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그대, ‘박노해’라는 이름을 기억하는가?
‘노동의 새벽’을 노래 했던 시인이자 노동자이자 혁명가 ‘박노해’
이제, 지구시대 가장 가난하고 고통 받는 사람들 곁에서
카메라를 들고 빛으로 시를 써온 ‘사진가 박노해’를 만난다.

박노해의 중동 현장 10년의 기록, 우리가 알아야 할 세계의 절반
인류 문명의 시원지 알 자지라와 쿠르디스탄에서
이라크,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의 첨예한 분쟁 현장에 이르기까지.
만년필 한 자루와 낡은 흑백 필름 카메라를 들고, 맨 가슴으로 총구를 헤치며
한 장 한 장 심장의 떨림으로 기록한 중동 현장 4만여 장의 사진.
그 중 심혈을 기울여 선정한 37점이 [라 광야]展에서 첫 선을 보인다.

"나는 기획자로서, '사진가 박노해'에 대한 존경의 마음으로
세계적인 사진가 그룹 매그넘의 '로버트 카파'展과 '브레송'展을
기획할 때만큼 박노해의 첫 사진전에 심혈을 기울였다."
- [기획의 말] 중에서, 이기명 (갤러리 M 관장, 한국 매그넘에이전트 대표)




고통 받는 지구마을 민초들의 강인한 삶에 바치는 ‘빛으로 쓴 詩’ 노동의 새벽을 노래한 27살 노동자 출신의 얼굴없는 시인 박노해
시를 쓰던 그 절절한 마음이 이번에는 사진에 담겼다.
분쟁의 땅 중동의 심장을 누벼온 지난 10년
이제 흑백 필름에 분노 대신 평화의 시를 담아 다시 말을 건넨다.
- MBC 9시 뉴스
낡은 필름 카메라로 치열하게 찍어낸 수만 장의 사진에는
한 장 한 장마다 단편소설 하나만큼의 사연이 들어있다.
- 연합뉴스
박노해의 이번 전시는 [사진의 노동의 새벽]이다.
전통적인 아날로그 방식으로 인화한 사진 작품들은
모두 중동문명의 거대한 전통과 그 전통을 이어가는
사람들의 치열한 모습을 담고 있다. - 서울신문

37점의 사진으로 만나는 진정한 지구시대 삶의 방식.
아이들에게는 최고의 글로벌 문화교육장이 되고
가족 연인 친구들에게는 좋은 선물이 될 [라 광야]展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어디를 봐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시대 무릎 꿇는 힘으로 다시 일어서며
'우정과 환대'의 마음을 잃지 않는 [라 광야]의 사람들과 함께 걸으며
새해 새 아침, 신성한 광야의 기운을 가득 받으시길 바랍니다.
전시기간 | 2010년 1월 7일 - 2010년 1월 28일
관람시간 | 오전 11:00 - 오후 09:00 휴관일은 없습니다.
전시장소 | 갤러리 M 충무로 서울중부경찰서 맞은편 [약도 클릭]
전시 관람료는 무료이며, 박노해 시인의 뜻에 따라 사진전 수익은 글로벌 평화나눔에 쓰입니다.
[라 광야]展 홈페이지(www.ra-wilderness.com)에서 대표 전시작 감상, 박노해 시인의 글과 사진 설명을 보실 수 있으며, 작가와의 대화 참석 신청, 국내 최초 영어, 아랍어로 동시 번역된 [라 광야]展 글로벌 도록 구입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2 슬픔으로 쓰는 시 슬픔으로 쓰는 시 슬픔으로 쓰는 시를 쓰고 싶다. 눈가에 맺힌 이슬로 보이지 않는 종이에 보이지 않는 글씨로,,, 슬픔은 가난이다. 소유 없는 충족 구름 한 ... 이마르첼리노M 2014.10.30 1606
671 커피나무를 바라봄 3 +그리스도의 평화         커피의 향기를 내기 위해서는   그냥 커피 생두로가지고는 안되고   생두를 뜨거운 불에 달구어 익혀야 한다.   그... 일어나는불꽃 2014.10.28 1834
670 중세 기행(1) : 독일 푸거(Fugger) 집안 중세 기행 : 독일 푸거(Fugger) 집안   요즘 중세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의 중세 서양사 교육은 보수 성향의 개신교 관점의 역사... file 이종한요한 2014.10.24 2808
669 여름과 가을 사이 여름과 가을 사이 사람의 삶은 존재의 어둠을 헤쳐 가는 긴 여로이다. 한 여름 불볕태양이 주는 건 아픔이다. 과육에 단맛이 되는 건   그 아픔이 있기 때문이... 이마르첼리노M 2014.10.22 1528
668 커피나무를 바라봄 2 *이글은(커피나무를 바라봄1~4)   제가 유기서원기때 성 보나벤뚜라의   &quot;신비의 포도나무&quot;라는 묵상집을 읽고   저도 힌트를 얻어 그리스도에   대해... 일어나는불꽃 2014.10.20 1934
667 프란치스코 관상을 접하며! 고계영 신부님의 논문을 찬찬히 읽으며 깊은 감동을 느꼈습니다. 교회 안에서 전해져 오는 모든 신비체험과 관상 중 가장 탁월하군요.  오늘 읽은 대목에서는... 프리지아 2014.10.17 1744
666 커피나무를 바라봄 1 *이글은(커피나무를 바라봄1~4)    제가 유기서원기때 성 보나벤뚜라의   &quot;신비의 포도나무&quot;라는 묵상집을 읽고   저도 힌트를 얻어 그리스도에   대... 일어나는불꽃 2014.10.11 1813
665 가을에 만납시다. 가을에 만납시다. 귀뚜라미 풀벌레 소리가 가을이라고 노래한다. 올 여름엔 배고픔 못지 않게 가을의 굶주림이 절박했었다. 들녘엔 벼이삭들이 고개를 숙이고... 이마르첼리노M 2014.10.09 1813
664 종교간의대화 T.그리스도의평화 전 이번 가정방문(휴가)때 비슬산 자락에 있는 법왕사라고하는곳에 다녀왔습니다. 왜냐하면 그곳에서 백고좌대설법회가 있어서 였습니다. 약100... 일어나는불꽃 2014.09.29 1561
663 동식물 축복식에 초대합니다. 평화와 선   피조물을 너무도 사랑한 프란치스코. 피조물을 사다리 삼아 하느님께로 올라간 프란치스코. 하느님 안에서 하느님의 모든 작품들을 형제로 ... 김레오나르도 2014.09.23 1507
662 성숙한 염원 성숙한 염원 큰 나무에 있어서는 부분이 문제되지 않기에 커다란 뜻과 커다란 사랑에선 지엽이란 스치고 지나가는 것 인간적이며 전인적인 진실의 모든 발성 찾... 이마르첼리노M 2014.09.21 1194
661 생명을 주는 믿음 생명을 주는 믿음 사랑에는 무게로 인한 부담이 없다. 자유의 깃털은 무게를 느끼지 않는다. 우리가 십자가에서 일어난 예수님의 자기 헌신에 주목하면 할수록 ... 이마르첼리노M 2014.09.19 1499
660 작은형제회 형제님 반갑습니다. 저는...잠재론적인 구마자입니다..........................헤어나려고..발버둥치고.있습니다. 엊그제는 충북진천2014,9,13 토요일 배티성지,은총의밤까지 가서 ... 信念의徐 2014.09.14 1747
659 영광 교황님을 만나뵙고 악수하고 인사하고 대화를 나누는것도 영광스러운 일이나 그보다 더  영광스러운 것은 삶의 자리에서 하느님의뜻을  실천하였을때가 더 영광... 일어나는불꽃 2014.09.06 1279
658 또다른 자유를 향하여 또 다른 자유를 향하여 정직하게 말하는 것처럼 어려운 화술은 없다. 참말일수록 겉으로 드러내기까지 거부반응이 가로막는 일은 어인 까닭일까, 살고 있으면서... 이마르첼리노M 2014.09.01 1620
Board Pagination ‹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