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내가 믿는 하느님 상()이 나의 삶을 바꿉니다.

 

요한 사도는 하느님께서 사랑이시라고 말합니다. 믿음의 출발이 사랑의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음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결국 우리가 믿는 하느님은 인과응보의 계산기가 작동하는 하느님을 믿는 것입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의 상()에서 배우지 않으면 내어주시는 사랑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상호 간에 내어주는 사랑의 신비를 모르면 하느님의 이미지는 홀로 존재하는 단순한 신의 이미지로만 인식됩니다. 그러나 사랑은 홀로 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 결국 하느님은 사랑이 아닌 절대권력을 가진 전능한 힘으로 사람의 죄를 심판하시는 무섭고 두려운 하느님으로 남게 됩니다. 인과응보로 철저하게 살아온 이들이 겪는 신앙의 위기는 참으로 처절합니다. 오로지 자기 능력에 따라 보상받고자 하느님을 이용할 뿐입니다. 그러므로 내가 믿는 하느님 상()이 나의 삶을 바꿉니다.

 

벌주시는 하느님의 이미지에 물든 우리는 죄의 경중에 따라 상과 벌을 주는 심판하시는 하느님, 자신의 죄상을 낱낱이 파헤쳐 빈틈없는 정의를 요구하시는 하느님, 이러한 하느님을 믿는다면 그 하느님의 마음에 들기 위하여 행동의 동기들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오로지 벌 받지 않기 위해서 살든지, 상을 받기 위해서만 살게 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알려주신 하느님 은 인과응보의 논리로 사람이 만든 하느님과 반대되는 하느님이 아니었습니다. 온갖 왜곡되고 제한된 하느님에 대한 개념들을 뚫고 내어주고 용서하는 사랑이 전부였습니다. 그분은 나는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우라고 초대하셨습니다.

 

사랑은 가난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견디고, 기다리고, 용서하고, 허용하고, 놓아주는 영의 활동입니다. 전적으로 한 방향인 너에게로 흐르는 생명입니다. 측은한 마음과 너그러운 마음으로 관계를 돌보는 마음이며 거기서 발견된 영의 활동을 관상하는 신비로써 이미 누리고 있는 하느님 나라의 현재입니다. 우리가 내보이는 태도로 증명된 믿음의 실체입니다.

 

성숙하고 신비롭고 통합된 영성의 수준에 이르려면 지금까지 내가 믿었던 하느님을 청산해야 합니다. 왜곡되고 부당하고 독이 담겨있기까지 한 하느님 상을 허물어야 합니다. 착한 사람 상주고 악한 사람 벌주기 위해 명단을 작성하고, 지난날 나의 죄상을 기록하여 죄의 목록을 펼쳐놓고 옥좌에 앉아 심판하거나 네가 나를 사랑하지 않으면 가만두지 않겠다는 식의 하느님이 아닙니다. 아직도 그런 신에게 기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솔직하게 시인해야 합니다. 그런 이미지들은 어떠한 영성에도 바탕이 되지 않을뿐더러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습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관계를 관통하는 흐름 속에서 일하시는 분입니다. 높은 보좌에 앉아있는 노인이 아니라 관계 그 자체 이십니다. 마치 우리가 아직 멀리 있는데 달려와 끌어안고 입을 맞추는 (루가15,20) 부모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하느님의 이미지가 개인적으로 경험되기 전까지는 인과응보가 만든 하느님의 이미지 안에서 살다가 죽고 말 것입니다.

 

심판은 하느님이 하시는 일이 아니라 우리가 경험하는 실재라 할 수 있습니다. 압도적인 사랑의 거울 앞에서 자기 스스로 느끼는 충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도 베드로가 밤새워 노력했지만 한 마리도 잡지 못했을 때 예수님의 말씀에 따라 그물을 쳤더니 상상할 수 없는 물고기가 잡혔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때 베드로는 이렇게 말합니다. “저는 죄인입니다. 저에게서 떠나가 주십시오이렇듯 거대하고 압도적인 사랑 앞에 섰을 때 느끼는 초라한 자기모습입니다. 너무나 놀라운 사실이 나에게 이루어집니다. 마침내 벌거벗은 나의 실상이 드러나서 더는 아무 말도 할 수 없게 됩니다.

 

거룩하신 주님의 영과 그 영의 활동 앞에서 우리는 언제나 먼저 일하시는 하느님을 만납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신앙은 먼저 다가오시는 하느님의 사랑에 사랑으로 응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이 믿음의 삶을 시작하는 이들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태도입니다. 받은 사랑에 응답하는 태도가 우리 믿음의 현주소입니다. 우리들이 관계 안에서 보여주는 태도만큼만 믿음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올바른 신앙은 인과응보의 논리로 만든 하느님을 버리고 삼위일체 하느님께서 내어주시는 사랑을 배워야 합니다. 우리 믿음을 일깨워 주시는 분은 예수그리스도이시며 언제나 먼저 시작하시는 분은 육화된 말씀으로 우리와 함께 계신 하느님이십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7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 해서라도…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 해서라도…   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은 인과 응보적 틀에 묶여 사는 나의 사고와 가치를 드러냅니다. 그런 시각으로... 이마르첼리노M 2023.11.11 294
1376 서로 다른 믿음 서로 다른 믿음   1.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졌다는” (로마5,5) 사실을 깨닫지 못하면 누군가를 사랑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통제의 대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20.01.12 296
1375 의존의 진리는 연결 의존의 진리는 연결 창조주의 사랑에 의존했던 내가 의존에서 벗어나려 반항하다가 자만이 저지른 단절의 죄,   하느님으로부터 소외되고 너로부터 소... 1 이마르첼리노M 2022.01.08 296
1374 연약함과 무력감을 힘으로 만들기 연약함과 무력감을 힘으로 만들기   어둠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어둠을 받아들이기보다 이를 감추려고 다른 사람을 탓한다. 그러므로 어둠과 사랑에 빠지... 이마르첼리노M 2019.12.31 297
1373 여기에 초막 셋을 지을까요? 여기에 초막 셋을 지을까요?   삼위일체 생명을 알고 경험하도록 울타리를 개방하시는 하느님 용서가 자리 잡은 땅에서 내어주는 몸과 쏟아내는 피로 자라나는 생... 이마르첼리노M 2022.12.05 297
1372 수난의 사랑이 무엇인가요? 수난의 사랑이 무엇인가요?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기로 선택했을 때 견딤과 피 흘림을 동시에 경험합니다. 다만 사랑으로 하는 일에는 멍에가 가볍고 짐이 좀... 이마르첼리노M 2023.07.25 300
1371 더 좋은 것을 너에게 내어주는 마음 더 좋은 것을 너에게 내어주는 마음   외적인 자기에 집착하는 것을 포기하는 것은 내 뜻대로 하고 싶은 것을 포기하는 것이며 하느님의 손에 맡겨드린 나의... 2 이마르첼리노M 2022.02.15 301
1370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나의 업적과 공로가 아니라 주님의 선하심과 자비에서 옵니다.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내가 모르고 살아온 하... 이마르첼리노M 2020.01.14 302
1369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춰라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춰라   믿음은 옳거나 우월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도덕적 경주가 아니다. 잘 보이려고 포장하거나 드러나는 것보다 눈에 띄지 않는 것에 ... 2 이마르첼리노M 2022.02.24 303
1368 변모 변모   실패와 죄와 절망을 통하여 하느님과 나를 아는 깨달음 추락 후에 얻는 깨어남 육화의 도구로 은총 안에 깨어있음   깨달음이 주는 변화 깨어남이 주는 ... 1 이마르첼리노M 2022.08.06 303
1367 10. 당신 마음의 렌즈를 재조정하기 10. 당신 마음의 렌즈를 재조정하기 우리는 사실과 가상을 섞어 인식한다. 개인의 양성이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진실이 아닌 것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부드... 김상욱요셉 2023.09.28 303
1366 어둠 속에 있는 이들과 함께 드리는 새해의 기도 어둠 속에 있는 이들과 함께 드리는 새해의 기도  주여, 나와 함께 하소서   나로 넘치고 나에게 갇혀 부르짖으오니 주여, 나와 함께 하소서   ... 1 이마르첼리노M 2022.01.02 304
1365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2) (1)에서 이어짐 내려가는 길은 아름다운 길이다. 통제와 지배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오르려고만 했던 과정에서 피 흘리는 싸움으로 생명의 에너지를 허... 이마르첼리노M 2021.10.14 305
1364 십자가의 역설을 삶의 계시로 받아들이는 믿음 십자가의 역설을 삶의 계시로 받아들이는 믿음   “옳은 일을 하다가 박해를 받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나 때문에 모욕을 당하고 ... 이마르첼리노M 2021.10.15 306
1363 하느님 안에 머물러 있음을 즐겨라. 하느님 안에 머물러 있음을 즐겨라.     살아있는 동안 하느님 안에서 즐길 줄 모르는 사람은 오래지 않아 전혀 즐길 줄 모르는 사람이 되어갑니다. 향락은 세... 이마르첼리노M 2023.05.10 306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