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5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http://www.istancoreofm.org/index.phpT.평화와 선

한국어판에 이어 영문판 홈페이지가 개통되었습니다.


http://www.istancoreofm.org/engindex.php


조만간 이태리어판도 개통되면 대화일치한민족영성센터 홈페이지는
민족간, 종교간, 문화간 여러 차원에서 큰 의미를 지니게 됩니다.

한민족의 정체를 나타내는 ‘한’은 ‘크다’(전체)와 ‘하나다’(개체)의 이원적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다석 유영모의 제자인 함석헌의 말처럼 우리 역사와 우리 문화는 '한'에서 나왔고 '한'을 목표로 하고 나아가야 되며, 모든 민족 모든 사회의 문화도 역시 '한'에서 비롯되었고 '한'이 목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 우리 한민족에게 주신 '한'을 통하여 참진리의 여정을 걷고 있는 종교들그리고 동서양 민족과 문화를 '큰하나'로 품어 안을 수 있게 됩니다.

아무쪼록 이 외국어판을 도구로 하여 동서양간에 가교역할을 하는
대화일치한민족영성센터 홈페이지를 통해서
서로 배우고 대화하고 존중하면서
각 종교 그리고 민족과 문화안에 내포된 소중한 진리의 가치들을 발견하도록
중재하는 조그마한 대화의 場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이스탄불 수도원에서
대화일치한민족영성센터 소장
고 도미니코 신부



추신:

홈페이지 용량 관계로 별도로 개설한 영성자료실카페

http://cafe.daum.net/dialogueunity 는


저작권 등의 문제가 있어 회원가입에 한하여 글을 읽을 수 가 있고

글을 쓰는 것은 종교수도성직자와 관련 전문가에 한해서만 글을 쓰게 되어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특히 동영상과 사진 부분은 영성자료실 카페 주로 올리고 있는데
사원수도원문화기행 동영상란에 가톨릭편 콩고 작은형제회 수도회 2009 성탄 동영상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이번 이스탄불 MYSTIC ART FESTIVAL에 오버톤 발성으로 부른
Huun Huur Tu 공연 동영상을 통해 보다 넓은 지평으로 하느님을 바라 볼 수 있을 겁니다.

Huun Huur Tu 창법, 오버톤법에 대해

출처: 불교와 문화 5월호(2007년)

오버톤은 발성을 할 때 한명이 동시에 2개의 음역 이상 다른 음정의 소리를 내는 독특한 발성과 목의 울림을 극대화시켜 파동을 일으키는 발성을 특징으로 하는 창법이다.

오버톤 음악은 그냥 듣기에는 주변에서 흔하게 접해 온 아카펠라 음악과 유사한 점도 있지만 그 개념과 음악적 원리에는 큰 차이가 있다. 아카펠라는 무반주 육성으로 선율과 리듬의 화음을 이루는 음악이고 오버톤 발성은 목에서 나오는 발성과 파동에 의한 소리를 중심으로 하는 음악이다. 또 아카펠라는 반복된 연습으로 익힐 수 있는 음악적 기술이라면 오버톤은 고도의 수련을 통해서만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 영적인 수행 차원의 한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오버톤 감상에 있어서 오버톤 수행자는 그것을 발성하는 파동음의 주체이면서 동시에 그것을 듣는 일차적인 객체가 되어 직접적으로 치유적이거나 수행적인 영향을 받는다. 객체로서 오버톤 감상자의 경우에도, 육성에 발성되는 오버톤 음악의 주파수 특성상 생리적 측면에서의 악기의 소리보다는 친화력이 있게 감상자의 감각기관에 받아들여져서 심리적 생체적 반응과 긍정적 변화를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이런 이유로 최근들어 명상음악, 치유음악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은 대안적 음악수단으로 오버톤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오버톤 발성 수행은 티베트 불교의 멀티포닉(multiphonic) 독성법과 투바(Tuva:몽골 인근의 소수민족) 방식의 목 발성법에 근원을 찾을 수 있는데 고대 인도의 요가 체계에도 오버톤과 비슷한 원리의 수행법으로 나다 요가(Nada Yoga)가 있다.

오버톤 발성이 포함된 음악은 티베트불교 예불의식이 담긴 음반, 나왕 케촉의 음반, 몽골 투바의 민속음악집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8 대림절 대림절   주님의 처음 오심을 경축하고 전례 안에서 오시는 성탄과 마지막 오심을 준비하기 위하여 회개하고 깨어 있으라는 복음의 메시지를 자주 듣는 ... 이마르첼리노M 2020.12.06 483
357 틀을 바꿔라. 틀을 바꿔라.   회개하여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태오 4,17)   회개하라는 말을 고행하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보상과 처벌이라는 틀에 묶여 외... 이마르첼리노M. 2020.12.12 491
356 변화와 성장 변화와 성장   성장은 죽음으로 태어나는 생명이다. 하느님 나라는 선의 확산이며 변화는 진화의 내용이자 결과다. 변화하지 않는 삶은 정체된 삶이며 정... 이마르첼리노M. 2020.12.17 400
355 육화의 시간 육화의 시간   하루를 마감하는 시간과 하루를 시작하는 시간은 하느님의 자비에 맡겨진 시간이다.   하루를 마감한다는 것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이마르첼리노M. 2020.12.18 385
354 모른다. 모른다.   “바람은 불고 싶은 데로 분다. 너는 그 소리를 들어도 어디에서 와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 (요한 3,8)   내 삶도 그와 같다. 나는 어디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0.12.20 460
353 성탄은 관계의 축제 성탄은 관계의 축제   “내 기쁨을 나누어   너희의 마음에   기쁨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 15,11) 기뻐하여라 기뻐하여라 기뻐서 뛰고 춤... 이마르첼리노M 2020.12.22 709
352 송년의 시간에 돌아보는 나의 성소 송년의 시간에 돌아보는 나의 성소   행동하지 않는 아들과 행동하는 아들의 비유 (마태 21,28-31) 예수께서는 포도원에 가서 일하겠다고 대답만 하고 행동... 3 이마르첼리노M 2020.12.31 466
351 새해의 첫날 (밤의 끄트머리엔 새벽이 있다.) 밤의 끄트머리엔 새벽이 있다.   새해의 첫날 밤의 끄트머리에서 먼동이 튼다. 끝이 보이지 않는 어둠 너와 나를 갈라놓던 밤이 새벽을 맞으려 한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1.01 461
350 재속프란치스코 회원들에게 보내는 희망의 편지 재속프란치스코 회원들에게 보내는 희망의 편지   주님의 평화가 온 누리에 …   새해를 맞이하여 주님 안에서 인사드립니다. 주님께서 여러분 ... 1 이마르첼리노M 2021.01.04 741
349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   하느님께서 우리를 이렇게 사랑하셨으니 우리도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1요한 4, 11)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에 ... 이마르첼리노M 2021.01.06 497
348 후리지아 입술에 핀 미소 후리지아 입술에 핀 미소   얼어붙은 땅 얼어붙은 마음   부풀어 오르는 꽃봉오리 얼굴과 입 눈가에 핀 내면의 꽃   받은 생명 지닌 생... file 이마르첼리노M 2021.01.08 581
347 하느님의 모성적인 품 하느님의 모성적인 품   사람이 되신 예수께서는 분명 남성이었지만 그리스도는 남성과 여성성을 초월하시는 하느님이시다. 하느님은 부성과 모성을 지니... 이마르첼리노M 2021.01.14 456
346 위대한 초월자 앞에서 위대한 초월자 앞에서   모든 선한 일에는 아주 작은 것이라도 보상을 기대하는 심리가 숨어 있다. 예수님을 따르는 대가로 축복과 성공을 얻을 수 있다고... 1 이마르첼리노M 2021.01.15 456
345 악의 신비 앞에서 (악을 깨우는 악) 악의 신비 앞에서 (악을 깨우는 악)   악은 언제나 분열과 분리를 시키려고 한다. 하느님은 우리의 인격을 온전하게 하시지만 사탄은 우리를 분열시킨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1.17 488
344 고통 앞에서 고통 앞에서 인류가 직면한 고통들 재난과 질병과 사고 신체적 정신적 물리적 고통 외로움과 고독과 영적 고통   죄를 뒤집어씌울 희생양을 찾는 사람들... 이마르첼리노M 2021.01.24 432
Board Pagination ‹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