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6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개신교에서 성시화라는 명목하에 이단 전문가라는(사회적인 범법 기록이 있는 전과자임) 자를 내세워 제천을 성시화 한다며 개종을 정당화시키고 있어서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공권력까지 등에 업고 설친다고 하더군요.

사회가 혼란할 수록 종교가 화합과 상생을 도모해도 모자랄판에

개신교에서는 왜 자기들만 거룩하다 내세우며, 이런 지탄받을 짓을 자행하는 것일까요?

일전에 개신교 장로교의 창시자인 칼빈은 제네바를 성시화 한다고 하여,

자기와 다른 주장을 내세우는 사람을 처참히 죽이고 고문하였습니다.

이단이라하면, 명백히 정통인 뿌리에서 나간 저들이 이단이겠죠.

가끔씩 카톨릭을 이단이라고 비난하며, 성모 마리아를 우상이라고 하는 저들에게

울화가 치밀때가 한두번이 아닙니다.

그러면서 왜 자기들은 카톨릭에서 하는 사도신경을 고백하는지..

한토마에서 퍼온 글입니다.

http://hantoma.hani.co.kr/board/view.html?board_id=ht_society:001016&uid=75632

종교의 자유와 권리가 보장하는 나라에서 종교를 강요한다든지 공공단체에서 종교 차별을 한다면 이는 분명 범법 행위이다.


법이 있음에도 법대로 적용하지 않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 인가?





전국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성시화 대회, 성시화라는 이름 자체에서부터 문제가 있다.


성시화운동본부(총재 김준곤)에서 펴낸 성시화운동 편람에 의하면


["성시화란 완전한 하나님의 도시를 지향하고 있기에 그곳에 사는 시민은 개신교 신자가 될 것인지 다른 지역으로 이주할 것인지 양자택일해야한다",


"학교는 주일학교화가 되고, 교사는 주일학교 교사 화 되고, 학구는 교구가 되며 그 도시에 있는 모든 것들이 예수와 성령에 의해 다스려지게 될 것이다.


시 예산의 십일조는 민족복음화와 세계복음화에 쓰여 질 것이다"] 고 기록되어 있다.


쉽게 말하면 성시화란 한 도시 전체를 개신교화 하자는 운동인 것이다.





성시화를 위해서는 개종이 필수적으로 따른다는 증거로 9월 14일~16일 제천에서 열리는 '제천 성시화 대회'에 개종전문가로 알려진 목사가 이단세미나를 개최한다는 것이다.


성시화라는 이름부터 개신교의 권위주의와 우월주의를 풍기는데 개종 전문 강사까지 세우다니 이는 이웃 종교에 대한 이해나 상생의 방향은 전혀 생각지 않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이번에 이단 세미나 강사를 맡은 목사는 특정 종교를 믿는 신도를 상대로 개종을 강요하다 정신병원 등에 감금 방조죄로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바가 있다. 이런 목사를 강사로 해서 도시 전체를 성시화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타 종교들의 지탄을 받아 마땅하다.





매년 수차례 전국에서 계속되고 있는 종교차별 현장인 ‘성시화 운동’은 하루 속히 근절되어야 한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3 나이 쉰여덟에야 비로소 나 알겠네 나이 쉰여덟에야 비로소 나 알겠네 -조동화(1948~ ), ‘고비사막 신기루’ 전문 아침부터 내달리는 장엄한 칭기스칸의 땅 물 실린 먼 호숫가, 풀밭이며 우거진 숲 ... 마중물 2008.01.05 5493
372 나의 진정한 행복은? 스코투스는 미, 아름다움을 통해 덕을 향하는 삶을 제시한다. 스코투스는 우리에게는 두가지 성향이 있다고 말한다. 나의 행복을 향하는 끌림과 올바름을 향하는... 김상욱요셉 2013.05.16 5213
371 나의 원수는 원수를 사랑하라고 예수님께서는 말씀 하셨지만 저에게는 사랑해야 할 원수가 얼른 생각나지 않습니다 철천지 한의 원수는 없다는 말입니다 죽이고 싶다든가 없어... 2 benedictus 2007.03.02 4526
370 나의 어둠을 밝히시는 빛 나의 어둠을 밝히시는 빛   “모든 것은 말씀을 통하여 생겨났고 말씀 없이 생겨난 것은 하나도 없다. 생겨난 모든 것이 그에게서 생명을 얻었으며 그 생명은... 이마르첼리노M 2021.12.27 437
369 나의 아버지요 형제인 성프란치스코 나의 아버지요 형제인 성프란치스코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부르시고 그들에게 정보를 주기보다는 관계를 중심으로 가르치셨다. 제자들은 예수님에게서 ... 이마르첼리노M 2019.10.04 409
368 나의 신앙고백 나의 신앙고백   수도원에 발을 들여놓기 전 익숙한 것과 길들여진 것이 하도 많아 앞으로 나아가려는 나를 자석처럼 잡아끌었으나 아무것도 보장받지 못... 이마르첼리노M 2019.08.22 529
367 나에 대한 성찰 나에 대한 성찰   외부의 공격과 관계로부터 나를 지키고 보호하려는 의지가 만들어내는 부정적 현상들 거짓말, 합리화, 변명, 탓, 원망, 이중성, 은밀한 ... 이마르첼리노M 2020.03.08 510
366 나무 옮겨심기 +그리스도의 평화       올해 초에 수련소에서 소나무를 옮겨심는 작업을 하였다.   참 감회가 새로웠다.왜냐하면 수련기 때 우리동기들이   심은 ... 일어나는불꽃 2013.12.06 5019
365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믿음은 물질적인 세계 속에 살면서 물질적인 세계관에 집착하지 않는 가난이다. 가난이 주는 자유를 누려본 사람은 덧셈보다... 이마르첼리노M 2021.03.22 469
364 나만 좋은 땅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나만 좋은 땅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우리의 믿음은 올바름보다 올바른 관계가 더 중요하다. 도덕적 성취와 계명을 지키는 것이 올바름의 길이라면 믿... 이마르첼리노M 2021.03.18 514
363 나를 잊어버리는 기쁨 나를 잊어버리는 기쁨   삶을 좋아하는 사람 놀이처럼 즐길 줄 아는 사람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아는 사람 참되고 영원한 삶을 원하는 사람은 가장 가... 이마르첼리노M 2020.08.23 462
362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생각이 아니라 만남이다. 너와 나 사이에 있는 하느님의 현존 그 하느님은 만남의 구체적 현실이다. 그... 1 이마르첼리노M 2019.08.10 504
361 나를 돌아보며 좋은글 말 한 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뜻은 말 한 마디를 잘못하여 천냥 빚을 지을 수 있다는 격이니 어찌 말 한 마디를 소홀히 하여 가난함을 돌아오게 할 ... 경현 2009.07.23 5489
360 나는 포도나무에 붙어 있는 가지다. 나는 포도나무에 붙어 있는 가지다.   나는 포도나무에 붙어 있는 가지다. 전체 안에 부분으로써의 가지다.   나는 몇 년 전에 아프리카 앙골라를 방문한 ... 이마르첼리노M 2021.09.01 397
359 나는 안전하게 살 권리가 있다 동국대 김익중 교수의 탈핵 강의 - 꼭 들어보시길 .. &lt;embed width=&quot;560&quot; height=&quot;315&quot; src=&quot;//www.youtube.com/v/wctPJzslzh0?hl=ko_KR&amp;version=3&quot; type=&quot;application/x-shockwave-flash&quot; allowscriptaccess=... 이마르첼리노M 2014.07.26 2602
Board Pagination ‹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