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43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2011년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발표회

올해로 제13차를 맞게 되는 2011년도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발표회는
“창조물의 신비”를 주제로 프란치스칸 생태 영성의 방향을 모색하면서
<프란치스칸 사상 연구소>와 <정의 평화 창조질서보존 특별 위원회>
가 공동으로 개최하게 됩니다. 환경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창조물의 생명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명도 크게 위협당하고 있어,
어떻게 이러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해야 하는지
학술 발표회를 통해 프란치스칸 관점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오늘날 적지 않은 사람들이 불치병이나 난치병 혹은 과도한 치유의
후유증, 또는 정신적 심리적인 고통과 질환 등으로 고생하고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부에서는 자연을 통한 치유를 시도하고 있고,
요즈음은 생태 치유 마을이나 생태 치유 센터도 건립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생태 영성이나 생태 치유는 우리들, 특히 프란치스칸들이
해야 할 새로운 과제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러한 현실적 미래적인 전망 안에서 신학과 철학의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자연 과학의 전문가들도 함께 모시고 프란치스칸 생태
영성을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많은 형제 자매님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구체적인 학술 발표회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제: 창조물의 신비 - 프란치스칸 생태 영성의 방향 모색

2. 일시 및 장소
1) 기간: 2011년 6월 21일(화) 09:00 ~ 6월 23일(목) 16:30
2) 장소: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3. 참가비
1) 교육회관에서 숙식하는 경우: 1인당 12만원 (2박3일 기준)
2) 학술발표회만 참석하는 경우: 1인당 7만원 (3일기준, 점심제공)

4. 참가 대상
1) 프란치스칸 가족 수도회
2) 그리스도 왕직 선교 재속회
3) 재속 프란치스코회
4) “창조물의 신비”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

5. 참가 신청
학술 발표회 준비를 위해 참가 인원을 미리 신청 받고자 합니다.
신청하는 공동체는 참가 인원 및 명단, 교육회관에서의 숙식 여부를
밝혀 주시고, 전화나 팩스 혹은 E-mail을 이용하여 프란치스칸 사상
연구소로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신청 마감 : 6월 10일(금)

⇒ 참가비를 송금하실 분은 다음 계좌로 보내주시고
반드시 신청자 확인을 하시기 바랍니다.

계좌번호: 외환은행 630-007147-099, (재)프란치스꼬회

6. 학술 발표회 중 기타 일정
학술 발표회 일정 안에는 미사와 시간 전례 계획이 없습니다.
교육회관에서 숙식하시는 형제 자매님들께서는 수도원에서
거행되는 미사 및 전례에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7.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관계로 냉방을 낮은 온도로 가동해야 하는데,
냉방 장치 문제로 배석 위치에 따라 추우실 수 있으니 긴팔 옷 정도를
준비해 오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8. 세미나 기간 중에는 플라스틱 컵을 사용합니다. 원하시는 분들은
개인 컵을 준비해 오셔서 사용해도 좋습니다.

9. 기타 문의
학술 발표회와 관련하여 문의 사항이 있거나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전 화 : 02) 6364-5640 (사상연구소, 관구 도서관 공용)
․팩 스 : 02) 6364-5514
․E-mail : ofmsasang@hotmail.com



주님과 사부님의 축복을 기원하며...

2011년 3월 21일

작은형제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칸 사상연구소 정의평화 창조질서보전 특별위원회
고계영 바오로 형제 김정훈 시몬 형제


▷ 2011년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발표회 일정 ◁

6월 21일 (화) 첫째날: 창조물의 신비를 위한 성서적, 신학적 기초

09:00-09:30 접수
09:30-10:15 제1강의(구약에서의 창조물의 신비: 이명기 수녀)
10:15-10:30 논평 (정장표 레오 형제)
10:30-10:45 휴식
10:45-11:30 제2강의(신약에서의 창조물의 신비: 박태식 신부)
11:30-11:45 논평 (고계영 바오로 형제)
11:45-12:00 질의 응답
12:00-13:30 점심식사
13:30-14:15 제3강의(교부들 안에서의 창조물 사상: 변종찬 신부)
14:15-14:30 논평 (고계영 바오로 형제)
14:30-15:15 제4강의(창조물에 관한 스코투스의 사상: 김현태 신부)
15:15-15:30 논평 (호명환 카롤로 형제)
15:30-15:45 휴식
15:45-16:30 제5강의(21세기의 생태 신학: 이재돈 신부)
16:30-16:45 논평 (임한욱 루피노 형제)
16:45-17:00 질의 응답

6월 22일 (수) 둘째날: 창조물의 신비를 위한 자연과학적 접근

09:30-10:15 제6강의(우주의 질서: 이정규 선생)
10:15-11:00 제7강의(자연 환경의 세계와 질서: 박대철 박사)
11:00-11:15 질의 응답
11:15-11:30 휴식
11:30-12:15 제8강의(자연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생명의 신비: 한징택 교수)
12:15-12:30 질의 응답
12:30-14:00 점심 식사
14:00-14:45 제9강의(산업 개발로 위협받는 생명의 질서: 김상덕 교수)
14:45-15:00 질의 응답
15:00-15:15 휴식
15:15-16:00 제10강의(인간의 생물학적 구조의 변화 및 치유 현상: 임창준 교수)
16:00-16:45 제11강의(생명의 신비를 통한 치유: 박문일 목사)
16:45-17:00 질의 응답

6월 23일 (목) 셋째날: 프란치스칸 생태 영성의 방향 모색

09:30-10:30 제12강의(프란치스코 전기 안에서의 창조물: 고계영 바오로 형제)
10:30-10:45 논평(김일득 모세 형제)
10:45-11:00 휴식
11:00-12:00 제13강의(창조물과 성 프란치스코 I: 이재성 보나벤투라 형제)
12:00-13:30 점심식사
13:30-14:30 제14강의(창조물과 성 프란치스코 II: 이재성 보나벤투라 형제)
14:30-14:45 논평(김태승 안티모 형제)
14:45-15:00 휴식
15:00-16:00 제15강의(21세기 프란치스칸 생태 영성의 과제: 김정훈 시몬 형제)
16:00-16:15 논평(우영성 안토니오 형제)
16:15-16:30 질의 응답

* 발표 순서에 따른 강사 소개

이명기 수녀님: 문학 박사(가톨릭 대학교, 구약 성서 신학 전공), 예수 성심회, 가톨릭 대학교 교수

박태식 신부님: 신학 박사(독일 괴팅엔 대학교, 신학 전공), 성공회 사제, 성공회대 교수

변종찬 신부님: 신학 박사(로마 아우구스티니아눔, 교부학 전공), 가톨릭 대학교 교수

김현태 신부님: 철학 박사(로마 안토니아눔, 근대 철학 전공), 인천 대건고 교장, 인천 가톨릭 대학 교수

이재돈 신부님: 신학 박사(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생태 신학 전공), 가톨릭 대학교 교수

이정규 선생님: 박사 과정 수료(시드니 뉴사우스 웨일즈 대학, 천체 물리학 전공), 현재 번역 및 ‘우주 이야기’ 전파에 주력

박대철 박사님: 화학 박사(프랑스 툴르즈 국립 고등 화학학교, 촉매 화학 전공), 신강하이텍 주식회사 대체에너지 사업팀

한징택 교수님: 생물학 박사(미국 럿저스 대학, 분자 유전학 및 미생물학 전공), 서강 대학교 교수

김상덕 교수님: 농학 박사(일본 나고야 대학교, 초지학 전공), 중부 대학교 교수

임창준 교수님: 치의학 박사(서울 대학교, 치의학 전공), 서초 이엔이 치과 원장, 서울대학교 겸임 교수

박문일 목사님: 신학 석사(연세 대학교, 상담학 전공), 대신 성결교회 담임목사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2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기쁨을 발생시키지 않는 율법은 자비로운 용서가 없기 때문이다. 용서는 과거로 돌아가 상처받기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19.10.19 413
461 용서의 다른 이름들 용서의 다른 이름들   믿는 이들만이 할 수 있는 새로운 창조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최상의 법 인간적 힘과 신적 힘의 놀라운 일치 결정적 죽음 이전의 ... 이마르첼리노M 2019.11.29 552
460 우렁각시의 전설이 지도공소에.. 우렁각시 우렁각시는 몰래 숨어서 남을 도와주는 사람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전래동화 우렁각시이야기에서 나온 말입니다. 그 이야기의 전문은 이러합니다. 아득... 3 이마르첼리노 2012.04.25 6599
459 우루과이의 한 작은 성당 벽에 적혀있는 글 - &quot;하늘에 계신&quot;하지 마라. 세상일에만 빠져 있으면서, &quot;우리&quot;라고 하지 마라. 너 혼자만 생각하며 살아가면서, &quot;아버지&quot;라고 하지 마라. 아들딸로 살지 않으면서, ... 이마르첼리노M 2013.03.27 7072
458 우리 안에 뿌려진 씨앗 우리 안에 뿌려진 씨앗 사람의 관계 속에서 발생되는 모든 어려움들은 하느님과의 관계를 더욱 깊어지게 하는 씨앗들입니다. 하느님의 자비와 선이 드러나게하는... 1 이마르첼리노 2010.12.29 4141
457 우리가 기도하는 것은? 우리가 기도하는 것은?   “구하면 받고, 찾으면 얻고, 두드리면 열릴 것이다.” (마태 7,7) “너희는 기도할 때 빈말을 되풀이하지 말라, 구하기도 전에 벌... 이마르첼리노M 2020.06.12 504
456 우리는 연인 우리는 연인   진선미의 하느님을 쩨쩨하고 분노하시며 고문하시는 분으로 생각하는 건 너의 생각이다 너의 현실을 하느님으로 바꾸지 말라   그... 이마르첼리노M 2017.08.06 788
455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 오신 하느님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 오신 하느님   삼위일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공동체의 신비는 기존의 인식체계를 완전히 바꾸는 재인식을 허용하는 신비입니다. 우리가 처... 이마르첼리노M 2023.07.23 317
454 우리를 끌어당기는 힘 우리를 끌어 당기는 힘   삼위일체 하느님께서는 자신을 내어주시는 사랑에 기뻐서 어쩔 줄 몰라 행복해하는 이와 더불어 기뻐하십니다. 인간이 드리는 최상의 흠... 이마르첼리노M 2023.08.04 239
453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만들자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만들자   기대감을 포기하면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기대감은 자신이 했던 어떤 행위에 대한 보상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크든 작든 ... 이마르첼리노M 2023.06.25 224
452 우리집 동백은....? 아파트 복도 끝에   동백 나무  한구루가     앙상한 두가지에 몇잎의 잎사귀로  혹한의  겨울을  견디어 냈다   수소문 끝에  주인을  찾아가서  내가 기르... knitting 2013.04.10 6583
451 우월감과 신뢰 우월감과 신뢰   우월해지려는 갈망은 자신이 만들어 놓은 틀로 다른 사람들을 조정하려고하기 때문에 더 강렬해 집니다. 자기네 뱃속을 하느님으로 착각... 이마르첼리노M 2017.10.04 996
450 우월감의 필요성이 사라진 땅에 피는 자유의 꽃 우월감의 필요성이 사라진 땅에 피는 자유의 꽃   나는 내가 선하지 않다는 사실을 고백하고 선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혹시라도 나에게서 선한 ... 1 이마르첼리노M 2022.01.21 350
449 우정과 배움의 공동체, 평화나눔아카데미 11기에 초대합니다. 11기 평화나눔 아카데미 강좌소개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 나눔문화 포럼실 ※ 위 일정은 강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www.nanum.com에서 자세한 강... 나눔문화 2008.09.18 5574
448 우정이 만드는 행복 우정이 만드는 행복     억새들의 숲 속에 둥지를 튼 새처럼 말의 숲 속에 진실을 숨기는 사람, 말을 겁내지 않고 말의 진실을 다하지 못하는 말의 ... 이마르첼리노M 2016.06.19 1007
Board Pagination ‹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