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5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http://http://www.istancoreofm.org2009년 라마단 파재절 경축 메시지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1430/2009년 라마단 파재절 경축 메시지
(2009년 9월 20일)



빈곤을 함께 극복하는 그리스도인과 무슬림



사랑하는 무슬림 친구 여러분,

1. 라마단 금식월이 끝나는 파재절을 맞이하여, 여러분에게 평화와 기쁨의 인사를 전하며, 이 메시지를 통하여 “빈곤을 함께 극복하는 그리스도인과 무슬림”이라는 주제를 함께 성찰해 볼 것을 제안합니다.

2.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의 이 경축 메시지가 이제 우리 모두 해마다 고대하는 소중한 전통이 되어 기쁩니다. 이 메시지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나라에서 그리스도인과 무슬림 사이에 진솔한 만남의 계기가 되어 왔으며, 흔히 공동 관심사를 다루어 상호 신뢰의 열린 교류에 이바지해 왔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하느님께 감사 드려야 할 우리 사이의 친교의 징표가 아니겠습니까?

3. 올해의 주제와 관련하여, 가난한 사람은 신앙은 다르지만 우리가 다같이 소중히 여기는 계명의 핵심입니다. 인류 안의 우리 형제자매들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관심과 연민과 도움을 주어, 그들이 사회 안에서 제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은 전능하신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생생한 증거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종교의 구분 없이 인간을 사랑하고 도우라고 우리에게 요청하시기 때문입니다.
빈곤은 수치심을 주고 참을 수 없는 고통을 낳아 흔히 소외, 분노, 심지어 증오와 보복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습니다. 빈곤은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적대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그러한 행동을 정당화하는 근거를 종교에서 찾거나, 다른 사람의 부와 평화와 안전을 이른바 ‘거룩한 정의’라는 이름으로 빼앗기도 합니다. 따라서 극단주의와 폭력 현상에 맞서려면, 바오로 6세 교황께서 ‘평화의 새 이름’이라 정의하신(회칙 「민족들의 발전」[Populorum Progressio], 1975, 76항) 발전, 온전한 인간 발전의 증진을 통하여, 반드시 빈곤을 막아내야 합니다.
베네딕토 16세 교황께서는 사랑과 진리 안에서 이루는 온전한 인간 발전에 관한 최근 회칙 「진리 안의 사랑」(Caritas in veritate)에서 발전을 촉진하고자 노력하는 최근의 상황을 돌아보시며 ‘인도주의의 새로운 도약’(21항 참조)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셨습니다. 바로 인간이 하느님께 열려 있도록 지켜 주면서 인간에게 지상의 “중심과 정점”(57항)의 위치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발전은 “한 인간 전체와 전 인류”(「민족들의 발전」, 42항)의 발전을 지향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4. 교황 베네딕토 16세 성하께서는 2009년 1월 1일 ‘세계 평화의 날’ 담화에서 빈곤을 ‘퇴치해야 할 빈곤’과 ‘포용해야 할 가난’의 두 형태로 구분하셨습니다.
퇴치해야 할 빈곤은, 모든 사람이 직면하고 있는 기아, 깨끗한 물의 부족, 제한된 의료 혜택, 부적합한 주거, 불충분한 교육 문화 제도, 문맹 등과 더불어, “부유한 선진 사회에서 …… 정서적 도덕적 정신적 빈곤뿐만 아니라 소외의 현상”(베네딕토 16세, 2009년 세계 평화의 날 담화, 2항)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빈곤입니다.
포용해야 할 가난은 환경과 피조물의 선익을 존중하면서 낭비하지 않고 꼭 필요한 것만 지니고 사는 단순한 생활 양식입니다. 또한 적어도 연중 일정 기간만이라도 절약과 단식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 가난을 선택할 때 우리는 자신을 뛰어넘어 넓은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5. 빈곤이라는 고통의 정당하고 영속적인 해소를 위하여 협력하려는 신앙인들의 바람 속에는 우리 시대의 중대한 문제들에 대한 성찰과 또한 가능하다면 이러한 문제들을 근절하기 위한 공동 노력의 의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사회의 세계화 현상과 관련된 빈곤의 측면들은 정신적 도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개인과 민족과 국가가 모두 형제애와 책임의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하나의 인류 가족을 건설할 소명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6. 빈곤의 복합적인 현상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천부적인 인간 존엄을 존중하지 않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우리는 세계적으로 연대하도록 요청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단순히 국제 협약의 성격을 지닌 규범일 뿐 아니라, 창조주께서 모든 인간의 양심에 새겨 주신 자연법에 근거하는(로마 2,14-15 참조) “공동 윤리 강령”(요한 바오로 2세, 교황청 사회 학술원에 한 연설, 2001.4.27., 4항)을 채택하여야 할 것입니다.

7. 세계 여러 곳에서 우리는 공통된 삶의 체험과 실질적인 상호 관심사에서 출발하여 관용에서 만남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는 중요한 진전입니다.
모든 이에게 기도와 단식과 다른 이를 향한 사랑의 삶이 지닌 풍요로움을 알려 줄 때, 하느님을 향해 나아가는 이들에게서 활력을 이끌어내는 대화가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가난한 이들이 우리에게 묻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도전을 제기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들은 우리가 빈곤 극복이라는 숭고한 대의를 위하여 협력하도록 요구합니다.

기쁜 파재절이 되기를 바랍니다!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 장-루이 토랑 추기경
사무총장 피에르 루이지 첼라타 대주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4 잊지는 않았습니다. + 평화와 선 좋은 주말 밤 되세요 ^^ 좀전에 문득 가톨릭 생활성가 방송국에 접속, 여기저기 둘러 보았는데, 너무나 오랫만인 것 같습니다. 왠지 낮설고.. 2년전,... 정마리아 2007.01.13 5140
1113 잉태와 출산 잉태와 출산 네 앞길에 어려움이 없길 바라지 마라 어렵고 곤란한 일 이 없으면 남을 업신여기고 우습게 본다. 고통과 괴로움 번민과 슬픔 상처 난 가슴은 네 삶... 2 이마르첼리노 2010.12.08 5143
1112 잃어버린 사막 교부의 덕을 다시 회복하기 2장: 잃어버린 사막 교부의 덕을 다시 회복하기 내 딸과 사위 그리고 두 손녀들과 함께 저녁 식탁에 앉았다. 식사가 끝나자 내 딸이 손녀들을 바라보며 물었다. “... 김상욱요셉 2023.07.23 265
1111 일용할 양식 일용할 양식     오천 명을 먹인 건 빵만이 아니다. 사랑을 먹어야 배부르다.   떠나는 이에게 찾아온 이에게 만나는 이에게 따뜻하고 부드럽... 이마르첼리노M 2020.12.03 390
1110 일상적인 죽음에서 부활하는 생명으로 일상적인 죽음에서 부활하는 생명으로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 (마르코16,15) 사람들에게만 선포하는 복음이 아니... 이마르첼리노M 2021.04.16 451
1109 일상의 축복에 반응하는 기도 저는 로버트 제이 윅스의 책, No Problem(문제가 아님을 향해) 을 대충 번역하며, 우리의 영적 여정에 대한 접근을 하고자 합니다. 책의 내용과 함께, 저의 이어... 김상욱요셉 2023.07.10 326
1108 일상의 거룩함 대부분 사람들은 남보다 잘나보이려 한다. 남보다 부유해지고 싶어 하고, 남보다 더 뛰어난 인물이 되고 싶어 한다. 세속적인 면에서 뿐 아니라, 영적인 영역에서... 김상욱 2007.01.12 4232
1107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당신이 세 겹의 부르심을 들을 때, 무엇이 당신 마음에 떠오르는가?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라. 다른 이를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김상욱요셉 2024.05.22 34
1106 일곱가지 행복 T 평화와 선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아래 을 붙혀 놓으시고 매일 실천하시기를 권해 봅니다: 1) Happy look 부드러운 미소/ 웃는 얼굴을 간직하기 (미소는 모두... 1 2006.01.26 10072
1105 인식의 차이 인식의 차이 대해서 아는 것과 아는 것    대해서 아는 것은 객관화된 지식이지만 아는 것은 경험된 지식입니다.   경험된 지식은 왜? 어떻게? 에서 나오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23.03.19 258
1104 인식의 재 인식 인식의 재인식   산다미아노 성당의 십자가 앞에서 드린 성프란치스코의 기도는 우리 믿음의 기초를 든든하게 하도록 도와줍니다. 그는 “올바른 신앙, 확고한 희... 이마르첼리노M 2023.06.20 202
1103 인생의 역사, 역사의 인생 인생의 역사, 역사의 인생        “너희가 생각을 바꾸어 어린이와 같이 되지 않으면 하늘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quot; (마태 18,2)   어미의 품에... 이마르첼리노M 2019.08.30 450
1102 인류의 고통 앞에서 인류의 고통 앞에서   인류 앞에 대재앙이라고 말할 수 있는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와 전염병 가뭄과 대홍수, 지진, 태풍, 그리고 도처에... 이마르첼리노M 2020.07.14 527
1101 인간의 불완전 함을 선택하신 하느님 인간의 불완전 함을 선택하신 하느님   성탄절을 앞두고 나를 돌아보았다. 내가 나를 아는가? 내가 누구인지를 모르면서 하느님을 안다고 할 수 있는가? 자... 이마르첼리노M 2021.12.18 368
1100 인간 대란 (大亂) 인간 대란 (大亂)   소득이 증가하면서 늘어난 것 중 첫째가 생활 쓰레기의 폭발적 증가이다. 이것은 경제적으로 살기가 나은 나라일수록 더 심각하고 현실적... 이종한요한 2016.05.14 1021
Board Pagination ‹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