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그대, ‘박노해’라는 이름을 기억하는가?
‘노동의 새벽’을 노래 했던 시인이자 노동자이자 혁명가 ‘박노해’
이제, 지구시대 가장 가난하고 고통 받는 사람들 곁에서
카메라를 들고 빛으로 시를 써온 ‘사진가 박노해’를 만난다.

박노해의 중동 현장 10년의 기록, 우리가 알아야 할 세계의 절반
인류 문명의 시원지 알 자지라와 쿠르디스탄에서
이라크,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의 첨예한 분쟁 현장에 이르기까지.
만년필 한 자루와 낡은 흑백 필름 카메라를 들고, 맨 가슴으로 총구를 헤치며
한 장 한 장 심장의 떨림으로 기록한 중동 현장 4만여 장의 사진.
그 중 심혈을 기울여 선정한 37점이 [라 광야]展에서 첫 선을 보인다.

"나는 기획자로서, '사진가 박노해'에 대한 존경의 마음으로
세계적인 사진가 그룹 매그넘의 '로버트 카파'展과 '브레송'展을
기획할 때만큼 박노해의 첫 사진전에 심혈을 기울였다."
- [기획의 말] 중에서, 이기명 (갤러리 M 관장, 한국 매그넘에이전트 대표)




고통 받는 지구마을 민초들의 강인한 삶에 바치는 ‘빛으로 쓴 詩’ 노동의 새벽을 노래한 27살 노동자 출신의 얼굴없는 시인 박노해
시를 쓰던 그 절절한 마음이 이번에는 사진에 담겼다.
분쟁의 땅 중동의 심장을 누벼온 지난 10년
이제 흑백 필름에 분노 대신 평화의 시를 담아 다시 말을 건넨다.
- MBC 9시 뉴스
낡은 필름 카메라로 치열하게 찍어낸 수만 장의 사진에는
한 장 한 장마다 단편소설 하나만큼의 사연이 들어있다.
- 연합뉴스
박노해의 이번 전시는 [사진의 노동의 새벽]이다.
전통적인 아날로그 방식으로 인화한 사진 작품들은
모두 중동문명의 거대한 전통과 그 전통을 이어가는
사람들의 치열한 모습을 담고 있다. - 서울신문

37점의 사진으로 만나는 진정한 지구시대 삶의 방식.
아이들에게는 최고의 글로벌 문화교육장이 되고
가족 연인 친구들에게는 좋은 선물이 될 [라 광야]展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어디를 봐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시대 무릎 꿇는 힘으로 다시 일어서며
'우정과 환대'의 마음을 잃지 않는 [라 광야]의 사람들과 함께 걸으며
새해 새 아침, 신성한 광야의 기운을 가득 받으시길 바랍니다.
전시기간 | 2010년 1월 7일 - 2010년 1월 28일
관람시간 | 오전 11:00 - 오후 09:00 휴관일은 없습니다.
전시장소 | 갤러리 M 충무로 서울중부경찰서 맞은편 [약도 클릭]
전시 관람료는 무료이며, 박노해 시인의 뜻에 따라 사진전 수익은 글로벌 평화나눔에 쓰입니다.
[라 광야]展 홈페이지(www.ra-wilderness.com)에서 대표 전시작 감상, 박노해 시인의 글과 사진 설명을 보실 수 있으며, 작가와의 대화 참석 신청, 국내 최초 영어, 아랍어로 동시 번역된 [라 광야]展 글로벌 도록 구입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97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이 땅에 사람이 되시어 우리 눈에 볼 수 있는 존재... 이마르첼리노M 2024.05.31 35
1496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내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존재하고 있고 어떤 희망을 두고 살아가고 있는가를 회상하는 삶은 회상을 통하여... 이마르첼리노M 2024.05.29 50
1495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아이스크림 하나를 손에 들면 그 이상 바라 것이 없는 듯, 모든 복잡하고 깊이 있는 질문을 완전히 잊... 이마르첼리노M 2024.05.26 76
1494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진실로 포장된 가면을 벗으면 웃을 수 있습니다. 기억 속의 신비로운 화환처럼, ... 이마르첼리노M 2024.05.25 122
1493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프란치스칸 가난은 자기를 열어드리고 내어드려 하느님께서 말씀을 잉태할 모태가 되게 해... 이마르첼리노M 2024.05.24 112
1492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당신이 세 겹의 부르심을 들을 때, 무엇이 당신 마음에 떠오르는가?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라. 다른 이를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김상욱요셉 2024.05.22 24
1491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복음 생활은 따르고 사랑하고 용서하는 자비의 길)   세례성사로 시작되는 그... 이마르첼리노M 2024.05.21 99
1490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복잡한 세상에서 하느님을 찾는 프란치스칸들은 하느님과의 관계, 사람들과의 관계, 세상과의 관계에서 영적인 길을... 이마르첼리노M 2024.05.17 84
1489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성프란치스코에 대한 글에서 그는 어느 날, 밤을 새워가며 이렇게 기도하였다고... 이마르첼리노M 2024.05.11 210
1488 아테네 사람들에게 선포한 바오로 사도의 복음과 우리 신앙의 성찰 창조의 사랑을 알아야 도구적 존재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아레오파고 법정에서 아테네 시민들에게 한 바오로 사도의 설교 내용을 보면 지금 우리가 자주 잊어... 이마르첼리노M 2024.05.09 210
1487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을 배운 사람은 너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을 배운 사람은 너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위로부터 사랑을 받을 때 변화가 가능합니다. 신비체험은 나를 몸소 선택하시는 하느님에 ... 이마르첼리노M 2024.05.04 164
1486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의 자기소개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워라. (마태 11,28) 나는 생명의 빵이다. (요한... 이마르첼리노M 2024.04.30 45
1485 기쁨은 관계를 비추는 빛입니다. 기쁨은 관계를 비추는 빛입니다.   아버지의 이름을 빛나게 해드리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내 이름을 빛나게 하는 일들을 멈춰야 합니다. 내 이름을 빛나게 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24.04.25 234
1484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로 하느님의 생명을 인간에게 주시는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가 성체성사를 통해 양식과 음료로 주... 이마르첼리노M 2024.04.20 192
1483 여섯째 날: 당신 안에서 나오기 여섯째 날: 당신 안에서 나오기 소설가 헨리 제임스(Henry James)는 다음과 같은 권고를 하였다. “너 안에서 나와, 너 밖에 머물러라.” 당신은 자기와 자기의 문... 김상욱요셉 2024.04.18 5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