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52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이 글은 미국 뉴욕에 살고 있는 본인의 친구 장 스테파노 형제님이 본인에게 보낸 것인데, 서로 나눌 가치가 있다는 생각으로 이 형제의 허락을 받아 올린 것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글이 있으면 나누고 싶습니다.



며칠 전 프란치스코 교종께서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 반포 50주년을 맞아 회의에 참석한 주교와 사제들에게 하신 연설을 바티칸 방송국에서 보도한 내용입니다. 한국어 번역이 다소 매끄럽지는 않지만 내용이 사제들 뿐 아니라 수도자, 평신도 모두에게 해당되는 말씀이라 벗님들께 보내드립니다.

      

좋은 사제는 사람들을 사랑합니다. 사랑스러운 얼굴로 만나고, 결코 근엄한 표정을 짓지 않습니다

사제는 근엄한 "사목의 전문 직업인"이 아닙니다. 사제는 언제나 아버지요 형제로서 "백성" 곁에 있는 사람입니다. 무엇보다도 사제는 복음의 "기쁨의 사도"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 '온 교회의 열망'(Optatam totius)과 사제의 생활과 교역에 관한 교령, '사제품'(Presbyterorum ordinis) 반포 50주년을 맞아 성직자성에서 조직한 회의 참석자들의 알현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이 알현은 1119일 목요일에 교황궁 Sala Regia에서 이루어졌다.

     

"기쁜 소식"을 선포하는 순간부터 사제는 복음의 기쁨의 초상화가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람들에게서 거리를 두고 개인의 공간을 찾는 관리인의 태도, 조금은 거만한 태도, 인간적으로 풀리지 않은 문제를 안고 사는 사람처럼 거짓 슬픈 표정을 짓는 이는 하느님의 봉사자의 직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우연히 솟아나는 "버섯"이 아닙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당신이 좋아하는 주제로 돌아가 언제나 그랬듯이 말을 돌리지 않고 분명히 말했다. 이 소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제들은 "사람들 사이에 잡힌" 사람들, "사람들을 위해 세워진" 사람들 그리고 "다른 사람들 가운데에 존재하는"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사제는 사람들이 사는 환경에서 나온 사람입니다. 거기에서 첫째로 중요한 것들을 배우고, 백성의 영성을 습득하고, 관계의 삶에 길들여졌습니다. 사제들도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서품식 날에 주교좌 성당에서 갑작스럽게 솟아난 "버섯"이 아닙니다. 이것은 사제는 어느 누가 작업장에서 만들어지듯 그렇게 될 수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믿음의 전통과 가정의 모든 경험을 하며 가정에서 시작합니다".

     

평온한 사람, 신경이 쇠약한 사람처럼 불안해 하지 않는 사람

  

프란치스코 교황은 계속했다. "좋은 사제"는 무엇보다도 사목 성소의 근본적인 중심인 가정에서 출발하여 공동체라는 틀 안에서 나온 아들입니다. 그리고 사제는 "자기 고유의 인간성을 지닌" 사람입니다. 사제들이 "자기 한계에 굴복하지 않고 자기 재능이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을 배우는 것은 기본입니다". 스스로를 진정시키고 평온을 유지하는 사람인 사제는 주님과의 아름다운 관계를 전하며 피곤에 지칠 때에도 자기 주변에 평온을 전할 줄 알 것입니다. 사제가 자주 슬퍼하고 불안해 하는 것은 정상이 아닙니다. 딱딱한 성품을 가진 사제도 그렇습니다. 그것은 좋지 않습니다.사제에게도 백성에게도 좋지 않습니다. 부탁합니다. 신자들은 사제들의 신경증을 대속하지 않습니다. 신자들을 꾸짖지 말고, 그들에게 마음으로 가까이 가십시오"


물어 뜯는" 사제들

  

교황은 사제 성소가 생기고 자라고 강화되는 가정과 사회의 "뿌리들"에 대해서 강조했다. 교황은 위기에 놓여 있던 예수회의 젊은 사제 즉 자기 자신에 관한 오래 전의 한 일화를 소개했다. 그는 그만두고 싶어 했습니다. 그러나 그를 바른 길로 돌아오게 한 것은 그의 어머니의 "영적인 매"이었습니다. 그 어머니는 미래의 교황인 그에게 자기를 신뢰하는 것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사제는 자기 뿌리들을 잃어버릴 수 없습니다. 언제나 백성의 사람으로 남아" 봉사에 머뭅니다. "'백성, 거룩한 백성, 하느님의 백성을 위해 세워진' 존재라는 것을 알고 기억하는 것은 사제에게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하도록 도와 줍니다. 그가 억지로 권위를 내세우는 사람이 아니라 존경 받을 만한 권위를 지닌 사람이라는 것, 흔들림이 없으나 딱딱하지 않는 사람, 기뻐하지만 피상적이지 않은 사람, 한 마디로 목자요, 직업 관리인이 아니라는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저는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말씀드립니다. 저는 딱딱해질까봐 두렵습니다. 두렵습니다. 딱딱한 사제들에게 ... 멀리 가십시오! 그들이 당신을 물어 뜯습니다.! ... 주님과 함께 하지 않는 사제는 딱딱해집니다. 이런 사제는 하느님 백성에게 위험합니다".

     

사랑과 곁에 있음

     

사제는 자기 사명을 사는 데에 사목이나 복음화의 '전문 직업인'처럼 행동해서는 안 됩니다. 직장인처럼 일하다가 그것과 분리된 개별적인 삶을 살려고 떠나는 사람처럼 행동해서는 안 됩니다. 사람들 가운데에 있기 위해 사제들이 됩니다". 교황은 단언했다. 사제직의 근본 기준은 백성들 "곁에 있는 것"이라고. 여기에서 교황은 힘주어 말했다. 주교는 그의 교구 사제들에게 이 "곁에 있음"을 보여 주려고 부름을 받았다고.

주교들 가운데도 사제들에게서 멀리 떨어지려고 하는 주교들이 있습니다... 이것이 아버지의 사랑이고, 동료애입니까? 트리엔트 공의회의 상주 의무의 교령은 아직 유효합니다. 교구에 머물어야 한다고 스스로 느끼지 않으면 물러나십시오. 그리고 더 좋은 다른 사도직을 위해 세상을 돌아다니십시오. 당신이 그 교구의 주교라면 교구 안에 상주하십시오. 이 곁에 있음과 상주의 두 가지 의무를 지키십시오.

      

신학생들에게 눈길을 주라

     

프란치스코 교황은 고해성사를 줄 때에 크게 자비로운 태도를 가지라고 부탁했다. 사죄가 불가능할 때에는 최소한 축복하면서 자비로운 마음을 보이라고 했다. "신학생들의 양성에 눈을 뜨십시오". 교황은 여기에서 그가 수련소 선생을 할 때의 1972년도의 에피소드를 소개했다. 신학생들 몇 명을 데리고 인성검사를 하기 위해 정신과 의사에게 갔습니다. 그 여의사는 자기의 판단에 따라 어떤 신학생이 좋은 사제가 될 자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솔직하게 이야기했습니다. 의사가 말했습니다. 심리적으로 약한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안정된 제도" 안에서 안전을 찾으려 합니다. 그런 이들이 어떻게 성직자나 경찰, 군인이 될 수 있습니까?

      

"자비로운 애간장을"

     

"곁에 있음, 자비로운 애간장, 사랑스러운 눈길"은 사제가 사람들 사이에서 언제나 증명해 보여야 하는 세 가지 자질입니다.

     

사제는 개인적인 공간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사제는 언제나 주님과 함께 아니면 백성과 함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제 고향에서 좋은 모범을 보여 준 그런 사제들을 생각합니다. 그때는 녹음이 되는 전화기가 없을 때였습니다. 그들은 침대 옆 협탁 위에 전화기를 두고 잤습니다. 그리고 어느 때라도 사람들이 그들을 부르면 병자성사를 주기 위해 일어났습니다. 성사를 받지 못하고 죽는 이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쉴 때에도 개인적인 공간을 갖지 않았습니다. 이것이 사도의 열정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홈페이지 보물이미진 2015.12.12 22:58:58
    어느 신부님의 사랑의 카리스마로 살아계신 하느님의 따뜻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 지면을 통해 감사드립니다.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3 사랑은 보편적일 때 가장 아름답다. 사랑은 보편적일 때 가장 아름답다.   보편적 사랑을 배우다 보면 차별과 독점을 찾던 내가 부끄러워 얼굴을 들을 수가 없다. 하느님의 보편적 사랑에 눈... 이마르첼리노M 2021.11.29 353
822 사랑은 부활의 증인 사랑은 부활의 증인   용서받은 사랑이 남긴 타오르는 사랑의 열정 살아계신 주님을 사랑한 여인 극진한 사랑과 오롯한 헌신으로 예수님과 제자들과 동행... 이마르첼리노M 2020.07.22 518
821 사랑은 아픈 것 이마르첼리노M 2013.03.30 6846
820 사랑은 약함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힘 사랑은 약함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힘     인간의 강함은 자만심에서 나옵니다. 인간의 자만심은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으려는 자율적인 마음과 독립적이고 통제... 이마르첼리노M 2024.04.16 124
819 사랑은 자유와 죽음의 경계 안에서 피는 피의 꽃이다 사랑은 자유와 죽음의 경계 안에서 피는 피의 꽃이다.   하느님께서 나를 통하여 드러내시는 선, 육화의 체험을 조금이라도 맛본 사람은 뒤로 돌아갈 수가 ... 1 이마르첼리노M 2019.08.28 460
818 사랑의 묘약 (2007년 9월26) 사랑의 묘약     사랑 때문에 기도하고 사랑 때문에 시를 쓰는 마음   사랑은 내 존재의 근원에서 꽃피는 축제요 염원이요 참회라 할 수 있다.... 이마르첼리노M 2021.09.30 320
817 사랑의 뿌리에 대한 성찰 사랑의 뿌리에 대한 성찰   나는 언제부터인가 사랑의 뿌리와 원천과 동기에 대한 성찰을 해왔다.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이다.... 이마르첼리노M 2020.03.03 435
816 사랑의 사도 마리아 막달레나 사랑의 사도 마리아 막달레나   누군가로부터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과 누군가가 나를 좋아한다고 느끼는 것, 내가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과 내가 누... 이마르첼리노M 2021.07.22 399
815 사랑의 신비 사랑의 신비 나의 무게는 나의 사랑 무게가 늘수록 견디는 힘도 늘어나는 신비 고통과 더불어 찾아오는 허탈한 무기력 공감의 강물이 말라버리고 어디에도 마음... 이마르첼리노 2011.10.28 5592
814 사랑의 질량 사랑의 질량 농도야 말로 질량의 초점이다. 농도가 큰 善 농도가 큰 진실 함부로 말하기조차 못할 성질의 진하고 진한 농도 불의와 거짓과 왜곡을 견딘 힘의 원... 이마르첼리노M 2014.02.04 4874
813 사랑의 학교에서 동창생들에게 쓰는 편지 사랑의 학교에서 동창생들에게 쓰는 편지   열대야의 맹위가 잠들지 못하게 하는 밤 사랑의 학교에 다니는 동창생들인 너희들을 위하여 이미 새날이 된 ... 이마르첼리노M 2017.07.25 859
812 사랑의 힘 사랑의 힘   관계의 단절을 가져온 어둠 그 감옥에 있을 때 사랑을 거부하고 사랑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경험한다.   나는 너를 나에게 오지 못하게 ... 이마르첼리노M 2020.01.05 380
811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사랑이 머물다간 자리 새벽의 첫 시간 재단 위에 어둠을 밝히는 가장 외로운 촛불 하나 마지막까지 남아있을 빛으로 누구도 빼앗지 못할 진실로 불탑니다. 서로... 1 이마르첼리노M 2015.02.06 1261
810 사랑이라는 미명 아래 사랑이라는 미명 아래     “내가 원하는 것은 희생이 아니라 자비다”   열심 하지만 교만한 사람은 하느님과 협력하여 선을 이루기보다 사람과 ... 이마르첼리노M 2017.08.01 829
809 사랑하는 사람만이 소리내는 신령한 악기 되어...   사랑하는 사람만이 소리내는 신령한 악기 되어... 하루의 시간을 보내고 새로운 하루를 뜬눈으로 맞으면서 무위의 최면에 결려 내 잠시 다른 궁리에 눈감았을... 이마르첼리노M 2013.11.16 3798
Board Pagination ‹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