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2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3. 프란치스코의 생애 마지막

1) 라베르나 체험

프란치스코가 세상을 떠나기 2년 전인 1224년, 프란치스코는 오를란도 백작으로부터 희사받은 라베르나 산에 6명의 형제들과 함께 오른다. 프란치스코는 대천사 미카엘 축일을 준비하며 조용한 시간을 가지고 싶어했다. 프란치스코는 아무도 볼 수도 없고 들을 수도 없는 곳에 움막을 짓고 그곳에 들어갔다. 그곳에 유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사람은 레오 형제뿐이었다. 레오 형제는 프란치스코가 허락할 때 빵 한 조각을 가지고 그 움막에 다가갈 수 있었다. 어느 날 동틀 무렵 프란치스코는 손과 옆구리와 발에 뚫리는 아픔을 느꼈다. 그리스도의 다섯 상처가 그에게 각인되었다.

전기는 프란치스코가 오상을 받기 전에 이런 기도를 바쳤다고 한다. "오 주 예수 그리스도님, 제가 죽기 전에 두 가지 청원을 드리옵니다. 하나는 사랑하올 예수님, 당신이 십자가 위에서 수난 중에 겪으신 그 고통을 나의 영혼과 육신으로 가능한 한 느끼게 해 주소서. 그리고 두 번째로 청하옵는 것은 가능한 한 그 큰 사랑을 내 마음에 담게 하소서. 하느님의 아들이신 당신께서 우리 죄인들을 위하여 그렇게도 큰 고통을 기꺼이 받으신 그 큰 사랑을 내 마음이 가능한 한 알게 해 주소서." 이러한 마음자세는 프란치스코가 회개함과 동시에 가졌던 마음이었다. 그래서인지 전기는 프란치스코가 십자가 고상이 말씀하는 체험에서 이미 오상이 마음에 새겨졌고 그것이 라베르나 산에서 드러났다고 말한다.

=>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께 드리신 찬미: 프란치스코는 오상을 받은 후,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께 드리는 찬미'로 하느님의 다양한 현존을 고백한다.

2) 프란치스코의 죽음과 태양의 찬가

프란치스코의 병은 더욱 악화되었다. 오상의 상처에서 피가 나왔고 위 질환이 계속되었고 특히 눈병이 더 악화되어갔다. 프란치스코는 눈병을 치료하러 가기 전에 클라라 수녀원에 머물며 클라라와 자매들과 작별의 시간을 가졌다. 전기에 의하면, 프란치스코는 이곳에 머물면서 통증 때문에 빛을 거의 볼 수 없었고 쥐들의 소란으로 제대로 휴식을 취할 수도 없었다. 이러한 고통 가운데에서 프란치스코는 피조물을 통한 하느님을 찬미하는 태양의 찬가 앞부분을 지었다.

태양의 찬가 둘째 부분은 아시시 주교 귀도와 시장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을 때 지어졌다. 프란치스코는 두 사람의 싸움과 이 싸움의 영향으로 아시시가 힘들어하는 것을 그냥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프란치스코는 이 노래 부분을 짓고 동료 형제를 시장에게 보내어 주교 관저로 초대를 하였다. 이후 다른 동료들에게 가서 이 노래를 모인 이들 앞에서 부르게 하였다. 주교와 시장은 이 노래를 듣고 서로 용서를 청하며 평화를 회복하였다.

"당신 사랑 까닭에 남을 용서해 주며,

약함과 괴로움을 견디어 내는 그들에게서 내 주여 찬양받으사이다.

평화로이 참는 자들이 복되오리니,

지존이시여! 당신께 면류관을 받으리로소이다."

마지막 부분은 프란치스코가 죽음을 앞두고 지은 것이다. 프란치스코는 치료를 받기 위해 주교관에 머물렀는데, 죽음이 임박하자 포르치운쿨라 수도원에서 또한 형제들 사이에서 죽음을 맞기를 원하였다. 그의 원의를 받아들여졌고, 그는 작은 형제로서 삶을 시작했던 바로 그곳에서 죽음을 맞이하였다.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에서 그는 죽음 자매와 관련된 새로운 구절을 '태양의 노래'에 첨가하였으며, 이 노래를 부르며 죽음을 자매로 맞이하였다.

"내 주여! 목숨 있는 어느 사람도 벗어나지 못하는

육체의 우리 죽음, 그 누나의 찬미 받으소서!"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7 추위 속의 사색 추위 속의 사색   혹한의 밤 속살을 파고드는 추위 날개를 웅크리고 떨고 있는 둥지속의 새   사람에게 추위란 신의 제단에 바쳐진 제물   배... 이마르첼리노M 2016.01.21 1169
746 신앙인들의 기도는 기적을 만든다 “신앙인들의 기도는 기적을 만든다.”   프란치스코 교종은 지난 1월 12일 숙소인 산타 마르타의 집 미사 강론을 통해 기도는 자비를 잊어버린 굳은 마음을 부... 이종한요한 2016.01.15 1241
745 충족 충족   행복 채워서 얻으려다 얻지 못하는 것   공허 채울수록 커지는 것   풍요 비울수록 채워지는 것   희망 절망에서 출발해야 얻는... 이마르첼리노M 2016.01.13 1263
744 새해의 다짐 새해의 다짐   인생이라는 예술품을 만들기 위하여.   신앙을 위해서는 많은 가르침이나 말보다 단순한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삶으로 말하고 삶... 이마르첼리노M 2016.01.01 1072
743 2015년을 보내면서 교황님이 남기신 말씀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올해 마지막 말씀들      여러분 가족모두 새해 복많이 받으십시오.  프란치스코 교종 신자들에게 새해인사 “하느님의 겸손을 가르쳐... 이종한요한 2015.12.31 1207
742 자비의 얼굴로 태어나는 성턴 &lt;자비의 얼굴로 태어나는 성탄 자비의 눈길 차별이 있는 곳에 자유가 없다. 자비는 차별을 없애고 자유를 준다. 자유가 있는 곳에 기쁨과 고요와 평화가 있다. 발... 이마르첼리노M 2015.12.22 1111
741 가을 아침에 드리는 기도 - 이 글은 10월 어느날 아침에 쓴 글입니다. 가을 아침에 드리는 기도   차가운 냉기가 가슴속을 파고드는 아침, 홍수 같은 애통과 산사태 같은 한, 자신의 허약함을 게시판처럼 바라보는 눈, 이별... 이마르첼리노M 2015.12.11 1453
740 의인들이 갈 곳은 죽음 뿐인가?     의인들이 갈 곳은 죽음 뿐인가        뉴욕에서 95번 하이웨이를 타고 보스턴으로 향하다 29A 출구로 빠지면 2번국도 Concord Turnpike를 만난다. 이 ... 이종한요한 2015.12.09 1453
739 좋은 사제는 사람들을 사랑합니다 ※이 글은 미국 뉴욕에 살고 있는 본인의 친구 장 스테파노 형제님이 본인에게 보낸 것인데, 서로 나눌 가치가 있다는 생각으로 이 형제의 허락을 받아 올린 것입... 1 이종한요한 2015.12.03 1523
738 겨울 母性 겨울 母性    편지 글 1 가난의 절기는 겨울 옷을 벗은 겨울나무들은 서로를 소유하지 않기에 춥습니다. 새봄의 훈훈함으로 새싹을 기르... 1 이마르첼리노M 2015.12.03 1186
737 복음의 눈으로 T.그리스도의 평화. 복음의 눈으로 세상을 보며 글을 적어보았습니다. 하늘나라는  한송이의 눈과도 같다. 한송이의 눈은 작고 보잘것 없어 손에서는 쉽게 녹아버... 일어나는불꽃 2015.12.01 1307
736 모기스승 6 마지막 이야기. 유기서원자시절. 그때에는 금요일날 아침에 라면을 먹는날이었다. 특히 난 라면을 좋아했었기에 라면을 한 사발 가득 담아서 맛있게 먹었다. 그렇... 일어나는불꽃 2015.11.04 985
735 모기스승 5 유기서원자시절. 밤에 자는데 모기가 와서 왼쪽팔뚝을 물었다. 그래도 난 가만이 있었는데 이 모기가 또 더 위로 올라가더니 다른 한군데를 또 물었다. 이렇게 모... 일어나는불꽃 2015.10.28 977
734 모기스승 4 유기서원자시절. 난 성당에서 기도하고 있었는데 모기가 와서 내 주위를 맴돌다가 내 왼쪽 팔뚝위에 앉았다. 난 피빨아 먹고 가라고 그냥 냅뒀는데 이 모기... 일어나는불꽃 2015.10.23 925
733 생태영성 세미나 발제 어제 정동에서 생태영성 세미나발제가 있었습니다. 제가 할 차례이어서 간단하게 준비하였습니다. 2015년 종교간의 대화 위원회 생태영성 세미나 발제   ... 일어나는불꽃 2015.10.22 1069
Board Pagination ‹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