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13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담화] 2010년 그리스도인 일치기도 주간 담화문


2010년 그리스도인 일치기도 주간 담화문
(1월 18일~25일)


“너희는 이 일의 증인이다”(루카 24,48)



친애하는 교형 자매 여러분,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1월이면 교회는 오랜 전통에 따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축일 전 한 주간을 모든 그리스도인 일치를 위해 기도하는 주간으로 지내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교파를 초월하여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명령하신 복음 선포의 사명을 받았습니다.(마태 28, 19 참조) 동시에 교회는 한 마음으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그 분의 부활을 증거하는 신앙 공동체입니다. 성령께서는 그리스도를 믿는 이들 가운데 이 신앙 공동체인 교회를 생생하게 이끌고 계십니다. 비록 역사 속에서 그리스도께서 세우신 교회가 분열된 것처럼 보이지만, 분열된 것은 정작 교회가 아니라 교회의 구성원인 우리 자신들이었습니다. 일치교령에서도 교회의 분열이 “양쪽 사람들의 잘못”(일치교령 3항)이 없지 않았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위한 기도는 오랜 시간 동안 분열된 그리스도인들 상호 간의 불신과 편견을 없애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복음을 증거하는 참된 그리스도인의 뿌리를 공동으로 발견하는 데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이런 점에서 전 세계 교회가 2010년 일치 기도 주간에 함께 기도하며 묵상할 주제 구절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 공동체에게 이르신 말씀인 “너희는 이 일의 증인이다”(루카 24,48)입니다. 부활은 예수님의 죽음으로 절망한 제자들에게 선사된 새로운 희망의 보증이었습니다. 마리아 막달레나는 슬픔 속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고, 절망 속에서 엠마오로 가던 제자들은 빵을 떼어주실 때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스승이신 예수님을 잃은 사도들도 성령을 받은 후 다락방 문을 박차고 나와 그리스도의 기쁜 부활을 전했습니다. 무덤에서 겁에 질려 있던 여인들과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 그리고 의혹과 두려움에 사로잡힌 제자들 모두가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 “너희는 이 일의 증인이다.”라는 사명을 받습니다. 그리스도께로부터 받은 교회의 이 사명은 그 누구도 독차지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교회는 하느님과 화해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권능의 진리를 증언할 수 있는 모든 이들의 공동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주목할 점은 마리아 막달레나나 베드로,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의 증언 방식이 서로 같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들이 예수님을 만난 방식과 장소,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 사명을 받은 형태도 각기 달랐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증언의 핵심은 공통적으로 죽음을 물리치신 예수 그리스도의 승리였습니다. 부활하신 그분과의 개인적인 만남을 통해, 그들의 삶은 완전히 바뀌고 그들 각자가 독특한 방식으로 “너희는 이 일의 증인이다.”라는 사명을 받게 된 것입니다. 그들의 이야기는 서로 다른 측면을 강조하여, 때로는 그리스도께 충실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해 이견이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들 모두 기쁜 소식을 선포할 것이란 점에서는 서로 다르지 않았습니다.

개신교 형제들도 부활의 증인으로서 함께 그리스도의 기쁜 소식을 전하도록 부름 받았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서로 갈라져 있는 형제들 사이에 여전히 넘어서기 힘든 오해와 편견이 존재하지만, 그것들이 그리스도의 산 증인으로 함께 부름 받은 우리의 공동 소명보다 더 중요할 수는 없습니다. 갈라진 형제들 안에서는 서로가 본받아야 할 소중한 신앙의 유산들이 생생하게 살아 있기도 하고, 서로가 고백하는 신앙 속에서 예수님을 향한 한결같은 사랑과 신뢰를 발견하기도 합니다. 신앙은 입으로 고백하는 것만이 아니라, 고백한 내용을 살아가는 데 있습니다. 참된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신앙이 교회를 사랑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고백해야 합니다.

저는 지난 한 해 동안 한국 교회가 이뤄낸 괄목할 만한 일치 운동의 결실들을 기억합니다. 전 세계가 함께하는 일치기도 주간에 바쳐진 기도문을 한국 천주교와 개신교가 공동으로 준비하여 봉헌한 점과 한국 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개신교와 대규모 일치 기도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점은 교회 일치 운동을 전개하는 한국 교회에 뜻 깊은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또한 개신교와 정교회의 교단 대표들과 함께 가졌던 일치를 위한 성지순례도 있었습니다. 처음에 서로 낯선 만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의 같은 형제로서 로마를 방문하여 교황님을 알현하고, 교황청 그리스도인 일치촉진평의회 의장인 발터 카스퍼 추기경님을 만나 교회 일치에 관한 관심사를 나눴습니다. 그리고 영국으로 건너가 성공회와 구세군, 감리교 대표들을 만나 세계 교회의 일치 운동의 현황과 성과들을 보고 배우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무엇보다도 소중한 것은 이들과의 만남과 순례의 여정이 서로 더 이상 교파적인 편견에 갇혀 있지 않으면서, 그리스도를 믿는 한 형제임을 일상 속에서 체험한 순간들이었습니다. 참된 일치의 체험은 함께 기도하고 함께 살아가며 신앙을 공동으로 증거하는 그리스도인 본래의 소명을 체험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금년 일치기도 주간에 저는 모든 가톨릭 신자들이 전 세계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위해 기도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특히 가톨릭 교회가 개신교와 맺어 온 일치 운동의 결실들과 성과들을 모든 신자들이 함께 공유하게 되기를 바랍니다. 복음의 증거자가 되는 것은 우리가 이룬 희망을 함께 공유하고, 모든 이들에게 일치의 염원을 전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작금의 어려운 사회 현실 속에서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소명인 복음의 증거자가 되는 길에서 갈라진 형제들과 사랑과 기도를 함께 나누게 되길 희망합니다. 세상의 어두움을 이겨내기 위해 그리스도의 빛과 소금이 되려는 노력은 갈라진 형제들과 더불어 공동으로 협력해야 할 중대한 소명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모두가 이 시대의 징표를 올바로 읽고, 일상의 삶 속에서 참된 친교와 일치로 복음을 증거하는 데 앞장서도록 노력합시다.




주교회의 교회일치와 종교간대화위원회
위원장 김 희 중 대주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2 달팽이 달팽이는 느리다. 달팽이는 무엇을 하던지 느리다. 달팽이가 늦다고하여 굶지도 않고 살지못하는법은 없다. 달팽이가 느려도  자기살것은 다살고 자기가 필요한건... 일어나는불꽃 2018.07.12 1063
431 단풍이 아름다운 것은 단풍이 아름다운 것은. 시월이 지나고 새달이 시작되어 첫날이 지났다. 춥다. 아직은 난방을 하기에는 이르고 그냥 지내기에는 너무 춥다. 냉기가 흐르는 방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14.11.08 1364
430 단절과 연결의 신비 단절과 연결의 신비   우리의 삶은 여러 관계 속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해 놓은 원칙들을 지키려고 애쓰다가 문제가 생기면 자신의 내면에서 문제를 찾... 이마르첼리노M 2020.01.08 340
429 단순하게 살기로 작정하면, 단순하게 살기로 작정하면,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지니셨던 마음을 여러분의 마음으로 간직하십시오.” (필립 2,5) “여러분 안에 계셔서 여러분... 이마르첼리노M 2021.07.30 413
428 단상 단상     우리 믿음은 피조물 안에 숨겨져 있는 하느님의 선성을 알아보는 능력에 달려있다. 우리 희망은 사람들 안에 숨겨져 있는 하느님의 자비를 깨... 이마르첼리노M 2017.05.31 809
427 다섯째 날: 수줍어하는 수사슴을 보기 다섯째 날: 수줍어하는 수사슴을 보기 겸손은 영성적으로 그리고 심리적으로 한 마리의 수줍어하는 수사슴과 같다. 당신이 자신의 선물들을 과대 혹은 과소평가하... 김상욱요셉 2024.03.05 380
426 다미아노 십자가 아래에서 다미아노 십자가 아래에서 ‘나’ 육체적인 장애를 제외하고는 뭐든지 잘하고, 잘해야 된다고 생각하며 서른중반을 살고 있다. 남들은 그런 나를 보고, 천사 같다고... 정마리아 2006.08.07 5008
425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2) (1)에서 이어짐 내려가는 길은 아름다운 길이다. 통제와 지배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오르려고만 했던 과정에서 피 흘리는 싸움으로 생명의 에너지를 허... 이마르첼리노M 2021.10.14 305
424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1)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1)   “누가 내 어머니이며 내 형제들이냐?” (마태12,48) “믿는 영혼이 성령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 이마르첼리노M 2021.10.14 293
423 늘 깨어 있어라 + 평화와 선 비가 참 많이 옵니다. 대전에도 장마 전선이 지나가고 있나봅니다. 천둥도 칩니다. 그러나 저는 경기도와 강원도 특히 인제에 계신분들이 걱정되고 ... 정마리아 2006.07.29 5106
422 늘 고맙습니다. http://blog.ohmynews.com/specialin/category고생 많으시네요. 안녕하세요. 저는 어제 즉문즉답에 참여한 사람인데요. 2층 강의실에서 제가 우산을 놓고 왔거든... 이인 2008.11.28 4717
421 뉘우치는 마음이 살린다. 뉘우치는 마음이 살린다.   반성하지 않는 삶이 가치가 없다면 제대로 살지 않는 삶은 되돌아 볼 가치가 있을까 도덕적인 명상은 도덕적인 행동에 비하면 ... 이마르첼리노M 2017.02.28 995
420 눈물의 추억 T.그리스도의 평화           초등학교 4학년 시절 당시 내가 살던 곳은   대구 상인동 월촌이라는 동네였다.   그리고 마을 풍경은 말그대로 ... 일어나는불꽃 2014.06.28 2430
419 눈물의 이유 눈물의 이유   이해할 수 없는 감동 씻어주는 상처 부드럽게 해주는 앎 하느님의 손길 하느님의 마음을 아는 표시 가슴 벅찬 슬픔 실핏줄까지 범람하... 이마르첼리노M 2019.11.24 561
418 눈먼수도자의기도 기도가 기도를 가로막는다.  며칠전 명동성당에서 기도하고 있었는데, 어떤 온전치 못한 남자분이 혼자서 언성을 높여   말을하고 울고 성경을 큰소리로 읽고 하... 일어나는불꽃 2015.01.09 1377
Board Pagination ‹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