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0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날개 꺾인 장애인작업장 ‘비둘기의집’
가톨릭사회복지회 산하 ‘제1호 장애인작업장’
20년 만에 갑자기 문 닫아…장애인들 거리로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07-01-24 12:20:16


▲20년 동안 운영되어온 장애인작업장 비둘기의 집이 최근 갑자기 문을 닫았다. 비둘기의집으로 올라가는 통로. <에이블뉴스>
"20년 동안 이곳에서 일했는데, 이렇게 문을 닫아버리면 장애인들은 어디로 가라는 것인가요? 우리를 좀 살려주세요."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에 위치한 장애인작업장 ‘비둘기의 집’에서 만난 지체장애인 민모씨는 “비둘기의 집을 살려 달라”고 애원했다. 비둘기의 집은 천주고 서울대교구 사회사목부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소속 장애인작업장이다.

이 곳은 1986년 4월 장애인들에게 직업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곳으로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에 등록된 장애인기관 중 가장 역사가 깊다. 현재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에는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장애인복지, 여성복지, 노인복지, 행려복지, 의료복지, 종합복지, 상담복지 등 각종 복지분야에 걸쳐 194개 등록단체가 있다.

비둘기의집은 시설책임자와 총무를 제외하고 총 8명의 장애인(청각장애인, 뇌성마비장애인, 소아마비장애인 등)이 일하며, 천주교 수녀들의 옷, 행주 등을 만들었다. 가톨릭회관 등의 매장에 납품했다.

이 비둘기의 집이 지난해 10월 14일 갑자기 문을 닫았다. 그곳에서 일을 하던 장애인들은 하루 아침에 실업자가 되어 새 일자리를 찾기 위해 거리를 헤매고 있다. 가톨릭사회복지회에서는 이들에게 퇴직금 몇 푼만 주었을 뿐, 향후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왜 비둘기의집은 문을 닫게 된 것일까? 이곳에서 오랫동안 일했던 한 장애인이 서울시에 제기한 민원을 들어보자.

저는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산하 비둘기집에 근무하였던 지체장애인 민○○ 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저희는 지체장애인 근로작업장에서 근무했던 장애인작업장에서 일방적으로 부당해고를 당한 것과 같습니다. 일방적으로 가톨릭사회복지회 회장신부인 김○○ 신부가 폐업을 시켰고, 부회장 신부 이○○ 신부가 장애인들과 면담하면서 비둘기집 문을 열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이유로는 근로대표자와 내부갈등으로 인하여 문제가 크게 들어나자 가톨릭사회복지에 회장 신부는 장애인분들의 의견은 제대로 듣지 않고 폐업을 시켜서 졸지에 근로할 수 있는 기회마저 없애버렸으며, 처음에는 한 달 동안 내부갈등 등 모든 일들을 해결하고 장애인들을 모두 고용하겠다고 약속했으나 번번이 말과 행동이 틀렸으며 우리들을 만나려 하지 않아 2007년 1월 8일 사회복지회에 오라고 해서 우리들은 희망을 갖고 찾아 갔으나 답변은 문을 열수 없으니 각자 알아보라고 말씀하셔서 어이가 없었습니다.

더군다나 가장 소외되고 어려운 사람들에게 따뜻한 사랑을 베푼다고 하던 가톨릭사회복지 신부님이 무책임한 언행에 화가 나 민원을 상담합니다. 한번이라도 제대로 우리들의 의견을 듣지 않고 거리의 노숙자들도 있는데, 노숙자보다 나은 형편이며 취업 못하는 것은 우리들의 사정이고 우리가 관여할 사항은 아니다고 하며 장애인분들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비록 사정이 그렇다고는 하나 여러 단체 속에 근로시설에 일원인 장애인들에게 알아보고 힘써주겠다는 말은 없이 무조건 취지가 안 맞으니 문을 열수 없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여태껏 애써서 어려운 처지에서 근로하면서 일했던 저희는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어버리며 대표자의 부당한 행동과 상황들을 회장신부의 측근이라고 해서 덮어 버리며 일방적으로 피해를 볼 수밖에 없던 장애인들 또한 저에 분노가 이루 말할 수 없어 상담을 드립니다. 눈에 보이는 것만 생각하고 실질적으로 곪아 있는 어려운 처지에 장애인들에 의견은 외면해버리는 이중적인 모습들을 보고 느끼기에 상담을 하는 바입니다.


▲우편물 하나만 덩그라니 놓여있는 비둘기의 집 입구. <에이블뉴스>
이곳에서 일했던 장애인들은 ‘내부 갈등으로 문제가 시작됐다’고 말하고 있지만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관계자는 적자라서 문을 닫았다고 답변했다. 그는 그동안 법인 설립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지만 여의치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에서는 할 만큼 다했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조금 어렵더라도 20년 동안 해왔듯이 열심히 하면 타개책을 찾을 수 있는데, 아무런 대책도 없이 문을 닫는 것은 장애인들에게 죽으라는 것과 똑같다고 항변했다.

갑작스런 직장 폐쇄는 그곳에서 일하고 있던 장애인들에게는 사망선고와 똑같았다. 지난해 결혼한 한 뇌성마비장애인은 갓난아기 우유 값도 없어 현재 동생에게 우유 값을 받아 근근이 살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장애인들이 현재 실업급여를 받아 생활하고 있지만 실업급여가 곧 끊길 예정으로 직장을 찾고 있지만 실제 취업에 성공한 사람은 청각장애를 가진 여성 1명밖에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부분의 장애인들이 40~50대로 모두 나이가 많아 새 직장을 갖는 것이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닌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애인들은 ‘비둘기의 집’이 다시 문을 열어 자신들을 받아주기를 바라고 있다.

지체장애인 민씨는 “오늘 거래처에서 왜 납품을 할 것인지, 안할 것인지 최종 결정을 내려달라고 전화가 왔는데 가슴이 아팠다”면서 “20년 동안 쌓아온 것들이 무너지기 전에 빨리 대책을 마련해 문을 다시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총책임을 맡고 있는 김운회 주교는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는 사회의 어두운 곳에 빛을 비추고, 소외된 사람에게 관심과 사랑을 나누는 공동체로서 또한 가난하고 억압받는 이들의 의견을 대변하면서 이 땅에 하느님의 정의와 평화가 넘치는 참된 세상을 이루고자 한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히고 있다.

또한 김용태 회장 신부는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사회 안에서 실천하고자 노력해왔다. 예수님께서 가난하고 소외받는 이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시고 함께하신 것과 같이 사회복지회도 늘 이 사회의 그늘진 곳에 조그마한 희망이 되고자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 두 신부의 말은 ‘울리는 꽹과리’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비둘기의 집 소식을 전해들은 사람들은 ‘병들고 아픈 어린양들을 따뜻이 보살피지 못하고 거리로 내치면 누가 도대체 보살피라는 말이냐’고 원성을 냈다. 아무리 복잡한 내적 갈등이 있더라도 작업장부터 폐쇄한 행동은 올바른 조치가 아니었다는 지적이다.

박종태 소장섭 기자 (so0927@chol.com, sojjang@ablenews.co.kr)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2 섣달그믐에 뜬 보름달 섣달그믐에 뜬 보름달 (용서를 청한 엄마의 편지에 대한 자녀들의 답장)   섣달그믐 날 멀리서 직장 생활을 하는 둘째 딸에게서 문자가 왔다. 명절이라고... 이마르첼리노M 2021.02.12 409
1181 사순절에 꼭 해봐야 하는 질문 ( 2/2페이지) (2/2페이지) 나는 하느님이 우리를 사랑하시기 위해 희생을 요구하신다는 생각 자체를 바꿨다. “동물을 잡아 바치는 제사가 아니라 이웃에게 베푸는 자선이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2.19 409
1180 장애아를 가진 어떤 어머니의 기도 장애아를 가진 어떤 어머니의 기도   주님! 이 아이를 제가 지은 어떤 죄의 결과라고, 저의 탓이라고 생각지 말게 하시고 당신께서 주신 은총의 선물로 생각해서... 2 이마르첼리노M 2022.04.29 409
1179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안에서 발견한 하느님 내 밖에서 발견한 하느님 나는 그 가짜 하느님을 버렸다. 내 상처와 불안이 만든 하느님은 내 믿음이 ... 1 이마르첼리노M 2019.10.25 410
1178 무엇을 보고 있느냐? 무엇을 보고 있느냐?   우리는 저마다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경향이 있다. 관심사에 따라 보는 것의 우선순위가 결정되기 마련이다. 관심사가 클... 1 이마르첼리노M 2020.11.06 410
1177 용머리 길을 걸으며 용머리 길을 걸으며   담양호 수변에 걷기 좋은 산책길 나의 두 눈이 호수를 산책하는 동안 보는 것에 잔뜩 배부른 나는 아픈 허리의 통증을 느끼면서도 ... 이마르첼리노M 2021.02.07 410
1176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기쁨을 발생시키지 않는 율법은 자비로운 용서가 없기 때문이다. 용서는 과거로 돌아가 상처받기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19.10.19 413
1175 예수를 받아들인 사람은? 예수를 받아들인 사람은?   요한복음에 나타난 하느님 창조 이전부터 계셨고 하느님과 똑같은 말씀 아버지를 계시하신 말씀 말씀으로 창조하시는 하느님 ... 이마르첼리노M 2021.04.23 413
1174 단순하게 살기로 작정하면, 단순하게 살기로 작정하면,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지니셨던 마음을 여러분의 마음으로 간직하십시오.” (필립 2,5) “여러분 안에 계셔서 여러분... 이마르첼리노M 2021.07.30 413
1173 참여하는 기쁨으로 (성프란치스코의 피조물의 찬가) 참여하는 기쁨으로 (성프란치스코의 피조물의 찬가)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지니셨던 마음을 여러분의 마음으로 간직하십시오” (필립2,5) 우리는 누구든... 1 이마르첼리노M 2022.04.24 413
1172 깨어남과 깨어 있음 깨어남과 깨어 있음   언제든지 선을 행하려고 깨어있는 사람은 현재의 자유로 희망의 봉오리를 연다. 측은하고 가엾이 여기시는 하느님의 마음을 지니고 ... 이마르첼리노M 2020.10.30 414
1171 지금 행복한 사람은 미래에도 행복하다. 지금 행복한 사람은 미래에도 행복하다.   착하고 성실한 신자들 가운데는 내세를 위한 업적 쌓기에 바쁘게 사는 사람이 많다. 꽃을 꽃 자체로 보지 못하... 이마르첼리노M 2020.02.07 416
1170 연약하고 무력한 두 손으로 연약하고 무력한 두 손으로   나의 우물은 깊다. 그러나 밖에서 물을 찾는 건 갈증을 해결할 수 없었다. 그리스도 예수께서 나에게 하신 일은 내면의 양... 이마르첼리노M 2020.12.02 417
1169 성사(聖事), 자연 안에서 경탄하는 신비 성사(聖事), 자연 안에서 경탄하는 신비   자연 안에서 오래 침묵할 줄 아는 사람은 자연 안에서 경탄한다. 자연과 하나 되어 자연의 한 부분으로 피조물을 ... 이마르첼리노M 2021.08.12 418
1168 정동 이야기 (8) 정동 수도원 이야기 (8)  아름다운 기억 그동안 정동 수도원에 수많은 사람들이 거치면서 프란치스칸 영향력으로 많은 사람들이 세례를 받게 되었는데 그중... 이종한요한 2022.01.15 418
Board Pagination ‹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