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하느님 안에 머물러 있음을 즐겨라.

 

 

살아있는 동안 하느님 안에서 즐길 줄 모르는 사람은 오래지 않아 전혀 즐길 줄 모르는 사람이 되어갑니다. 향락은 세속적 즐거움이지만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즐거움은 주님의 영 안에서의 기쁨입니다. 주님의 영 안에서의 기쁨은 내어주는 기쁨입니다. 곧 삼위일체 하느님의 위격적 관계에서 내어줌의 영감을 얻어 우리의 관계 속에서 이를 행하는 데서 누리는 기쁨이라는 말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탐욕은 한 가지만으로는 만족할 줄 모르며 과도한 이기심과 탐욕으로 독점과 소유의 영역을 자꾸만 넓히려고 합니다. 모든 즐거움을 전부 누리려는 사람은 어떠한 즐거움도 누릴 수 없습니다. 즐긴다는 것은 절제와 조화에서 나오는 삶의 부산물이며 즐기는 일은 포기하는 능력을 전제로 하는 가난한 마음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헛되고 헛되다. 세상만사 헛되다.”(전도1,2)라고 전도서 저자는 말합니다. 그러나 수고한 보람으로 얻게 되는 것은 하느님의 선물이며 우리는 그 안에서 삶을 즐기면서 살 수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결국 좋은 것은 살아있는 동안 잘 살며 즐기는 것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사람은 모름지기 수고한 보람으로 먹고 마시며 즐겁게 지낼 일이다. 이것이 바로 하느님의 선물이다.” (전도 3,12-13)

 

작은 것으로 만족할 줄 모르는 사람은 무엇으로도 만족할 수 없습니다. “일용할 양식을 주시기를 기도하는 것은, 그날그날 주시는 것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삶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먹던 만나가 이를 상징적으로 드러내 줍니다. ‘만나는 욕심을 부리는 사람들에게 자신에게 꼭 필요한 만큼만, 찾고 그것으로 만족하라는 일종의 경고였습니다. 과도한 욕구와 채워지지 않는 욕구는 하느님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선의 흐름을 막아버림으로써 갈등이 빚은 관계의 단절로 인하여 삶을 황폐하게 만듭니다. “지옥은 그렇게 단절의 고통 속에 있는 것입니다.

 

희망은 기쁘고 즐거운 일이 앞에 있을 때 커집니다. 선은 그 자체로 즐거움입니다. 선을 행하기 전에 마음으로 준비할 때부터, 기다리는 동안, 진행되는 동안에도, 그리고 행하고 나서도 이어지는 기쁨입니다.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이 흘러가는 관계에서 하느님 나라의 행복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떨어져 살던 사랑하는 자녀들이 집에 온다는 소식을 들으면 엄마의 마음이 설레기 시작합니다. 자녀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만들기 위해 마트에서 재료를 고를 때부터 깨끗하게 손질하고 정성을 다 쏟아 요리에 전념합니다. 자녀들이 식탁에 앉아 기분 좋게 먹는 모습을 보는 것이, 얼마나 큰 기쁨인지 엄마는 압니다. 그리고 그 일이 하나도 부담스럽거나 귀찮은 일이 아닙니다. 내어주는 기쁨은 배워야 합니다. 받기만 좋아하는 사람은 내어주는 기쁨이 얼마나 큰 기쁨인지 모릅니다. 하느님 나라는 자신을 내어주는 기쁨의 잔치이며 관계에서 경험합니다. 하느님 안에서 즐기는 즐거움은 거기서 나옵니다.

 

하느님 나라는 행복의 총체적 개념이자 우리의 목표입니다. 그러나 하느님 나라가 우리의 구체적 삶과 무관하고 이 세상에는 없고 저세상에만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하느님 나라는 과정이며 결과입니다. 그 목표를 향해 걸어가는 것, 자체가 이미 하느님 나라의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너와 피조물을 통해 나에게 전달되는 하느님의 선의 흐름 속에서 나는 이미 그 나라를 즐기고 있는 것입니다. 하느님 안에 내가 머물고 내가 하느님 안에 머무는 이러한 선의 흐름 속에 머물러 있음이 하느님 나라의 현재로 경험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바깥에서 불어오는 폭풍과 흐린 날씨에 가려져도 여전히 그 나라는 남아있으며 아무도 나에게서 빼앗을 수 없는 기쁨으로 남아있습니다.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사랑해 왔다. 그러니 너희는 언제나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 내가 내 아버지의 계명을 지켜 그 사랑 안에 머물러 있듯이 너희도 내 계명을 지키면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게 될 것이다. 내가 이 말을 한 것은 내 기쁨을 같이 나누어 너희 마음에 기쁨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 이것이 나의 계명이다. 요한 (15,9-12)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8 온유하고 겸손하신 하느님의 여성성 온유하고 겸손하신 하느님의 여성성   너무나 많은 이들이 교회를 다니는 이유가 하느님의 사랑을 배우고 진리를 따라 살기보다는 사교클럽 삼아 다니거나 인간 ... 이마르첼리노M 2024.03.21 487
1477 사랑하는 아들을 먼저 보낸 슬픈 母情 사랑하는 아들을 먼저 보낸  슬픈 母情   1. 속마음을 비추는 벌거벗은 촛불 앞에 미사가 끝난 후 텅 빈 성당의 쓸쓸한 제대 같은 모습처럼 혼자의 고독과 여럿... 이마르첼리노M 2024.03.19 509
1476 생명의 물이 흘러가는 강가에 서서 (에제키엘 47,1-9) 생명의 물이 흘러가는 강가에 서서 (에제키엘 47,1-9)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자비와 선으로 표현된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입니다. 그 사랑은 성전 ... 이마르첼리노M 2024.03.12 574
1475 생명의 노래 생명의 노래   준 것은 잊고  다만 받은 기쁨을 되새기며 노래하자,   이별은 잊고 언젠가 그 날의 만남, 청신한 환희를 돌아보며 노래하자,   가장 훌륭한 애정... 이마르첼리노M 2024.03.08 249
1474 예수님, 저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예수님, 저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나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당신은 자신이 십자가에 달리는 한이 있어도 남을 십자가에 매달기를 거부하셨습니다. 나... 이마르첼리노M 2024.03.05 300
1473 다섯째 날: 수줍어하는 수사슴을 보기 다섯째 날: 수줍어하는 수사슴을 보기 겸손은 영성적으로 그리고 심리적으로 한 마리의 수줍어하는 수사슴과 같다. 당신이 자신의 선물들을 과대 혹은 과소평가하... 김상욱요셉 2024.03.05 618
1472 몸값에 대한 이해 1. 프랑스 출신 피에르 신부님의 해석 몸값에 대한 이해 1. 프랑스 출신 피에르 신부님의 해석   “사람의 아들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 이마르첼리노M 2024.03.02 320
1471 몸값에 대한 이해 2. (서공석 신부님) 몸값에 대한 이해 2. 서공석 신부님의 해석   “사람의 아들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치러 왔다.” ... 이마르첼리노M 2024.02.28 623
1470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한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은 성프란치스코를 완전히 사로잡은 하느님의 매력이었습니다. 겸손은 ... 이마르첼리노M 2024.02.26 533
1469 힘없는 힘의 표징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 힘없는 힘의 표징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     도덕적 게임은 끝났다. 누가 잘 지켰고 누가 많이 바쳤느냐? 누가 의롭고 누가 불의하냐? 누가 거룩하고 누가... 이마르첼리노M 2024.02.24 373
1468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의 활력은 사랑입니다. 인간이 개인적인 노력에 따라 구원받는다는 영지주의와 근본주의자들은 이원론으로부터 영... 이마르첼리노M 2024.02.21 406
1467 기도와 단식과 자선에 대한 새로운 이해 기도와 단식과 자선에 대한 새로운 이해   “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마르 1,15)     교회 전통 안에서 회개는 기도와 단식과 ... 이마르첼리노M 2024.02.19 570
1466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당신이 삶의 일상적 선물들을 음미하는 작은 방법들로 어떤 것이 있는가? 당신이 이 질문을 숙고할 때, 가족, 친구, 동료들 그리고 삶의 ... 김상욱요셉 2024.02.16 217
1465 기도는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창조의 행위입니다. 기도는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창조의 행위입니다.   하느님의 현존은 특정한 장소나 때에만 계시는 분이 아닙니다. 우리의 노력으로 하느님을 모실 수 있는 게 ... 이마르첼리노M 2024.02.16 772
1464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 하기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pruning) 하기 어떤 환경 하에서 당신의 선물들이 부담이 되어버렸는가요? 다른 사람들의 반대들 때문이 아니라, 당신 자신의 ... 김상욱요셉 2024.02.12 564
Board Pagination ‹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08 Next ›
/ 10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