타난... 김상욱요셉 2023.08.28 229
1415 3. 밖을 또한 바라보기 3. 밖을 또한 바라보기 우리는 내적 양성의 중요한 목표를 때때로 간과하는데, 그것은 다른 이에게 더 풍요롭고 자유로운 방식으로 열리는 것이다. 우리가 이것을... 김상욱요셉 2023.08.01 231
1414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서 사는 것입니다. (무죄한 아기들의 순교 축일에)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서 사는 것입니다. (무죄한 아기들의 순교 축일에)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 살겠다고 선언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23.12.28 231
1413 6. 숙고하는 영을 성장시키 6. 숙고하는 영을 성장시키기 무엇이 진실로 좋은 것인지를 가려내는 영적식별은 때때로 꽤 쉽다. 상황은 옳은 것을 제시하고 당신은 즉각적으로 무엇을 해야하는... 김상욱요셉 2023.08.19 233
1412 얼굴 얼굴   풍랑이 이는 바다 감출 수 없는 진실   우상 앞에 놓인 제물 단절과 부재의 땅   허물어진 성전 회칠한 무덤 가짜들의 천국 진짜들의 지옥   청옥 빛 눈망... 이마르첼리노M 2023.09.18 236
1411 꽃피는 계절에 꽃피는 계절에   꽃피는 계절에 향기로 다가와 볼을 비비는 이여!   벌들에게 꿀을 내어주면서도 순수한 꽃으로 남아계신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생명이 만... 이마르첼리노M 2023.03.20 238
1410 기쁨은 관계를 비추는 빛입니다. 기쁨은 관계를 비추는 빛입니다.   아버지의 이름을 빛나게 해드리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내 이름을 빛나게 하는 일들을 멈춰야 합니다. 내 이름을 빛나게 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24.04.25 238
1409 내어주는 만큼 배우는 진리 내어주는 만큼 배우는 진리   삼위일체 하느님은 신적 생명에 참여하도록 우리를 매력으로 끌어들였다. 선과 자비라는 매력에 이끌린 사람은 관계 속에 선을 행... 이마르첼리노M 2022.12.09 239
1408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창조된 모든 피조물은 육화된 하느님 현존의 실재다. 우리가 경험하는 하느님은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최상의 아름다운 분이시라는 ... 이마르첼리노M 2023.01.28 23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