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41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프란치스칸 양성자 세미나를 준비하면서 프란치스코의 생애와 그의 글을 한번 생각해보았습니다.

프란치스코의 글은 그의 삶을 배경으로 생겨났습니다.

그것을 제가 아는 수준에서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1. 프란치스코의 회개 과정

1) 탄생: 1181년 경

프란치스코는 부유한 포목상인인 베르나르도네와 피카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베르나르도네는 혼란시기에 부와 힘을 얻는 법을 아는 이이었다. 베르나르도네는 장사로 재산을 모았으며 기사가 되려는 아들을 적극 후원하였다. 피카 부인은 자상하고 신앙에 충실하였다. 프란치스코는 시편을 가지고 라틴어 기초 교육을 받았다. 기초 교육만 받은 프란치스코는 라틴어를 유창하게는 하지 못했지만 읽고 어느 정도 쓸 줄 알았다. 그렇게 문법적으로 정확하게 글을 쓸 수 없었던 프란치스코는 많은 경우 비서의 도움을 받아 글을 완성하곤 하였다. 그래서 프란치스코의 글들 가운데 프란치스코가 직접 쓴 글이 있고, 비서의 도움을 받은 글이 있고, 누군가 프란치스코의 이름을 가지고 쓴 글이 있다. 그리고 프란치스코는 자신의 글에서 자주 시편을 사용하는데, 아마 어린 시절 암기한 것이 영향을 끼친 것 같다.

2) 청년기

① 프란치스코 성격의 양면성

프란치스코는 자기 만을 생각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다른 이를 배려하기도 하였다. 15세 때 쯤 프란치스코는 아버지의 사업을 도우기 시작했으며 장사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당시 젊은 이들처럼 프란치스코는 기사가 되기를 꿈꾸었다. 그리고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기를 좋아했으며 우두머리 역할을 하곤 하였다.

그리고 프란치스코는 천성적으로 너그럽고 인정이 많아 어려운 이들을 도와주곤 하였다. 하루는 그런 그가 가게에서 손님과 있을 때, 누군가 와서 하느님의 이름으로 애긍을 청했다. 프란치스코는 그 거지에게 관심을 가질 수 없었고 그 거지를 그냥 보내었다. 프란치스코는 곧 양심의 가책을 느꼈고 그 거지를 찾아가서 도움을 주었다.

② 아시시 내란: 1198년

프란치스코가 16세 때, 아시시의 중산층과 시민들이 귀족들에 봉기하여 봉건제도의 상징인 로카 마죠르를 공격하였다. 귀족들은 페루지아로 도망쳤다. 프란치스코는 아시시 방어에 참여하였다. 아마 이때 성을 쌓는 법을 배웠는데 이것은 그가 나중에 성당을 수리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③ 프란치스코의 실패 체험: 1202년

아시시와 페루지아 사이 관계가 악화되어 싸움이 일어났다. 프란치스코는 전공을 세워 기사가 되려는 마음으로 전투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아시시는 이 전투에서 패배하였고 프란치스코는 포로가 되어 1년 동안 감옥에 갇혔다. 아시시아 페루지아 사이 평화조약이 체결되어 프란치스코는 감옥에서 풀려났다. 하지만 오랜 감옥생활의 고생과 절망감으로 곧 그는 병을 얻게 되었다.

프란치스코가 어느 정도 병으로부터 회복되었을 때, 프란치스코는 아시시 주변들을 산책하였다. 태양은 여전히 찬란하게 빛났고, 스치는 바람도 여전히 감미롭고 향기로왔지만, 예전의 즐거웠던 것들이 이제는 더 이상 그를 즐겁게 하지 못했다. 프란치스코는 삶이 허망함과 혼란함을 느꼈다.

=> 이런 실패체험과 허무체험이 프란치스코에게 끼친 영향은?

④ 회개의 준비: 1205년 초

프란치스코는 다시 기사가 되기 위해서 십자군 운동에 동참하는 길을 떠났다. 프란치스코는 스폴레토 계곡에서 꿈을 꾸었다. 꿈에 이런 소리를 들었다. "프란치스코야, 너는 주인과 종 중에서 누구를 섬기느냐?" 프란치스코가 대답한다. "주인입니다." 그 목소리가 "그러면 아시시로 돌아가라. 네가 할 일을 거기에서 말하여 주겠다." 프란치스코는 아시시로 돌아왔다. 전쟁을 하러 떠났다가 그냥 도망자로 돌아온 것이다.

=> 프란치스코의 회개 전 삶과 회개의 삶을 '소유적 삶'과 '존재적 삶'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소유적인 삶: 사실 많은 것을 소유하려 하고 높은 위치에 오르려는 이는 종의 삶을 산다. 그는 소유한 것에 매이는 삶을 살고, 그가 소유한 것을 잃어버릴까 하는 두려움에 사로잡힌 삶을 산다.

존재적인 삶: 현재에 충실하며 영원과 연결된 지금을 산다. 다른 이들과 다른 피조물과이 나의 도구가 아닌 '너'로 친교를 맺으며 형제적 관계의 삶을 산다.

아시시에서 프란치스코에게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런 와중에, 그는 한적한 곳을 찾아 자주 기도하곤 하였다. 아마 이 기간에 프란치스코는 하느님의 뜻을 묻고 그것을 실행할 힘을 청하는 미사 기도문의 기도를 자기 식으로 바꾸어 바치곤 하였다.

=> 프란치스코에게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무언가를 이루고 무엇을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을 바라보고 내면의 음성에 귀기울이는 자세를 배우게 되었다.

<성 다미아노 십자가 앞에서 드리신 기도>

지극히 높으시고 영광스러운 하느님이시여,

내 마음의 어둠을 밝혀 주소서.

주여, 당신의 거룩하고 진실한 뜻을 실행하도록

올바른 신앙과 확고한 희망과 완전한 사라을 주시며

지각과 인식을 주소서. 아멘.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7 성탄은 관계의 축제 성탄은 관계의 축제   “내 기쁨을 나누어   너희의 마음에   기쁨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 15,11) 기뻐하여라 기뻐하여라 기뻐서 뛰고 춤... 이마르첼리노M 2020.12.22 709
806 성탄송가 2014   성탄 송가 기뻐하고 기뻐하라 환호하고 찬송하라 찬미하고 찬양하라 구세주의 성탄이다 하늘과땅 만민들아 소리높여 노래하라 해와달... 이마르첼리노M 2014.12.23 1322
805 성탄송가 성탄절 천상천하 온갖 조물들아 기뻐하고 기뻐하여라 우리의 구세주 그리스도 오늘 탄생 하셨도다. 만민들아 노래하라 노래불러라 정결한 백설의 송가로 갓 피어... 이마르첼리노 2010.12.24 4763
804 성탄과 죽음과 부활의 신비는 하나의 신비다. 성탄과 죽음과 부활의 신비는 하나의 신비다.   성프란치스코의 영적인 출발은 육화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수난의 사랑이었다. 수난의 사랑에서 출발하여... 이마르첼리노M 2021.12.19 380
803 성탄과 공현의 신비는 관계의 상호성 안에 드러난 하느님의 선입니다. 성탄과 공현의 신비는 관계의 상호성 안에 드러난 하느님의 선입니다.   인간은 나약함에도 완전히 자기중심적 사고를 지니고 살아갑니다. 이것이 자만심을 부추... 이마르첼리노M 2024.01.04 177
802 성탄 송가 3 성탄 송가 3   삼위일체 하느님 관계의 신비 내어주는 하느님 창조의 신비 내려가는 하느님 육화의 신비 내려놓는 하느님 겸손의 신비   깨달음이 만드는 변화의 ... 이마르첼리노M 2023.12.24 314
801 성직자. 수도자를 위한 참 인간 교육 안내 http://www.chamingan.or.kr성직자. 수도자를 위한 참 인간 교육 자아의 참 모습을 알기 위해서는 누구나 끊임없이 살펴보아야 할 부분입니다. 그것은 영적 성장... 성심인간계발원 2006.07.07 5180
800 성주간 (계시의 완성을 보는 때) 성주간 (계시의 완성을 보는 때)   자비를 깊이 바라보다가 자비가 되어 자비가 흐르도록 길을 떠나는 때   자비의 열매는 나의 필요성을 없앤다. 스스로 높일 ... 이마르첼리노M 2023.03.29 281
799 성전 파괴에 대한 말씀을 듣고 성전 파괴에 대한 말씀을 듣고   자신만 자유롭게 하려는 이들이 경험하는 것은 관계의 지옥이다. 타인을 자유롭게 하는 사람일수록 자신이 더 자유롭게 된다... 이마르첼리노M 2021.11.23 324
798 성음악 선교 미사를 위한 성가대 모집 평화와 선 사랑하는 형제, 자매님들. 한가위 명절을 기쁘고 즐겁게 그리고 풍요롭게 잘 보내셨는지요? 오늘은 성가대원을 모집하기 위해 글을 올립니다. ... 김레오나르도 2016.09.17 1081
797 성심원 관련 연합뉴스 기사 성심원 노부부의 서울 나들이에 관한 연합뉴스 기사가 다음 사이트에 실렸습니다.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면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INK:1} 김요한 2007.01.06 4863
796 성숙한 염원 성숙한 염원 큰 나무에 있어서는 부분이 문제되지 않기에 커다란 뜻과 커다란 사랑에선 지엽이란 스치고 지나가는 것 인간적이며 전인적인 진실의 모든 발성 찾... 이마르첼리노M 2014.09.21 1194
795 성소 담당 수사님 이메일 주소 좀 알려주세요,,, 여기 들어와서 아무리 찾아봐도, 성소 담당하시는 수사님 연락처를 찾을 수가 없네요,,, 성소 담당 수사님 이메일 주소를 알고 싶습니다,,, 성소에 관한 상담을 ... 1 Crsp 2012.03.25 9164
794 성서의 하느님과 역사 속의 예수님 성서의 하느님과 역사 속의 예수님   오늘은 성서의 하느님과 역사 속의 예수님을 간략하게 그려보았다.   나는 내가 읽었던 성서에서 영감을 받아 여기까... 이마르첼리노M 2021.09.02 356
793 성서에 나오는 부자는 어떤 사람인가? 성서에 나오는 부자는 어떤 사람인가?   예수께서는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기보다 낙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편이 훨씬 더 쉬울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1 이마르첼리노M 2022.08.16 293
Board Pagination ‹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