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7.03.06 11:50

산(山) 아이

조회 수 11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온 누리에 평화가...


  꼭 11년 전에 보름 정도 막내 숙부 내외의 초청으로 미국, '롱 아일랜드'(뉴욕 바로 옆)라는 곳에 체류한 적이 있었다.

  우리나라처럼 반도의 지형이지만, 크기는 한국의 1/5 정도 될까...그런데 삼면이 바다이고 산(山)이 전혀 없이 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는 평지일 뿐이어서 체류하고 있는 동안 얼마나 답답함을 느꼈던지!  산이 없이 조금만 멀리 나가도 바닷가라  혹자는 오히려 시원한 평원이라 여기겠지만, 나는 오히려 먹먹함이 엄습하여 무척 힘들었다.  그때서야  내가 자라고 익숙한 한국이란 나라가 크지는 않지만 아기자기한 산(山)의 나라였다는 것을 절감했으니까...


  내 어린시절의 사진중에 맥시코 여인 모습같은 엄마가 간난 아기인 바로 밑의 사촌 동생을 안고 계시고, 나는 초교 1년 때쯤이리라, 30Cm 정도 크기의 실제같은 원숭이 인형을 안고 있다.  그 사진을 보면 회심의 미소를 지으면서도 고생이 많으셨던 엄마가 몹씨 그리워진다.  엄마가 맥시코 여인같았음은, 그 당시 전국적으로 땔감이 너무나 부족했던 탓으로 여인의 몸이면서도 할아버지와 큰삼촌을 따라 멀리 관악산까지 나무를 하러다니신 억척이셨음에랴.  그 시절엔 6.25 전쟁 이후라 너나할 것 없이 그렇듯 고생스러웠고, 그렇게 부지런하지 않음 대가족이 잘 꾸려질 수가 없었다.  덕분에 우리 가족은 보릿고개란 어려움이 없었고 아주 넉넉지는 않았지만 늘 차르르 흐르는 흰쌀밥에 반찬 걱정을 해 본 적이 없었다.                  

  어쨌든 엄마가 안고계셨던 간난 애기, 사촌 동생은 가끔 소식을 주고 받고 있어, 역시 오래 전에 뉴욕으로 이민을 가 지내고 있지만, 완전 백발이 된 할아버지의 모습이어서 참으로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게 된다.  늘 애지중지 잘 간직했던 그 실제 모습의 원숭이 인형은 그 사촌 녀석이 험하게 이어받은 어린시절로 거덜이 났지만...


  참, 산(山) 이야기를 하려다 엇길로 빠져- 산은 어린시절부터 할머니 할아버지 그리고 내 엄마와 같은 그리움이요 고요함이다. 

  그 당시 집 대문만 나서면 아래로 내려다 보이는 동리와 아랫 마을...그리고 논밭이 펼쳐져있고, 뒤로는 묵묵히 나즈막한 산과 나무들이 있어 친근감 있는 말없는 친구와 같았다.  그 모든 것들이 조용했지만 실상 내 감성에 말없이 자리한 소리들이 아니었을까?  먼저 살던 '능말' 가까운 골짜기 아래엔 물동이를 이러 가신 할머니의 샘터가 있어, 세상의 사물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 어린 내게는 신기함 자체여고, 입술과 가슴에 와 닿는 샘물의 짜릿함이란!  골짜기에서 불어오는 바람 소리에 민감한 채 연신 할머니를 채근하며 의문나는 사물에 대하여 묻곤 하였으니까.  또 참으로 예쁜 산새 소리, 가을을 알리는 뀌뚤이 소리는 어떠했는고!  "할머니, 저게 귀뚜라미야?  또 요건 메뚜기야요?  연신 물어대는 어린 손자의 질문에 귀찮으셨을 테지만, 한번도 언짢은 내색을 하지 않으신 우리 할머니!


  그렇다.  이제사 알고보니, 지금 내가 보고있는 책 한 페이지도 어린시절의 나비나 벌, 풀벌레와 무관하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책이란 나무로 만들어졌고 그 나무는 천상천하 유아독존 저절로 자란 것이 아니라 공기와 구름, 비, 여러 곤충들...등 온갖 자연 친구들과의 교감과 은혜로 자랐을 테니, 얼마나 소중한 한 권의 책인가! 

   그렇게 보고 느끼고 자란 산과 나무들...그래서 모든 사물들과 나와 무관하지 않은 아주 가까운 친구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이 세상에 태어나 지금 이렇듯 잘 살아가고 있음에 하느님께 감사와 찬미드린다.


  이맘때 이른 봄이면 가장 먼저 필 노오란 생강나무를 보러 산엘 가야겠다.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쥴리아 할머니를 생각하며... T  할머니께 영원한 안식을...   '쥴리아 할머니' 하면 내 인생 여정에서 만난 각별한 분으로 기억된다.   흔히들 할머니를 '쥴리아 여사'라 칭했고, 3-4년 부터 ... 김맛세오 2017.12.08 1242
446 봄을 일깨우는 까치 소리 T 평화와 선   4층의 내 방은, 바로 정원이 내려다 보이는 위치에 있어 건너 빌딩 사이로나마 떠오르는 태양을 볼 수가 있고 정원의 동태를 일거일동 자연스럽... 김맛세오 2017.02.08 1249
445 내 마음의 고향 T 온 누리에 평화.  사람은 누구나 한 두군데쯤 마음 속에 품어 둔 고향이 있어, 그 그리움은 그의 삶에 있어서 행복과 직결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그... 김맛세오 2017.11.20 1249
444 기도와 백인대장의 신심 T 평화와 선   "예수님께서는 감탄하시며 당신을 따르는 이들에게, '내가 진실히 이르노니, 이스라엘의 그 뉘게서도 이런 믿음을 본 일이 없다.'"<마태 8,10> ... 김맛세오 2017.12.04 1252
443 오묘한 자연의 신비! (1) T 온 누리에 평화   얼핏 지나간 옛 일이 떠집니다. 천안 근교 깊은 산 속, 성거산 수도원에서 지냈을 때(2006∼2012년)의 일이죠.   어느 할아버지가 손뼘만... 김맛세오 2015.01.19 1256
442 노루귀와 크로커스 T 누리에 평화!   꽃샘추위에도 계절은 어김없이 찾아 와 봄이 짙어가고 있다. 아마도 저 아래 남쪽 제주도엔 유채꽃이 한창이겠고, 광양  매화마을이나 그쪽 ... 김맛세오 2015.03.17 1259
441 내 인생여정에서 만난 소중한 두 분, 작가(소설가) T 평화/자비   그제 참으로 귀한 책 한권을 받았습니다.   몇 년동안 소식이 적조했던 인천의 로사리아(옥경) 자매님이, '가거라! 내가 너를 보낸다'라는 제... 김맛세오 2017.01.10 1260
440 내 고향, 현충원엘 가면...! T 평화/자비   정동에서 현충원까지 지하철로 고작 30분 거리, 저는 틈만 나면 현충원으로 달려가 걷곤 합니다.   서울 시내의 교통망이 얼마나 편리하고 잘 ... 김맛세오 2017.01.02 1270
439 잊을 수 없는 어느 두 아이 T 온 누리에 평화.   내 기억으로 2019년도 성거산 수도원에서 지낼 적이었다.   성거읍 옆 동네인 입장읍에서 살고있던 두 형제가 있었으니, 가끔 엄마와 함... 김맛세오 2018.01.09 1274
438 천인공명(天人共鳴), 천인공노(天人共怒)! T 온 누리에 평화     태종 때의 일입니다.  정확히 1405년 5월...   때아닌 집중 홍우로 곳곳에서 물난리가 났습니다.  그 와중에 쌀을 가득싣고 강을 건너던... 김맛세오 2015.04.14 1281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