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09.06.04 19:43

성령의 역사(役事)

조회 수 9050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요한복음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느님은 영이십니다. 그러므로 그분을 예배하는 이들은 영과 진리 안에서 예배하여야 합니다”(요한 4,24). 이 구절에 대해 여러 교부들이 주석을 하였는데, 그 가운데 성 힐라리오와 성 아우구스티노는 특히 “하느님은 영”이시라는 구절을 놓고, 성부도 영이시고, 성자도 영이시며, 성부도 거룩하시고, 성자도 거룩하시다고 풀이한다. 나아가 아우구스티노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 즉 삼위일체 하느님의 본질로서의 성령과 삼위 하느님의 제 3위격으로서의 성령을 구분하는데, 삼위일체 하느님의 본질로서의 성령은 오늘날의 신학 용어로 “신비”라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아시시 성 프란치스코의 글 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성서와 교부들,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사상과 영성 안에서 바라보면, 인간은 본질적으로 영이신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상에 따라 창조된 영의 존재이다. 인간 존재가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는 영의 차원을 깊이 천착한 현대 신학자 중 한 분이 칼 라너이다. 라너는 초월 철학과 초월 신학을 전개하면서 인간 존재를 “절대 초월을 지향하는 영”이라고 규정하였다. 그에 의하면, 인간 존재의 심연에는 절대 초월을 존재론적으로 지향하도록 선험적으로 영이 주어져 있으며, 모든 인간은, 주제적이든 비주제적이든, 명시적이든 익명적이든, 절대초월이신 하느님을 인식하고 체험한다. 물론 인간 존재에게 존재론적이고 선험적으로 주어진 영은 완성된 영이 아니라, 가능성으로 주어진 씨앗과 같은 영이다. 모든 인간에게 이 영이 주어져 있다는 사실은 모든 인간이 지니고 있는 “양심”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아무튼 모든 인간 안에 현존하는 이 영의 작용으로, 누구든지 신망애나 진선미를 통해 절대 영이신 하느님을 체험하게 되는데, 라너는 이 하느님 체험을 성령 체험과 동일시한다. 라너의 저 유명한 “익명의 그리스도인”, 즉 제도 교회 안에서 세례받지 않은 그리스도이 있다는 이론은 그의 초월 사상을 기저로 하고 있다.
한편, 모든 인간 안에 보편적이고 존재론적으로 주어진 초월적 영은 또한 “자유로운 인격적 영”이다. 라너는, 이 영은 절대 사랑이신 하느님 앞에 자유롭게 서 있다고 확언한다. 이러한 초월 인간 규정에서 연역되어 나오는 신학적 사실은 모든 인간은 자유로운 인격적 영으로서 절대 자유이신 하느님을 지향한다는 것이다. 요한 복음 저자도 진리가 우리를 자유롭게 할 것(요한 8,32)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요한 복음 안에서 진리는 곧 “진리의 성령”을 뜻한다(요한 16,13). 구원의 역사와 불가분리적 관계에 있는 인류의 역사는 이 진리의 성령을 통해 구원의 자유를 지향하고, 역사의 주체인 인간은 초월적 영이며 자유로운 인격으로서 범주적인 역사 안에서 성령의 활동을 통해 구원의 자유를 구체적으로 주제화시켜 나간다. 한국의 근현대사를 돌아보면, 동학 혁명, 삼일 독립 운동,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6월 항쟁 등과 같은 민중 운동 안에서도 인류 역사를 구원의 자유에로 이끄시는 성령의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삐신자 2009.06.23 23:19:15
    당신의 수준이 딱 바리새파 수준이네. 독사의 혀로 트집과 비판만 일삼는..
  • ?
    홈페이지 요한 2009.06.23 23:19:15
    바오로 형제님. 라너의 가르침이 교회의 통일되며 보편되며 무오한 가르침인가요?
    바오로 형제님은 신앙의 커밍아웃을 하시죠. 말씀하시는거보면 딱 개신교 수준인데
  • ?
    홈페이지 교황청 2009.06.23 23:19:15
    교황청 기관지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지는 사설 1면에 김정일정권을 스탈린정권이라 규정하며 북한의 도발로 인해 북한 주민들은 더욱 어려워지고있고,국제사회는 분노하고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것이 곧 교황청의 뜻이고,가톨릭교회의 뜻입니다! 그렇기땜에 김정일은 교황님을 미제국주의자들의 앞잡이라고 그러며 교황님과 교황청의 추기경님들을 미제국주의자들의 졸개라고도 폄하하지요!! 정말 김정일이 이처럼 교황청과 교회를 적대시하고있는데 김정일을 찬양하는 사제단을 보면...참으로 한심스럽기만 합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이 대목입니다!







    한마디로 교황님께서도 명백하게 김정일에게 반대한다는것을 드러낸것인데도 불구하고,고 김수환 추기경님께서도 여러차례 친김정일세력들의 위험함을 경계하셨음에도 불구하고,김정일을 찬양하는 사제단과 가톨릭을 가장한 빨갱이들에게 다시한번 극심한 분노를 느낍니다! 이러한 사제단에게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주교단에 대해서도 실망을 느낍니다..정진석 추기경님이나 남아있는 다른 주교님들도 모두 훌륭하기는 하지만,저같은 평신도가 어찌 그분들을 평하겠냐만....김수환 추기경님처럼 적극 나서시진 않는건 확실해보입니다!!



    기사출처:http://web.pbc.co.kr/CMS/newspaper/view_body.php?cid=297163&path=200906
  • ?
    홈페이지 요셉 2009.06.23 23:19:15
    제가 보나벤투라수사님의 관상기도모임을 초창기에 다니다
    시간이 맞지 않아 중단하고 얼마 후에 갔더니 수사님의 교수법이 달라지셨더군요.
    이유는 다 알아듣는 줄 알고 그 동안 열심히 강의했는데 강의를 듣고 난 후 엉뚱한 질문들을 해대는 것을 보고 당신이 깨달은 것은 지금까지 상대의 수준을 잘 모르고 이 정도는 알아듣겠지, 했던 당신의 실수였다고,
    그래서 상대의 수준에 맞추어서 풀고 또 풀어서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아주 알아듣기 쉽게 교수법을 바꾼 이유였습니다.

    오래되어서 분명하진 않지만, 제가 어딘가에서 읽은 어렴 붓이 기억나는 구절이
    “하느님께서 실수하신 것이 딱 하나있다면 그것은 우리 인간의 수준을 너무 높게 보신 까닭에 당신의 아들을 십자가에 못 박는 결과가 되었지만............이하생략 ”

    신부님께서 실수를 하셨다면 아마 상대의 수준을 너무 높게 보신 까닭일 겁니다.
    이번 일을 교훈 삼아 상대의 수준에 맞추어 풀고 또 풀어서 손에 쥐어 주듯 말씀하시면 됩니다.

    예수님께서 진리를 위해 하나 뿐인 목숨을 내어놓았고 그 발자취를 따라 걷고자 들어선 신부님에게 이쯤의 수난이야 대수겠습니까!

    더 이상 해명하려고도 마음 아파하지도 마시기를....
    신부님의 강론에 이의를 다는 분들의 완곡한 표현은 그 만큼 신부님께 거는 기대의 또 다른 표현인 동시에 진리를 따르고자 하는 몸부림의 한 표현일 겁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하느님으로부터 나왔기에 누구도 진리에서 떨어져 나가고 싶은 사람은 하나도 없다는 것이 우리의 믿음이고 희망이고 그래서 그들을 또 품어 함께 가는 사랑을 할 수 있는 거지요.
    진리를 위한 다는 이유로 상대의 영혼에 상처 주는 것을
    하느님께서는 결코 원치 않으신다는 걸 하느님을 믿는 신자라면 모르지 않을 것입니다.
  • ?
    홈페이지 안병호 2009.06.23 23:19:15
    하느님은 교회안에 더 많이 있는 것도 아니고
    들판에 더 적게 있는 것도 아니다.
    하느님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하느님을 어디에서나 똑같이
    알아볼 줄 아는 사람이다.

    - 13세기 신비 신학자 -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7 Agnus Dei (아뉴스 데이) Agnus Dei (아뉴스 데이)   크리스챤 신앙의 핵심은 부활신앙이며 부활은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전제로 하기에, 크리스챤들은 성주간 전례를 통... file 이종한요한 2017.04.17 6824
806 성목요일 밤과 성금요일 새벽에 성목요일 밤과 성금요일 새벽에 불 꺼진 성당 텅 빈 감실과 열려진 감실 문 벗겨진 제대 고요 속에 잠긴 밤 겟세마니에서 기도하시는 분 괴로움과 번민을 함께 할... 이마르첼리노M 2017.04.15 942
805 마리 앙투와네트와 박근혜 마리 앙투와네트와 박근혜   마르코 복음에는 예수님께서 공생활을 시작하시면서 유독 신경을 쓰신 것이 악령에 들린 사람들을 고쳐 주셨다는 것이다. 광야에... file 이종한요한 2017.03.20 1374
804 "피 청구인 박근혜를 파면한다." “피 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촛불들의 함성이 봄을 오게 했다. 고로쇠 수액처럼 대지의 기운을 뽑아 올려 감격스런 환희가 눈물의 강을 이... 이마르첼리노M 2017.03.11 1351
803 뉘우치는 마음이 살린다. 뉘우치는 마음이 살린다.   반성하지 않는 삶이 가치가 없다면 제대로 살지 않는 삶은 되돌아 볼 가치가 있을까 도덕적인 명상은 도덕적인 행동에 비하면 ... 이마르첼리노M 2017.02.28 995
802 반복되는 영장 기각 앞에서 요즘 박근혜 게이트와 관련된  영장 기각들을 바라보노라면 아쉬움이 씁쓸히 피어오른다. 분명 영특한 판사들이 심사숙고하는 가운데 객관적 중립성을 유... 고파울로 2017.02.22 935
801 전쟁과 평화 전쟁과 평화   겉으로 드러나는 나 속으로 감춰진 나 두 세계 사이에서 평화를 찾으려는 나   태초에 나를 지으실 때 주신 하느님의 모상 선하신 ... 이마르첼리노M 2017.02.22 953
800 까치둥지묵상 1    내 방 창문너머에 까치부부 한쌍이 둥지를 만들고 있다. 난 얼마전부터 한쌍의 까치들이 둥지를 짓는 모습들을 지켜보고 관찰하고 있었다. 난 지켜보면 지켜... 일어나는불꽃 2017.02.18 1167
799 감사의 기도 감사의 기도   아버지 저를 당신이 지으신 피조물 가운데 하나로 만드셨으니 감사합니다. 들의 꽃들과 풀들과 나무들과 동등한 존재로 만드셨으니 감사합... 이마르첼리노M 2017.02.13 1001
798 비밀 비밀   나는 내 안에 있는 희망과 절망과 한계를 봅니다. 그리고 나와 함께 사는 형제들 안에 있는 희망과 절망과 한계를 바라봅니다.   내게 있어 ... 이마르첼리노M 2017.02.11 928
797 사람은 사랑의 대상 사람은 사랑의 대상   태초에 하느님은 이렇게 창조 하셨다. 사람은 사랑하고 물건은 사용하라고 재물이 사랑받고 사람이 사용되는 사회 사람을 물건처럼... 이마르첼리노M 2017.02.08 1028
796 아버지의 뜻 아버지의 뜻   나에게 있어 하느님의 뜻은 무엇일까?   1 정직하기 자신에게 정직하기 관계성 안에서 정직하기 양심에 불안을 주는 일이 없도록 사... 이마르첼리노M 2017.02.03 939
795 야곱의 우물가에서 야곱의 우물가에서   외로움이 神을 만나면 고독하다 고독이 神을 떠나면 외롭다   고독한 갈증은 외로움의 환상 특별하고 높여진 자아 우월한 도취... 이마르첼리노M 2017.02.02 1116
794 박근혜 대통령: 나체: 더러운 잠 : 가톨릭 예술 박근혜 대통령 나체, 더러운 잠 : 가톨릭 예술   “세상에 이런 일이!” 라는 탄성이 절로 나오는 일들이 연속적으로 폭로되면서 국민들이 망연자실한 ... file 이종한요한 2017.01.27 10374
793 아버지의 초대 아버지의 초대   1 그리스도의 삶의 자리 그리스도인의 삶의 자리   당신이 만드신 피조물에게 쏟아 붓는 사랑 사랑의 봉사 안에서 자신을 형제들과... 이마르첼리노M 2017.01.25 827
Board Pagination ‹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